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송미숙-
dc.creator송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65-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conducted auditory-perceptual and acoustic assessments with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of the same age and gender, to specifically clarify whethe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ould listen to 3 types of emotional utterance and imitate and produce the same emotional prosody of the narrator. Moreover,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factor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receptive vocabulary, age of implantation, duration of implantation) and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scores of emotional utterance tasks (sadness, anger, happiness).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15 school-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from six to twelve years of age and 15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Total of 30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we implemented self-produced emotional utterance tasks. We implemented a two-way mixed ANOVA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of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for each emotional utterance task and acoustic parameters, between children group with cochlear implant and children group with normal hearing. We implemented 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related factor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receptive vocabulary, age of implantation, duration of implantation) and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scores (sadness, anger, happiness). The consequent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i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 scores, regarding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for emotional utterance. The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scor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ere shown to be relatively lower than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Secon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s found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mean, range and variability of fundamental frequency of emotional utterance types. Thirdly, while the differences of mean of intensity according to emotional utterance types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 between group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variability of intensity. In other words, the intensity valu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ere shown to display more variability compared to hearing children. Fourt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shown between related factor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receptive vocabulary, age of implantation, duration of implantation) and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scores of emotional utterance task (sadness, anger, happines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f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ould imitate utterances with emotional prosody at a greater chance level, by imitating ‘sad, angry, happy’ emotional utter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ility to imitate emotional prosody compared to hearing children. However, in the test where children's imitations of emotional utterance was assessed with auditory-perceptual manner, they received higher than average scores in the 5 point scale(1 point=can not be perceived, 3 points=average, 5 points=can be well perceived), which shows that results were not too poor. This can be seen from the result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measured intensity of the acoustic assessment. Excluding variability of intensity from the acoustic paramet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garding parameters and intensity of fundamental frequency. Through this finding, it can be assumed that to have a cochlear implant at an early age, and to accumulate auditory experiences by early intervention, can play a successful role in prosody development of children.;본 연구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이 3가지 감정 발화를 듣고 화자의 정서적 운율을 그대로 모방하여 산출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연령과 성별을 맞춘 또래 건청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서 청지각적 평가와 음향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에서 관련 변인(생활연령, 수용어휘력, 인공와우 이식 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감정 발화 과제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슬픔, 화남, 기쁨)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만 6세 ~ 만 12세의 학령기 인공와우 이식 아동 15명과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건청 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자체 제작한 감정 발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과 건청 아동 집단 간 감정 발화 과제별 청지각 평가와 음향학적 파라미터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원혼합 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에서 다양한 관련 변인(생활연령, 수용어휘력, 인공와우 이식 수술나이,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청지각적 평가 점수(슬픔, 화남, 기쁨)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단순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감정 발화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가 건청 아동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감정발화 유형에 따른 기본주파수의 평균, 범위, 변동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감정 발화 유형 내의 차이에서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기쁨과 화남이 슬픔에 비해 기본주파수의 평균값, 범위값, 변동률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화남이 기쁨보다 유의하게 높은 변동률 값을 보였다. 셋째, 집단 간 감정 발화 유형에 따른 강도 평균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강도의 변동률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강도 값이 건청 아동에 비해 더 큰 변동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의 관련 변인(생활연령, 수용어휘력, 인공와우 이식 수술 나이,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감정 발화 과제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슬픔, 화남, 기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청지각 평가에서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은 ‘슬픔, 화남, 기쁨’ 감정 발화를 모방하여 정서적 운율이 들어간 발화를 기대 수준(Chance level) 이상으로 모방할 수 있었다. 정서적 운율을 모방하는 능력이 건청 아동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아동들이 감정 발화를 듣고 모방한 것을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는 과제에서 5점 척도(1점=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3점=보통이다, 5점=매우 많이 느껴진다) 중 보통 수준 이상의 평점을 받으며, 매우 저조하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음향학적 평가에서 기본주파수와 강도의 측정치에서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음향학적 파라미터에서 강도의 변동률을 제외하고, 기본주파수 관련 파라미터들과 강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되도록 어린 나이에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하고, 조기 중재를 통해, 청각적 경험을 축적시키는 것이 아동들의 운율 발달에 성공적인 역할을 하는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건청 아동의 운율 발달 및 청각장애인의 운율 특성 8 B.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말 산출 및 운율 특성 10 C. 건청인 및 인공와우 이식인의 감정발화에 대한 선행연구 12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대상 17 B. 실험 과제 20 C. 연구 절차 22 D. 자료 분석 25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8 F. 신뢰도 28 Ⅳ. 연구 결과 30 A. 감정발화 과제의 청지각 평가의 집단 간 비교 30 B. 음향학적 측정치의 집단 간 비교 34 C.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에서 관련 변인과 감정 발화 과제 간의 상관관계 44 Ⅴ. 결론 및 논의 45 A. 청지각적 평가의 집단 간 비교 45 B. 감정 발화 과제의 음향학적 평가의 집단 간 비교 47 C.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와 관련 변인의 상관관계 53 D.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 록 67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37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학령기 인공와우 이식 아동 감정발화의 모방 능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청지각 및 음향학적 평가-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Emotional Utterance Imitation Abilities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 Auditory-Perceptual and Acoustic Assessments-
dc.creator.othernameSong, Mi Shook-
dc.format.pagexi, 76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성지은-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