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양서영-
dc.creator양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6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6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의 방향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 발달(경청, 예의, 배려, 인정, 존중, 절제, 리더십, 책임감, 정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S구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반 2학급의 유아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학급의 19명을 실험집단으로 배정하였고, 나머지 학급의 19명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처치는 2015년 9월 21일부터 10월 30일까지 6주에 걸쳐 총 6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동화를 감상한 후 소집단을 구성하여 또래와 함께 하는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동화를 감상한 후 개별 이야기 짓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혜진(2012)이 개발한 사회적 합의능력 검사도구 중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에 대해 공분산 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의 하위변인 중 경청, 예의, 배려, 인정, 절제, 책임감, 정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이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을 하면서 또래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경청과 절제의 필요성을 느끼고, 상대방을 인정하고 배려하고 예의를 지키며, 정직하게 나를 표현하고 행동하면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는 경험을 가짐으로써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 경험은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affected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esented a direction for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to allow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vided basic data applicable to educational practice. To do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How does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affect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listening attentively, courtesy, consideration, recognition, respect, moderation, leadership, responsibility, and hones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how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affected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t was performed in 38 children in two classes for five-year-olds at a private kindergarten in S-gu, Seoul. Nineteen children in one class form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teen children in another class comprised the control group. For experimental treatment, the activit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six sessions over six weeks from September 21 to October 30, 2015. After appreciating a fairy tale, the experimental group made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with peers in smal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made story-making activity personally. My adapt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among the social consensus ability scales developed by Yu (2012) was used to measure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in both group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and ANC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inter-group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allowed young children to improve such sub-areas of their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as listening attentively, courtesy, consideration, recognition, moderation, responsibility, and honesty. This result implies that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positively affected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making them feel the need for listening attentively and moderatio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peers, recognize and consider others, be courteous, express themselves and act with honesty, and perform their duties sincerely. In conclusion,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positively affected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t implies that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is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 6 1.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및 구성요소 6 2.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7 3. 협동적 이야기 짓기와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9 B.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11 1.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의 정의 및 교육적 효과 11 2.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의 활동방법 13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B. 연구 도구 및 방법 17 1.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17 2. 동화 선정 19 3.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의 활동방법 선정 23 C. 연구 절차 26 D. 자료 분석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5 A.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35 Ⅴ. 논의 및 결론 46 A. 논의 46 B.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4 부록1.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 검사 도구 61 부록2. 실험집단 활동계획안 64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14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의사소통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operative Story-Making Activity Using a Fairy Tale on Inter-Peer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dc.format.pageviii, 77 p.-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contributor.examiner이경미-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