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최세빈-
dc.creator최세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1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12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xpectations, teacher’s support, playfulness, perceived usefulness, and digital textbooks satisfaction in learning environment with Science digital textbooks. The model posits that expectations positively influences perceived usefulness. In turn, these expectations, perceived usefulness, teacher’s support and playfulness positively influence digital Textbooks satisfac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s continuance intention for digital textbooks. The research questions consist of three parts as following: 1. Does technical factors(expectations) have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2. Does social factor(teacher’s support), Individual factors(perceived usefulness), and Technical factors(expectations, playfulness) have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factors (digital textbook satisfaction)? 3. Does psychological factors (digital textbook satisfaction), Individual factors(perceived usefulness) have a direct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for digital textbook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Science digital textbook classrooms from one elementary school. Among collected data, cases having either unreliable responses or missing responses were removed and a total of 245 cases were used in the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which included social factor, psychological factors, Technical factors, and continuance intention for digital textbook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was fitting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M(PAM: A Post Acceptance Model of IS Continuance) was empirically proved its validity even in collectivistic culture. As a second part of the findings, the 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Technical factors(expectation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dividual factors(perceived usefulness). Second, technical factors(expectations, playfulness), Individual factors(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factors (digital textbook satisfaction). Third, psychological factors (digital textbook satisfaction) had positively influenced continuance intention for digital textbooks. Whereas Individual factors(perceived usefulness) didn`t have positively influenced continuance intention for digital textbook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successful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with Science digital textbooks.;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교육환경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표적 예로는 유비쿼터스 교육 환경을 들 수 있다. 유비쿼터스 교육 환경 안에서 학습자들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시공간의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학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최근 정부는 디지털세대(digital native)의 개별화된 학습욕구 충족 및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7년 3월『디지털교과서 상용화 추진방안 및 개발계획』을 발표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이를 기점으로 하여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상용화 사업은 국가 주도하에 진행되고 있으며 2015년 현재까지 약 2조억 원을 투자하여 디지털교과서 보급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까지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보급은 국가 주도하에 정책 사업으로 진행되어 디지털교과서 관련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전문 연구진을 중심으로 플랫폼 개발 연구 및 성과 측정 연구들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때문에 디지털교과서 관련 연구들은 디지털교과서의 실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현재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는 연구학교들은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유영, 김세리, 2008). 디지털교과서와 같은 새로운 혁신적인 도구가 교육현장에 성공적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국가 주도하의 체제구조나 형식적인 변화와 함께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게 실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식 변화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김미량, 한광현, 2006). 그러므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성과와 관련된 연구 뿐 만 아니라 실제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자가 될 학생의 활용경험과 인식에 기반한 디지털교과서 수용 영향변인을 규명하는 연구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초기 기술수용단계에서 사용자의 새로운 기술수용이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나 연구들 대부분은 Davis의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1989)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TAM의 경우 단순히 새로운 기술의 채택의 결정요인을 설명할 뿐 지속적인 사용요인을 예측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기에(오종철, 2006), 본 연구는 지속사용 영향요인까지 살펴볼 수 있도록 고안된 Bhattacherjee의 PAM(2001a)을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변인들을 구조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를 촉진 하는 교수전략과 수업운영에 대한 기초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일치는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교사의 지원, 유희성은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3. 지각된 유용성 및 디지털교과서 만족도는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N 초등학교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글독스를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245부의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절차는 본 연구에서 상정한 측정모형을 분석한 후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일치는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유희성은 디지털 및 교과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 만족도는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이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교사의 지원 유희성 및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와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단순히 기술 채택 여부의 영향변인이 아닌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입증하였다. 둘째, 디지털교과서 연구들 대부분이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반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실 사용자인 초등학교 학생들의 활용경험과 인식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일치, 유희성,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의 증진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가 높아짐을 밝혀냄으로써 지속사용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디지털교과서 5 2. 기대일치 5 3. 지각된 유용성 6 4. 교사의 지원 6 5. 유희성 7 6. 디지털교과서 만족도 7 7.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 7 Ⅱ. 이론적 배경 9 A. 디지털교과서 9 1. 디지털교과서 개념 9 2. 디지털교과서 특징 11 3. 디지털교과서 기능 13 B. 기술수용이론 14 1. 기대불일치모델 14 2. 기술수용모형(TAM) 15 3. 후기기술수용모델 17 C. 관련선행연구 18 1. 지각된 유용성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18 2. 만족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20 3. 지속사용의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23 D. 연구가설과 모형 24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C. 측정도구 28 1. 기대일치 29 2. 지각된 유용성 29 3. 교사의 지원 30 4. 유희성 30 5. 디지털교과서 만족도 30 6.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 31 D. 자료 분석방법 32 Ⅳ. 연구결과 36 A. 측정변수간의 기술통계치 및 상호상관 행렬 36 B. 측정모형의 검증 39 1. 측정모형의 부합도 분석 40 2. 측정모형의 타당도 분석 40 C. 구조모형의 검증 44 D. 수정모형의 검증 47 E. 간접효과 검증 50 Ⅴ. 결론 52 A. 모형검증 52 B. 직접효과 검증 53 1. 기대일치와 지각된 유용성간의 관계 검증 53 2. 기대일치 및 유희성과 디지털교과서 만족도 간의 관계검증 54 3. 지각된 유용성 및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와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간의 관계검증 54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7 참 고 문 헌 58 부 록 66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65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학교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al Relationship Effecting Factor for Continuance Intention for Digital Textbooks Use in Elementary School with Science Digita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Choi, Se Bin-
dc.format.pageix, 71 p.-
dc.contributor.examiner조일현-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contributor.examiner정재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