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임예람-
dc.creator임예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2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288-
dc.description.abstract청각장애인들은 외이, 중이, 내이 등의 문제로 인하여 청각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가 지속적으로 차단되어 말을 통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현대의 급격하게 발달한 과학을 토대로 성능이 우수한 보청기가 보급되고 최근에 들어와서는 인공와우이식술이 도입되면서 청력 손실에 의한 영향이 많이 개선되었으나, 청각장애인들에게 말을 이해하는 것은 아직 어려움으로 남아있다. 특히 소음이 있을 경우의 말소리 지각에 정상 청력을 가진 사람들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환경에 따라 말소리 지각에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에서 청각장애인들의 부족한 청각적 정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시각적인 의사소통 양상, 즉 독화가 필요하다. 독화 지도에 관해서는 100년이 넘는 시간동안 꾸준히 연구가 이뤄져왔고, 그동안 청각장애인의 독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독화 중재 접근법이 제시되었으며 그 효과도 검증되었다. 그 방식도 대면치료를 통한 정통적인 방법에서 비디오나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으로 발전해왔다. 최근 국내외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원격 치료에 대한 연구도 언어치료의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었으며 그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스마트폰을 이용한 독화 중재에 관한 선행 연구는 없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 독화 중재에 대한 효과도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독화 중재가 (1) 청년층 청각장애인의 독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2) 낯선 화자에 대한 대상일반화 효과 및 (3) 훈련하지 않은 단어와 문장에 대한 반응일반화 효과와 (4) 중재가 끝난 후에도 독화 능력이 유지되는지에 대한 유지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언어습득 이전에 청력 손실을 손실하였고 고도에서 최고도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청년층 청각장애인으로, 편측 혹은 양측에 보청기를 착용하였거나 인공와우 이식을 받았으며 스마트폰 사용에 어려움이 없는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단계 동안 매 회기는 평가 5분과 훈련 20분, 총 25분으로 구성되었으며, 훈련에 앞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훈련한 문장 및 단어에 대한 평가와 훈련되지 않은 일반화 평가 목록에 대한 독화 검사가 이루어졌고,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독화 중재는 주 5회, 총 4주 동안 실시되었고, 음절 변별 과제, 단어 변별 과제, 문장 이해 과제, 문단 이해 과제를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모든 평가와 중재는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졌으며, 대상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장소나 시간에 관계없이 연구에 사용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훈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독화 중재를 5명의 청년층 청각장애인에게 실시한 결과, 대상자들의 효과 크기와 수행력의 증가 정도는 각각 달랐지만 대상자 모두 문장 독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 독화 능력의 경우, 대상자 모두 정답률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긴 하였으나 효과 크기가 작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재 종결 직후에 일반화를 측정한 결과, 문장 수준에서는 대상일반화와 반응일반화 단계에서 5명의 대상자 모두 일반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단어수준에서는 대상일반화 단계에서 2명의 대상자만 일반화를 보였으며, 반응일반화에서도 3명의 대상자만이 일반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 종결 이후 3주간의 휴지기를 가진 후 실시한 유지 단계에서 대상자 1부터 대상자 4까지는 모두 중재를 통해 향상된 문장 독화 능력과 단어 독화 능력을 유지하였다. 그에 반해 대상자 5의 경우 문장 독화 능력은 중재 단계보다 향상된 정답률로 유지할 수 있었으나, 단어 독화 능력은 유지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적인 독화 지도나 컴퓨터 혹은 비디오를 이용한 독화 지도에 관한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독화 중재 또한 청각장애인의 독화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독화 중재의 효과성을 극대화시키는 도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중재에서의 언어치료사의 역할 또한 대상자들의 독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중재에 대한 연구와 이를 독화 중재에 적용한 사례가 국내외에 많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위와 같은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중재를 여러 언어치료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Deaf people have a speech communication difficulty because problems of outer ear, middle ear or inner ear constantly block information through the hearing. Although appearance of high performance hearing aid and cochlear implant based on the rapidly developed science technique improve the negative effect of hearing loss, understanding speech remain the difficulty with deaf people. Especially in the noise situation, deaf people have more difficulty in speech perception than normal hearing population, and they have large variations in speech perception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speechreading, visual communication method, is necessary for deaf people to compensate the deficient auditory information in everyday life communication. Many researchers studied about speechreading training over the last 100 years, and several speechreading training approaches have been suggested and the effect of training approaches were proved. Training tools are also developed from traditional face-to-face training to computer or video training. Recently, studies using smart device such as smartphone or tablet PC is increasing at home and abroad, and research of telepractice is studied in various fields of speech therapy and has shown its effectiveness. However, there is no previous studies about speechreading telepractic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nd its effectiveness is also unprov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1) the effect of speechreading telepractic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on speechreading ability of young deaf adults, (2) generalization effect in unfamiliar talker, (3) generalization effect in untrained word and sentence, and (4) maintenance effect. The criteria of selecting subjects in this study is severe to profou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onset of hearing loss before language acquisition, wearing hearing aid or received a cochlear implant one side or both side and no difficulty using smartphone.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peechreading training. Every session comprise 5 minute test and 20 minute training in intervention, and test is performed prior to training. Subjects took a tests about trained word and sentence in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hase and untrained word and sentence in generalization phase. In intervention phase, subjects were trained 5 times a week during 4 weeks. There are 4 tasks(syllable discrimination task, word discrimination task, sentence comprehension task, story comprehension task) in 1 training session. All assesment and intervention took place in online, and subjects can access to research site using smartphone regardless of time or lo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ugh degree of performance improvement and effect size is differed from each subjects, sentence speechreading ability of all subjects is improved. In the case of word speechreading abili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all subjects showed a rising tendency , but the effect size were small or little. Second, after finishing th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effect was measured. There are generalization effect in unfamiliar talker and untrained sentence for all subjects in sentence level. However, only 2 subjects showed generalization effect in unfamiliar talker and 3 subjects showed generalization effect in untrained word in word level. Third, maintenance phase started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phase. In maintenance phase, subject number 1 to number 4 showed maintained speechreading ability both sentence and word level, but subject number 5 showed maintenance effect only in sentence level. Speechreading telepractice intervention is also effective to improve speechreading ability of young deaf adults as previous studies on traditional speechreading training or speechreading training using computer or video. Therefore, smartphone has a meaning as a tool to maximize the effect of speechreading intervention and speech therapist is a essential factor to improve speechreading ability in telepractice using smartphone. There are lack of study about telepractice using smartphone and lack of case which apply telepractice to speechreading intervention. In this situation, results suggested from above will be clinically meaningful and also propose potential of telepractice using smartphone in various area of speech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독화에 대한 정의 및 특성 5 1. 독화의 정의 5 2. 독화와 말 지각과의 관계 6 3. 독화소에 대한 연구 8 4. 독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11 B. 독화 훈련에 대한 선행연구 14 C. 독화 훈련에서의 원격치료와 스마트폰 16 1. 원격치료에 대한 연구 동향과 독화 훈련에의 적용 16 2. 원격 독화 훈련을 위한 도구로서 스마트폰의 가능성 18 Ⅲ. 연구 방법 20 A. 연구 대상 20 B. 실험 도구 22 1. 독화 훈련 프로그램 22 2. 동영상과 온라인 서비스 30 C. 실험 기간 31 D. 실험 장소 31 E. 실험 설계 32 F. 실험 절차 32 1. 예비 단계 32 2. 기초선 단계 33 3. 중재 단계 34 4. 일반화 단계 35 5. 유지 단계 36 G. 자료의 측정 및 분석 36 1. 자료의 측정 36 2. 자료의 분석 38 H. 신뢰도 39 1. 종속 변인 신뢰도 39 2. 독립 변인 신뢰도 40 I. 사회적 타당도 41 Ⅳ. 연구 결과 42 A.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독화 중재가 청각장애인의 독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42 1. 문장 독화 검사 정답률의 변화 42 2. 단어 독화 검사 정답률의 변화 47 B.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독화 중재가 청각장애인의 독화 능력의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51 1. 대상일반화 효과 51 2. 반응일반화 효과 53 C.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독화 중재가 청각장애인의 독화 능력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 55 Ⅴ. 결론 및 논의 57 A. 결론 및 논의 57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9 참고문헌 70 부록 79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26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독화 중재가 청년층 청각장애인의 독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speechreading telepractic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on speechreading ability of young deaf adults-
dc.creator.othernameLim, Ye Ram-
dc.format.pageix, 93 p.-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