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5 Download: 0

환경교육 현장체험학습에서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탐색

Title
환경교육 현장체험학습에서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탐색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in Field Experience Study
Authors
이영남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미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학습자 주도적인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요소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창덕궁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학습활동 녹화 영상, 전사 자료, SNS대화 내용, 학습 결과물, 설문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활동을 완료할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맥락화된 미션형식의 문제제시와 SNS를 통한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학습요소간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를 사전에 준비하였고, 모둠 별 상황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학습자료, 교사 그리고 동료와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와 학습자료의 상호작용은 교사가 준비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가 모둠의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제공됨으로써 일어났다. 이러한 자료들은 학습과정에서 학습을 촉진하는 비계로 작동하였고, 교사의 정리된 답안을 통해 현장에서 자기평가를 할 수 있었다. 학습자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주로 SNS를 통한 개별적인 대화로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코멘트는 수업 진행, 학생들의 수행결과에 대한 피드백, 답변에 대한 방향제시, 사고의 전환, 오류 수정 등 폭넓은 내용에 관한 것으로 제공되었다. 마지막으로, 동료간의 상호작용은 토의를 통한 문제 해결, 오류 수정, 역할을 분담의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본 체험학습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이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인 점과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갔기 때문이었다. 현장체험학습에서 스마트기기 활용이 편리한 것은 결과제출의 편의성과 SNS를 통해 교사에게 의문점을 바로 질문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스마트기기 활용이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 SNS를 통해 문제해결에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점과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꼽았다. 이 같은 결과는 다양한 자료를 통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것이, 현장체험학습에서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학습자 주도적인 환경조성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 a program for field experience study with smart devices, focusing on learners’autonomy; (2) to investigate interactions between educational elements. To meet the goal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Changdeokgung Palace with 7th grader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recordings, transcriptions, SNS conversations, students’ worksheets, and questionnaires. The data was thoroughly examined, and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ly, a program with contextualized tasks was develop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learners’ autonomy. The program also provides learners with immediate teachers’feedback through SNS. Additionally, varied materials were provided individually, such as images, videos, texts, or pictures in order to encourage interaction between educational elements. Secondly, the learners were able to complete the given tasks without direct teachers’ assistance, interacting with given materials, teachers, and peers. The learners making good use of the given materials, the materials were used as instructional scaffolding. In addition, teacher-learner interaction was undertaken through materials and SNS chatting. It included a wide rang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such as comment or feedback on the task, error corrections, and facilitating task completions. The other type of interaction is between peer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ork together to complete the tasks by discussing and taking their roles. Thirdly,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learner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since it required them to cooperate with the peers and to complete the given task. Furthermore,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allowed the learners to easily submit the assignment, to immediately interact with teachers, and to facilitate autonomy. The results show that using smart devices in a field experience study enhances learning and autonomy of students if they are utilized in a way to facilitate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