View : 1537 Download: 0

국내 성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Title
국내 성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Flow for Adult E-learners in South Korea
Authors
강아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atistically integrate the studies on the learning flow for adult e-learners in Korea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learning flow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The importance of learning flow has been shown to prevent learners from dropout and provides the driving force for repeating and maintaining learning.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research environment setting and variables used by each studies, comparing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on learning flow as well as concluding the most effective variable has been difficult. With the continued pursuit of lifelong learning and the fact the major target learner of e-learning are adults, identifying key variables of learning flow for adult e-learners can prove to be useful.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in e-learning as well as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moderator variables on effect size.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size of learning flow and related variables on adult e-learners in Korea? 1-1. Which learning flow internal or external factor influences the adult e-learner in Korea? 1-2. Which learning flow internal or external sub-factor influences the adult e-learner in Korea? 1-3. What is the influential ranking of each learning flow related variable on adult e-learner in Korea? 2. How do moderator variables (department type, gender, age) influence the effect sizes of learning flow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For the analysis, 55 Korean e-learning adult learner's learning flow related studi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world until the year 2015, were chosen, and 172 correlation effect sizes were drawn from the stud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learning flow relat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ere .432 and .485, respectively. Both had large effect sizes with external factors being larger,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al factors was not significant. This indicated that both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immersion learning, thus in concurrence with Nakamura and Csikszentmihalyi (2002) hypothesis on the occurrence of learning flow through the inter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econ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 categories ordered by effect size were social environment, instructional environment, learning abilities, learning psychology, and technical environment. The large effect size of the social environment category has been hypothesized to be due to th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among adult learners, who emphasize social networking, through exchange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learning methods. Therefore, efforts to provide soci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methods of forming learning communities or communication among learners through online forums, are needed. Third, the order of effect size for sub-factors were emotion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organization/school support, service quality, interaction, self-regulated learning, task value,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content quality, mastery-approach goals,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vity of the system. The top variables were all related to presence, which is in line with the meta-analysis by Lee(2013) stating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presence and learning flow among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demonstrated a high effect size for emotional and cognitive presence, both showing an effect size of over .700, inferring a high correlation between ability self-awareness and learning flow in the online environment among users. From the providers of point of view, providing services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ir abilities in a positive view could potentially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flow. Fourth, the effect size differences due to the various department types was non-significant among the moderator in relation to learning flow. Users in their twenties demonstrated the greatest effect among the different age groups, further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the related variables in this group. According to the effect of gender ratio on learning flow and the related variables, higher female ratio showed greater overall effect. In contrast, among the sub-factors, learning abilities showed a lower effect with a higher female ratio. This was postulated by Shin(2006) by observing that female learners had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ir abilities, thus when the female ratio increases the correlation effects of learning ability effect size and flow decrease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effect of gender ratio on learning abilities and learning flow.;교육의 지속가능성이 국제사회의 주요 의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닝은 평생교육의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집합교육에 비해 높은 이러닝 학습자의 중도탈락률은 이러닝의 한계로 지적되어오고 있으며, 이러닝에서 중도탈락이 지속될 경우,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에의 효능감이 낮아질 수 있고,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수익 감소로 인해 제공하는 콘텐츠의 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Lee & Choi, 2011). 학습자의 중도탈락을 막고, 학습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은 학습몰입이라고 할 수 있다(Hoffman & Novak, 1996). 학습몰입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을 촉진하는 주요요인으로 국내 이러닝 환경에서는 학습몰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 학습몰입의 효과에 대한 연구와 함께 학습몰입과 관련된 개인 내ㆍ외적변인 탐색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왔다(주영주, 김나영, 김가연, 2010; 하영자, 하정희, 2011). 그러나 개별연구마다 설정한 사용 변인이 서로 상이하여 몰입과 관련된 변인의 효과크기를 비교하고 학습몰입을 증진시키는데 유효한 변인이 무엇인지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성인대상 이러닝에서의 학습몰입 관련연구를 통계적으로 종합하고, 학습몰입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학습몰입 관련변인 간의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절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성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 관련변인의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1-1. 국내 성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 관련 내ㆍ외적변인 중 효과크기가 큰 변인은 무엇인가? 1-2. 국내 성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 관련 내ㆍ외적변인의 영역별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1-3. 국내 성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 관련 하위변인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2. 조절변인(소속기관 유형, 성별, 연령)에 따른 학습몰입 관련 내ㆍ외적변인의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까지 국내 및 해외에서 발표된 국내 성인대상 이러닝의 학습몰입 관련 선행연구 55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72개의 상관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성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관련된 내적변인의 효과크기는 .432, 외적변인의 효과크기는 .485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외적변인의 효과크기가 더 컸으나 내적변인과의 차이는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이는 내적변인과 외적변인 모두 학습몰입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하며, 학습몰입은 개인 내적변인과 외적 환경변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다는 Nakamura와 Csikszentmihalyi(2002)의 주장과 맥락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내ㆍ외적변인의 영역별 효과크기는 사회적 환경, 교수적 환경,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기술적 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영역은 사회적 환경으로 사회적 네트워크가 중시되는 성인 학습자들의 특성상 학습자들 간의 교류와 소통을 통한 실제적인 정보교환 및 학습이 학습자들에게는 유의미한 학습으로 받아들여진다고 보인다(강명희, 유은조, 한정선, 류혜선, 2012) 따라서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거나 학습자들이 소통할 수 있는 게시판의 공간을 마련하는 등 사회적 환경 요인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하위변인별 효과크기는 감성적실재감, 인지적실재감, 교수실재감, 사회적실재감, 조직/학교의 지원, 서비스품질, 상호작용, 자기조절학습능력, 과제가치,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콘텐츠품질, 숙달접근목표, 학습전략, 학습동기, 시스템반응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상위 변인은 모두 실재감 변인이었으며, 이는 실재감이 학습 성과 중 학습몰입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이종호(2013)의 메타분석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감성적실재감과 인지적실재감의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크기이다. 감성적실재감과 인지적실재감은 모두 .700이상의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온라인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이 학습몰입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학습자들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학습몰입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넷째, 조절변인에 따른 학습몰입 관련변인 간의 효과크기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 소속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평균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20대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는 20대 집단에서 학습몰입과 관련변인에 대한 상관성은 어느 정도 입증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성비에 따른 학습몰입 관련변인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효과에서는 여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크기가 높아진다는 경향성이 나타났으나 내ㆍ외적변인의 영역별 효과크기에서는 인지적 요인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크기가 낮아진다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Shin(2006)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여성학습자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해 낮은 지각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이 여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인지적 요인의 효과크기와 몰입과의 상관효과크기가 낮아진다는 결과와 상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인지적 요인과 학습몰입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