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초임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PCK탐색과 수업실제에 대한 사례연구

Title
초임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PCK탐색과 수업실제에 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vestigation and Actual Teaching of the Beginning Science Teachers
Authors
박계화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the beginning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alyze how the PCK was fulfilled in the reak teaching field, and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eachers' PCK and the actual science class, to be of help to boos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is, this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observation in 4 classes related to disease and immunity, CoRe(Content Representation)-based questionnaire, teacher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argeting 2 beginning science teachers with 3-year teaching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nalyzing components of PCK, such as the orientation towards science teaching, knowledge and belief of the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and belief of the teaching strategy, knowledge and belief of the learners and knowledge and belief of evalu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wo teachers' PCK, it did not fully revealed in the actual classes. Teacher Bae had the teaching-oriented idea that students could think scientifically and increase ability to resolve problems, and recognized them as learners who accepted knowledge. He also had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acquired from his teaching experience. He highly regarded writing on the blackboard and asking questions as his teaching strategy; his knowledge and faith of evaluation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However, he gave lecture-based classes, led by the teacher, in the actual class, and used class strategies using pictures, image media and science history to arouse curiosity and interest of student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faith of learners, curriculum and evaluation, from the actual classes; in evaluation, only simpl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cognitive field were made. In case of teacher Yu, the idea that the scientific teaching-orientation should develop understanding of social phenomena and the student participation-orientation were revealed, and her actual classes were reflected this well. She aroused the interest of science and encouraged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classes using SSI, discussion, quizzes, pictures and image media as her class strategies. Besides, she evaluat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nd social exploration ability along with scientific knowledge,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collecting materials, discussion and scientific writing. This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teacher's individual tendency and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as a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CK of the beginning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does not fully reveal in the actual classe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fforts, school atmosphere and teaching-orientation affect the formation and revelation of teachers' PCK.;본 연구에서는 초임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PCK를 탐색하고, 수업에서 실제적으로 PCK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사의 PCK와 과학 수업 실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3년차 초임 과학교사 두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관찰, CoRe(Content Representation)기반 질문지, 교사질문지, 반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Magnusson 등 (1999)이 제시한 PCK의 구성요소인 과학교수지향,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신념, 교수전략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학습자에 대한 지식과 신념, 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에 대해 분석하였다. 두 교사의 PCK에 대해 알아본 결과 배교사의 PCK는 수업실제에서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였다. 배교사는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는 교수지향을 가지고 있었고, 학생들을 지식을 수용하는 학습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과학교육과정에 대한지식은 교수경험으로 습득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수전략으로는 판서와 질문을 중요시하고, 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은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부족하였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는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는 강의중심 수업을 하고 있었으며, 판서와 질문 이외에도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 유발을 위해 사진, 영상매체, 과학사를 사용한 수업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학습자,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에서는 실제 수업과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평가는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 중 단순한 지식, 이해에 대한 평가만 이루어졌다. 유교사의 경우 과학교수 지향이 사회적 현상을 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학생참여중심지향이 나타나고 있었고, 실제 수업에서도 잘 발현되고 있었다. 수업전략으로 SSI를 이용한 수업, 토론, 퀴즈, 사진과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자료수집, 토론, 과학적 글쓰기의 다양한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과학지식과 함께 과학적 태도와 사회적 탐구능력을 평가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의 개인적인 성향과 교사로서의 학생을 가르친 경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초임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PCK가 수업실제에서는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다는 것과 교사의 PCK형성과 발현에는 개인적인 특성과 노력, 학교분위기, 교수지향이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