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일화-
dc.contributor.author조현주-
dc.creator조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5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5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기수용,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45명(남자 168명, 여자 177명)이었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 자기수용 척도, 사회불안 척도(K-SAS-A와 SPAI-C)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기수용, 사회불안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기수용, 사회불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수들 간의 전반적인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자기수용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하위요인인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의 관계가 모두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자기수용은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의 관계에서도 각각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은 완전 매개 효과가 있었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자기수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수용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자기수용을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어머니가 심리 통제적인 방식으로 아동을 양육하더라도 아동의 자기수용 수준을 향상시킨다면 사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 및 상담전략으로 자기수용 향상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아동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함께 살펴보고 그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사회불안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한 부모 측면과 자녀 측면에서의 접근방법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hildren, self-acceptance and social instability, and thereby prov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inst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45 fifth and sixth graders (male: 168, female: 177)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PCS-YSR, self-acceptance scale and K-SAS-A and SPAI-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and the AMOS 18.0 statistical programs. In order to look into the overall tendencie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self-acceptance and social instability,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v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among the psychological control, self-acceptance, and social instability of mothers and found overall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social instability. Their psychological control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anxiety of their social instability. Their self-acceptance also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social instability and its factors,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anxiety. Second, self-acceptance had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their social instability. Their psychological control had direct effects on their self-acceptance, which had in turn direct effects on their social instability. Their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their social instability. That is, their psychological control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social instability via self-acceptance. The results above suggest that, although a mother raise a child in a psychologically controlling way, social instability can be reduced if the child's level of self-acceptance is improved. This study, therefore,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ed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 in self-acceptance as a therapy and counseling strategy aimed at reducing social instability. Beside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basic materials for coming up with an approach from the aspect of parents and the aspect of children for the decrease and prevention of social instability by examining both social and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social instability and finding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및 모형 5 Ⅱ. 이론적 배경 6 A. 사회불안 6 B.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8 C. 자기수용 10 D. 사회불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기수용의 관계 13 Ⅲ. 연구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측정도구 19 C. 연구 절차 21 D. 자료 분석 22 Ⅳ. 연구결과 23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3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3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25 B. 모형 검증 27 1. 측정모형 검증 27 2. 연구모형 검증 30 3. 매개효과 검증 32 Ⅴ. 결론 및 제언 33 A. 요약 및 논의 3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5 참고문헌 38 부록1. 설문지 47 ABSTRACT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46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수용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Instability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dc.format.pagevi, 52 p.-
dc.contributor.examiner조경원-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contributor.examiner이일화-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