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5 Download: 0

국내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석사학위논문 분석을 통한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 탐색

Title
국내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석사학위논문 분석을 통한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 탐색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Master's Theses on the Trend of Researche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uthors
송지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미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ill tell you how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changed and how it was developed for 10 years for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ight through master's theses. this research is to assist instructors and music education specialists to have balanced view towards selecting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itself by providing analyzed information of research trend of master's theses. For this study, I researched master's theses written about multiculturalism, based on the data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RISS Science research education service. 179 master's these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ritten years, subjects, nations, contens and field of education process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Results of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thes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was slowly progressed from 2006 to 2007, the amount of thesis showed the rapid growth since 2008.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subjects in the theses were elementary, next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less for toddlers. Third, most of frequently presented continents was Asia, Europe, Africa, America and Oseania. Fourth, most of thesis was about analysis of teaching strategies and music text books on multiculturalism. Fifth, as a result of analysis per fields of music education process, singing 48%, instrumental music 4% and composition 7%, aesthetic enjoyment 9%, Achievement 19%. The suggestion for music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is stated as below. First, the study should be more comprehensive and balanced than before. Second, systematic study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in need. Third, variety of study should be carried out by getting out of limited subject which is done up until now, whereas more of reliable studies, applied and proven in the field, is needs to be done. Fourth, more of study which contains actual activities rather than handling only a theory. In addition, aside from vocal subject, which has been studied most actively, more of other various fields of area should be studied.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serve as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es on selec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s subject.;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석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179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한 후 전국 교육대학원의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석사학위논문들을 정리하였다. 국회전자도서관과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기초하여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석사학위논문 179편을 연도별, 대상별, 나라별, 주제별, 활동 영역별로 구분하고 분류·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석사학위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분석 결과 2006년에서 2007년에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8년부터 눈에 띄게 연구 수가 증가하였다.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가 이전보다 좀 더 강조됨에 따라 연구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2011년까지 연구 비율이 상승하다가 2012년부터 현재까지 차츰 하향하여 2015년에는 15편에 머물렀다. 교육과정에서 여전히 다문화를 강조하고 있으나 2007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다문화 강조의 비중이 작아지며 연구 수도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대상별 분석 결과 인적 대상 연구보다 비인적 대상인 문헌 위주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인적 대상 연구에서는 초등 8편, 고등 2편, 중등 1편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헌연구에서 중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분석 대상을 석사학위논문으로 하였기 때문에 중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셋째, 나라별 분석 결과 아시아 총 86편(54%), 유럽은 28편(18%), 아메리카 18편(11%), 아프리카 21편(13%), 오세아니아 7편(4%)이 연구되었다. 아시아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순으로 연구되었다. 아시아의 중국과 일본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교과서에 아시아 곡들 중에서 중국과 일본곡이 가장 많이 실려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듯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적은 다양한 시대와 민족의 음악을 배우고 다른 민족의 문화와 음악을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다양한 음악과 문화를 다루는 것이 더 필요하다. 넷째, 주제별 분석 결과 수업지도안 연구가 전체 논문 179편중에서 103편으로 57.6%를 차지하고, 교과서 분석이 53편으로 30%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연구가 한정된 주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지도안 연구 103편 중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된 연구는 10편에 불과하다. 현대적 교수 학습법을 파악하고 개발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이므로 음악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연구하는 일은 바람직한 일이다. 더불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나타날 수 있는 효과와 문제점 등을 보여줄 수 있는 연구가 더 많이 요구된다. 다섯째, 활동 영역별 분석 결과 초·중·고 활동영역별 연구 비율은 가창 83편(80%), 기악 4편(4%), 창작 7편(7%), 감상 9편(9%)으로 가창 수업 위주로 이루어졌다. 대체적으로 기악, 창작, 감상을 다룬 연구는 적에 이루어졌다. 다문화 음악 수업은 민요 부르기 활동이 80%정도가 된다. 가창 관련 지도안 연구는 이미 많이 이루어졌다. 다문화 음악을 좀 더 다양하게 배우고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적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기악, 창작, 감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더 심도 깊게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