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9 Download: 0

글의 목적 및 학습자의 작문 수준에 따른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양상 분석

Title
글의 목적 및 학습자의 작문 수준에 따른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양상 분석
Other Titles
A analysis of the patterns of multimodal text accordiong to the purpose of text and the level of the writing abilities
Authors
김윤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스마트폰, 컴퓨터, 인터넷 등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우리의 의사소통 방식과 문식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도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는데, 특히 초등 저학년 단계에서 그림일기 쓰기나 그림책 만들기, 학급문집 만들기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초등 고학년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인데, 고학년이 될수록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가 한층 복잡해지고 그만큼 표현 양식도 다양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의 목적과 학습자의 작문 능력 수준에 따라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여 향후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과 관련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의 목적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학습자의 작문 능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양상은 어떠한가? 글의 목적에 따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설명적 텍스트와 서사적 텍스트를 각각 제작하도록 하였으며, 학생들의 작문 능력 수준에 따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전통적인 글쓰기 능력에 따라 학생들을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경기도 소재 B초등학교의 5학년 한 학급의 21명 학생들이며, 이들이 약 4개월 간 제작한 복합양식 텍스트 324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고, 삼각검증을 위해 연구자와 학생들 간의 면담을 녹취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글의 목적에 따른 복합양식 유형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름 붙이기, 말풍선 달기, 그림말 사용하기, 움직임 표현하기, 그림단추 사용하기, 그림글자 사용하기 6가지 복합양식 유형은 서사적·설명적 텍스트 모두에서 나타났다. 자유로운 생각과 느낌이 표현이 가능한 서사적 텍스트와 객관적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설명적 텍스트는 특성에 따라 복합양식 유형의 빈도에 차이가 있기는 하였으나 글의 목적보다는 주제, 표현방식, 독자고려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둘째, 학습자의 작문 능력 수준에 따라 복합양식 유형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차이를 보였다. 전통적 글쓰기에서 우수한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은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복합양식 유형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형태를 보였다. 그러나 누적된 문자 중심의 글쓰기 습관은 새로운 형태의 텍스트 제작을 방해하기도 하였다. 이는 복합양식 텍스트를 담아내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하게 된다는 점이 원인으로 보인다. 즉, 매체 제작에 수반될 ‘기술’적 절차에 대한 두려움(정현선, 2009)이 그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두려움은 학교 교육에서 여러 형태로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찾을 수 있겠다. 그 예로 ‘책 만들기’, ‘신문·영상물 만들기’등에서 복합양식 텍스트를 생산하기 위한 여러 매체 제작의 기술적인 방법들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문자 중심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하위 집단의 경우 글과 그림을 함께 표현하도록 하였을 때 부담 없이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었고, 글쓰기에 흥미를 갖고 보다 풍부한 의미 구성을 하였다. 또 독창적인 방식으로 글과 그림을 결합하기도 하는 등 상위 집단의 복합양식 제작 양상과 비슷한 형태를 보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논의를 갖는다. 첫째, 복합양식 텍스트는 의미 구성의 다양성과 기호의 복잡성 측면에서 학습자의 사고의 과정을 표현하는 데 효율적인 도구로서 효용 가치가 높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자유로운 글쓰기나 정확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에 상관없이 글과 그림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미 다양한 의사소통의 방식에 노출되고 있는 지금의 초등학생들은 학교교육 외에도 여러 경로를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를 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의미 전달에 익숙해져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기존의 복합양식 텍스트 활용을 넘어 새로운 텍스트를 창출하거나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교육적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 교사는 현 상태의 학습자들이 이와 같은 실현이 가능해지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여 적용하는 시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작문 능력 수준에 따라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양상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을 밝혔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의미 전달의 함축성 및 포괄성에 있어 전통적 글쓰기에 의해 생산된 정보의 이해 부분에서 대한 효율을 높이는 도구로서의 사용방법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져 있다. 반면 복합양식 텍스트를 전통적 글쓰기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는 현재 미비하다. 즉 본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를 제작하면서 일어나는 사고 과정에 기존의 전통적 글쓰기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모색해 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저학년에 복합양식 텍스트의 활용이 많이 반영되어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고학년에서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이 전통적 글쓰기로의 전개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적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mplex form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methods from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multimodal text of the form type for the purpose of Article targeting 5th grade studen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composite form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article. Descriptive text for the purpose of free thought and feeling is an objective informational and narrative text that can be represented is a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multimodal form types, depending on the nature, but rather the purpose of the article topic, representation, other, depending on the reader considers It showed a pattern. Second, it was the difference in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multimodal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writing skills levels of learners. Students looking for excellent achievement in the traditional form of writing showed that utilize a variety of multimodal forms for the exact type of meaning. But the habit of writing letters stacked center were also hinder the creation of new forms of text. On the other hand, if the sub-groups who have difficulty writing a letter center could start writing, feel free to express when with words and pictures, was interested in writing a richer meaning construction. Another ingenious way was a similar type of multimodal forms and aspects of production including the parent group, which also combine words and pictures can be large, its meaning in tha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omposite form text that utility value is high as an effective tool to express the process of thinking of the students in the complexity aspects of diversity and symbolic meanings configur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a new text learners beyond this, create or educational measures will help to prepare them to take advantage creatively. Another teacher suggested the need to take is to try to apply a variety of ways so as to be realized such that the learner's current state. Second, this study is the level of writing skills students are said to represent the difference in the composite form text production. Therefore, the judgment making the composite form text in the upp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t is being used is reflected in the use of multimodal forms much text in the lower grades will requir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ools that can be developed on how to traditionally wri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