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음악대학 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Title
음악대학 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accordance with Self-Determination in Students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Music
Authors
김경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학생들의 자기결정성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학생들이 연습 상황에서 자기결정성에 따라 어떠한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구분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에 소재한 4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341명의 학생들로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 사항, 자기결정성,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3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는 Ryan과 Conell(1989)에 의해 개발된 SPQ-A와 Hayamizu(1997)의 척도를 통합·수정하여 한국의 일반적인 학업 상황에 맞도록 김아영(2008)이 개발한 한국형 학업적 자기조절설문지(K-SRQ-A)를 음악대학 학생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 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은 김일영, 김종백(2006)의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 검사 도구의 척도를 대학생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자료 처리는 연구 문제에 따라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대학 학생의 학년에 따른 자기결정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음악대학 학생의 학년에 따른 자기결정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음악대학 학생은 전공에 따라서 자기결정성의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그 중에 관현악전공은 무동기가, 통제적 동기는 한국음악전공이, 피아노 전공은 자율적 동기가 제일 높았다. 둘째, 음악대학 학생의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공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의 결과는 인지조절의 정교화와 행동조절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인지조절의 시연과 점검, 동기조절의 모든 요인에서 피아노, 관현악, 성악, 한국음악전공의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기결정성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성의 전체 하위 요인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교수자는 음악대학 학생에게 어떻게 연습을 하고 음악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도할 의무가 있고, 학생들의 음악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수자는 학생들의 자기결정성 동기의 수준을 올려주기 위해서 도전적이고 성공 가능한 적절한 수준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음악 학습 과정이 진행되면서 학생들이 학습하는 레퍼토리와 그들이 속한 집단에서의 조절력이 생긴다면 내적 동기는 증진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학교의 전공 수업 커리큘럼 중 실내악 수업과 오페라 워크샵 수업 등 다른 동료들과 상호작용 속에서 연습에 대한 내면화를 경험하면, 연습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고, 자기결정성의 높은 수준의 동기를 유발시켜 연습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의 능력까지 발달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classify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music by category and classifying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depending on their type of self-determination under practice situation.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on 341 students ranging from freshmen to seniors, in four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parts: generic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Korean Academic Self-Regulating Questionnaire(K-SRQ-A) was modified to suit the attributes of students in colleges of music, as a research tool for this study. The K-SRQ-A is an integrated and modified version(Kim 2008) of SPQ-A, designed by Ryan and Conell(1989), and the Hayamizu(1997) measurement scale, to fit South Korea’s general academic circumstances. In term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measurement scale in the ‘Self-Regulatory Ability Assessment Tool for Instrumental Practice’ by Il-Young Kim and Jong-baek Kim(2006) was revised to conform to the attributes of college students. SPSS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one-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of different grades, they didn't show any difference of self-determination in terms of grades.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 of self-determination depending on majors, while students of orchestral instrument major showed highest amotivation and stud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 showed highest controlled motivation and students of piano major showed highest autonomous motivation. Second, they didn’t show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depending on grades. Even though they didn’t show any significant meaning of all factors of both elaboration of cognitive regulation and action regulation,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piano, orchestral instruments, voic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both rehearsal and monitoring of cognitive regulation and all the factors of motivational regul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depending on self-determination, the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l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were cognitive, motivational, and action regulation. Such results suggest that instructors should have the responsibility to teach how to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musical ability and to make efforts in helping students out with issues related to music. Moreover, it is advised that instructors help students set up aggressive and attainable level in order to improve that of self-determin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y improve intrinsic motivation, if forming studying repertory of students and regulation of each organization depending on progress of music study course. Students on the other hand, are recommended interactive activities such as chamber music classes and opera workshops where they can experience internalization. This study hopes this can induce interests in students and increase motivations in accordance with areas with high self-determination, which can ultimately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in practicing music.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