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이현지-
dc.creator이현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의 일반적 경향과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의 놀이참여가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의 경향은 어떠한가? 1-1. 부모의 놀이신념의 경향은 어떠한가? 1-2. 부모의 놀이참여의 경향은 어떠한가? 1-3. 유아의 행복감의 경향은 어떠한가? 2.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부모의 놀이신념과 부모의 놀이참여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3.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부모의 놀이참여는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5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07명과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각각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놀이신념은 Fogle(2003)이 개발한 ‘부모 놀이신념 척도(Parent Play Beliefs Scale: PPBS)’의 문항을 본 연구자가 번역하여 수정 및 보완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부모의 놀이참여는 이승미(2015)가 구성한 부모용 질문지를 본 연구자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행복감은 Ivens(2007)가 개발한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 검사(The School Children’s Happiness Inventory: SCHI)’를 연구자가 번안한 후 유아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놀이신념은 놀이가 유아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즐거운 활동이라고 믿는 놀이지지 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놀이지지 신념은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놀이참여는 주말 및 공휴일 놀이시간이 평일 놀이시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부모는 자녀와의 놀이에 종종 참여하며 소극적인 수준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만 5세 유아들은 정도의 개인차는 존재하지만 대체로 높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이 높을수록 유아의 행복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 참여 빈도, 참여 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이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이 높을수록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유아와 평일에 함께 놀이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유아의 행복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을 통해서만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이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쳐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부모의 신념이 행동으로 연결되어 자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tendency of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the child’s happines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1-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s’ play beliefs? 1-2.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1-3.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s happiness? 2.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play beliefs,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the child’s happiness? 2-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2-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2-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the child’s happiness? 3. Does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play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7 5-year-olds children from five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Incheon, and their 107 pairs of fathers and mothers.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PPBS) developed by Fogle(2003)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parents’ play beliefs. Lee Seung mi(2015)’s questionnaires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The School Children’s Happiness Inventory(SCHI) developed by Ivens(2007)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s happiness.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Baron & Kenny(1986)’s mediating effect method and sobel test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 support beliefs which play is of service to the whole person development of the child showed highly. And the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appeared higher than the father’s. Moreover, the weekend and legal holiday play participation time appeared higher tha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time. The parents participated often in the play with the children and the passive level mostly. And the individual variation of about existed but mostly 5-year-olds children felt the high happiness. Second,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belief had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at is, the child’s happiness can say that be high a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 is high.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level. Especially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statically. That is, there can say that be a lot of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a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re high.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And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had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at is, the child’s happiness can say that be high as there is a lot of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hird,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utterly. That i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can realize through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o have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s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and this has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It means that parents’ beliefs are connected in the action and this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7 A. 행복감 7 1. 행복의 개념 7 2. 유아의 행복 10 B. 부모의 놀이신념 13 C.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부모의 놀이참여 16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연구도구 22 C. 연구절차 25 D. 자료분석 2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A.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의 경향 30 1. 부모 놀이신념의 경향 30 2. 부모 놀이참여의 경향 30 3. 유아 행복감의 경향 31 B.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32 1.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 32 2. 부모의 놀이신념과 부모의 놀이참여의 관계 34 3.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 36 C.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 놀이참여의 매개효과 38 Ⅴ. 논의 및 결론 41 A. 논의 41 1.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의 경향 41 2.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43 3.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 놀이참여의 매개효과 46 B.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51 부록 61 부록 1. 62 부록 2. 72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3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the child’s happines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dc.creator.othernameLee, Hyeon Ji-
dc.format.pagevi, 75 p.-
dc.contributor.examiner홍용희-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