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미-
dc.contributor.author고영진-
dc.creator고영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0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0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교육 관련 석사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분석 및 파악 하여 균형적인 국악교육 연구에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국악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국악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등학생이며, 분석 기간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설정하고, 국악교육과 관련된 석사학위 논문을 국회전자도서관과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전산목록에 근거하여 검색 및 수집 하였다. 수집된 352편의 연구물들을 외형적으로는 연도별, 대상별로 분류하고, 내용적으로는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 결과를 표와 그림으로 나타냈다. 연도별 분석 결과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32편이 연구되었다. 2006년에는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적은 양의 논문이 집계되었고, 2008년과 2010년, 2014년에는 40편이 넘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 10년 동안 연구 동향은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매년 평균 32편으로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상별 분석 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42편으로 50% 이상을 차지했고, 고등학생 95편(27%), 중·고등학생 15편(8%)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한 비율은 다른 대상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지도방안 연구가 200편으로 57%를 차지하였고, 교과서분석 94편(27%), 조사연구 27편(7%), 기타 연구 22편(6%), ICT 활용 연구 9편(3%) 순으로 나타났다. 지도방안 연구와 교과서분석이 전체 연구에서 80% 이상 비중을 차지했고, ICT를 활용한 국악교육 관련 연구는 5%도 미치지 못했다. 지금까지 다양한 국악교육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향후에는 창작 영역과 ICT를 활용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창작 영역의 연구는 국악 영역별 전체 논문에서 6%에 그쳤고, ICT를 활용한 국악교육 연구는 5%미만이다. 오늘날 현대 사회는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시대로, 학교 교육에서 ICT를 접목시킨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국악교육에서는 매우 저조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지도방안 연구와 교과서분석 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통해 학교에서의 국악 수업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참신하고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학생들이 우리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국악교육의 양적, 질적 연구와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사 및 연구자들에게 기초적인 참고자료로 사용되길 바라며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국악 교육이 발전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e study, it will tell you how the Korean music education changed and how it was developed for 10 year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right through master's theses. And it will be helpful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about information as well as have a balanced discrimination for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is study, I researched master's theses, based on the data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RISS Science research education service, about 352 researches result which were collected, it was classified by year and target subject, as a content, it was divided as a research theme then, it was shown with pictures and tabl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by years of research from 2005 until August 2015, the study was researched around 32 per year. Among this, in 2006 researches were below the average of the study. But in 2008 and 2010, there were more than 40 studies that were accomplished. In 2014, there have been 41 studies conducted. As you can see, there was no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number of researches beyond average number of 32. When I analyzed the research, most of the target was the middle school student, then High school student. Least of the target was the middle, high school. The research that target middle school student was over two times than other target, so that the study should be researched more to make a more balance study rate to revitalize among the studies to compare, research and analyze. Analysis result of theme could be divided as a way of instruction of the study, analysis text book, research study, utilization of ICT, and other research. The way of instruction of the study formed more than 50% compared to the other theme, particularly utilization of ICT study which formed below 5%. Therefore, th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themes for efficiency of research which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Similarly, recently for 10 years, the study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was researched constantly for efficiency study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way of instru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analysis of text book by researchers. But according to the research, one of the highlighted education is,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using utilization of ICT and ‘education in creation’, so tha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done in the creative area of Korean classical music. Also we need more researches about Korean music education in utilization of ICT, and it should be more creative in various object or the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D. 연구의 제한점 5 E. 선행연구 6 Ⅱ. 이론적 배경 9 A. 국악교육 9 B.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국악교육 14 Ⅲ. 국악교육 관련 석사학위 논문 분석 20 A. 분석기준 및 분류 20 B. 국악교육 관련 논문의 외형적 분석 22 C. 국악교육 관련 논문의 내용적 분석 26 Ⅳ. 결론 73 참고문헌 76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51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국악교육 관련 석사학위 논문 분석을 통한 국악교육의 연구 동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05년부터 2015년까지-
dc.title.translatedResearch tren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aster's theses : from 2005 to 2015-
dc.creator.othernameKo, Young Jin-
dc.format.pageix, 80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김선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