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노나래-
dc.creator노나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매체언어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을 구안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달하고 의사소통의 수단인 매체가 다양해지면서, 글과 말이 주를 이루던 우리의 소통 양식은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로 분화되고 확장되었다. 단일 양식 위주에서 복합 양식 위주로 소통 방식이 변화 하는 것 역시 이러한 매체의 발달에 영향이 크다.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매체 문식성(media literacy)은 매체의 특성을 알고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소한의 상식적 수준을 의미하며,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복합양식 문식성 개념은 지속적으로 매체적 특성을 기반으로 확장되거나 재개념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세분화, 구체화해온 새로운 문식성을 통합적 관점에서 주목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가 하나의 매체를 통해 생산되면서 복합적인 양식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며 독특한 의미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다큐멘터리는 2011~2014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수상작 중 휴먼 다큐멘터리에 한정하여, 「울지마 톤즈」, 「코피노 소년 킹리」, 「기적의 하모니」, 「학교의 눈물」 총 네 작품이다. 휴먼 다큐멘터리는 사람의 이야기가 주요 소재이기 때문에, 사실의 기록이라는 다큐멘터리의 논리적 접근과 동시에 문학적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교육에서 두루 활용할 수 있는 장르로 판단하여 휴먼 다큐멘터리의 작품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4개의 작품 총 7시간 분량의 영상을 글로 전사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적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크게 대상을 관찰하는 방법, 함축적 국면, 인터뷰, 내레이션의 각 부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코피노 소년, 킹리」는 연출요소를 최소화하여 연출자의 개입이 느껴지지 않도록, 시청자가 직접 지켜보게 하는 시선에 따라 구성하였다. 연출자의 개입을 최소화함은 인터뷰의 최소한으로만 사용했고, 시간의 순차적 구성 속에 영상을 흐름을 따라가는 내레이션 글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울지마 톤즈」는 주인공의 부재상태 및 한정된 시간 안의 해외촬영 등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제작해야하는 여건 속에서 효과적인 복합양식 텍스트의 활용 방안을 보여주고 있다. 취재와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졌으며 인터뷰와 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한 인물을 조명하였다. 실험을 통해 변화를 관찰하는 형식의 다큐멘터리인 「기적의 하모니」는 소년수형자를 주인공으로 설정함에 따라 그들의 특수한 상황이 가져올 사회적 논란에 성찰, 고백의 인터뷰로 시청자와 출연자를 대면하게 한다. 소년수형자들이 합창을 통해 변화해가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면서 동시에 다양한 인물들의 깊이 있는 이야기를 옴니버스 식으로 구성하였다. 「학교의 눈물」은 3부작으로 구성된 기획 다큐멘터리로서 논리적 구성으로 주제에 다가가기 위해 다양한 촬영을 기획하였다. 따라서 종합적 구성을 위한 선택과 배열이 이루어졌고, 인터뷰는 실험 속 인물의 캐릭터를 드러내고 갈등구조를 만들어가는 데 사용되었다. 네 작품 모두 사람의 이야기를 다루면서도 각각 중점적으로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와, 제작 환경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된 복합양식 텍스트 요소를 작품별로 분석하였다. 전문가가 제작한 분석 대상 작품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요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복합양식 텍스트 생산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 구안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 생산을 위한 기획의 전략은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지식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영상 구성을 위한 전략으로 지켜보기, 전달하기, 변화 관찰하기를 제시하였고, 서술자의 시점 설정 전략으로 작가적 시점, 관찰자적 시점, 1인칭 시점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표현 전략은 기능의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하였다. 편집 구성의 전략을 순차적 구성, 옴니버스식 구성, 주제별 구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인터뷰 활용 전략으로는 인터뷰를 통해 진실을 규명해 나가는 참여적 양식의 인터뷰, 시청자를 향해 출연자가 직접적 고백을 하는 성찰적 양식의 인터뷰, 인터뷰를 최소화 하는 관찰적 양식과, 사적 경험을 통해 구체적 사실을 규명해 나가는 수행적 양식의 인터뷰를 제시하였다. 다양한 양식의 텍스트가 제각각 제시되는 것을 하나의 언어적 의미로 관통하게 하는 내레이션 글쓰기의 전략은 정서적 감동을 위한 내레이션 글쓰기와 정보전달을 위한 내레이션 글쓰기로 구분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 생산 과정이 학습자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문학적 표현력 신장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보 전달에 효과적인 화면과의 내레이션 관계 및 구성이 필요하다. 세 번째, 출판의 전략은 교육 내용 중 태도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하나의 복합양식 텍스트의 성격 및 대상 독자에 따라 전략으로 유튜브, 페이스북, 블로그 등 알맞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생산한 복합양식 텍스트가 가지는 파급효과에 대해 인식하고 생산의 과정에서 메타적으로 글쓰기 윤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글쓰기 표현 교육을 통해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러 양식들이 한 순간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가지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생산은 각 단일양식 텍스트가 가지는 한계를 넘어서 표현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한다. 이 연구가 체계적인 매체언어 교육을 위한 내용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되기를 희망한다.;As scientific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and media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comes diversified, our communication by oral and literal previously dominated is divided and expanded into texts in a variety of forms. The expansion to multi-mode is also highly influenced by this development of media. Media literacy required in the modern society refers to the minimum level of common sens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to solve tasks. The notion of multimodal literacy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continuously expanded or re-conceptualized based on the features of media. This study focused on new literacy specified and concretized from the past in integrated viewpoint. Starting from the point that multi-modal texts is produced through a single media to enable unique meaning expression with the harmony of multiple formats, this study analyzed multi-modal text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human documentaries, which were limited to the prize-winning works of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broadcasting award from 2011 to 2014. Since human documentary takes the stories of people as its main material, it has the logical approach of documentary as the record of fact and literary narrative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us, this study determined that human documentary is a genre to be generally utilized in education. The contents for total 7 hours of each work were made into transcription to extract multi-modal texts elements. They were also analyz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each following part: observationalism, implicatory plane, interview, nar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modal texts elements per work that had been selected strategically according to production environment and the different messages intended to be delivered in priority despite the community of the 4 works dealing with human stories. 「Kopino boy, King Lee」 was configured centered on the viewpoint of direct observation without the intervention of producer by minimizing production factors. The minimization of the intervention of producer could be found from the narration writing to follow the flow of scenes in sequential configuration of time. 「Don't cry for me Sudan」 showed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multi-modal texts under the production circumstance with a lot of limitations, such as the absence of main character and shooting films in foreign country in insufficient time. Shooting films and data gathering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a character was addressed with active utilization of interview and data. 「The harmony of miracle」, a documentary in the format of observing the changes through experimentation, set young prisoners as its main character. Thus, it made its audiences and characters meet each other through interviews of reflection and confession with social controversy that their specific situations could brought. It sequentially showed the young prisoners changing themselves through by singing in chorus and comprised the in-depth stories of various characters in omnibus format at the same time. 「The tears of the school」 was a project documentary consisting of 3 parts. It organized a variety of shootings in order to approach its material with logical configuration. Therefore,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for comprehensive configuration was conducted, and its interviews were utilized to make conflict structure and to reveal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in the experimentation. Based on the analysis on multi-modal texts factors of the target works produced by professionals, this study designed educational contents to produce multi-modal texts suitable for learner’s level. The design strategies for multi-modal texts production were approached in terms of knowledge on multi-modal texts. As the strategies for configuring scenes, observing, delivering, watching changes were suggested. As the strategies were suggested : for setting narrator’s viewpoint, author’s viewpoint, observer’s viewpoint, the first person viewpoint Second, the strategies for expressing multi-modal texts were suggested by focusing on functional part. The strategies for editing configuration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of sequential configuration, omnibus configuration, subject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strategies for using interviews were participating interview to verify the truth through interviews, the reflecting interview in which characters made direct confession for audiences, observation to minimize interviews, performing interview in which specific facts were identified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were suggested. The narration writing strategies for link individual texts in a variety of format into a single linguistic meaning were classified into narration writing for emotional touch and narration writing for information delivery. The producing process of multi-model texts helped the enhancement of various and creative expression capability for literature. Also, it demanded the effective relationship and configuration with scenes for information delivery. Third, the strategies for publishing were approached in terms of attitude among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ulti-modal text and target audiences, the strategies for allowing the selection for appropriate channels such as Youtube, Facebook, Blog should be contained in education contents. In addition, the awareness on the influences of the produced multi-modal texts and the application of meta-writing ethic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should be guided. It is expected that the wiring expression education for multi-modal texts can improve more diverse and rich expressive capability. The production of multi-modal texts that combines a variety of formats in a moment can open the new horizon of expression beyond the restriction of a single-modal text.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contents for systematical media languag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5 C. 연구 대상 및 방법 10 1. 연구 대상 선정 10 2. 연구 대상 분석과정 14 Ⅱ. 복합양식 텍스트와 다큐멘터리의 이론적 배경 16 A. 매체의 발달과 문식성의 변화 16 1. 매체의 발달에 따른 텍스트 양식의 변화 16 2. 통합성을 강조한 문식성의 재개념화 19 B. 다큐멘터리와 복합양식 텍스트 23 1. 다큐멘터리의 특징과 종류 23 2. 휴먼 다큐멘터리의 특징 29 3. 다큐멘터리의 복합양식 텍스트적 요소 35 Ⅲ. 다큐멘터리의 복합양식 텍스트 생산 양상 분석 41 A. 연출요소의 최소화: 코피노 소년, 킹리 41 1. 의도적 요소를 최소화한 촬영 연출 42 2. 기록에 충실한 순차적 구성 46 3. 인터뷰의 최소화 47 4. 아름다운 영상과 시선을 따라가는 내레이션 48 B. 자료와 인터뷰의 재구성: 울지마 톤즈 53 1. 취재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촬영 53 2. 연출 의도에 따른 구성 55 3. 직접 촬영분과 자료의 활용 58 4. 짧은 문장의 효과적인 내레이션 60 C. 성찰과 변화의 관찰: 기적의 하모니 64 1. 변화 관찰을 위한 실험 기획 64 2. 다수의 출연자와 병렬적 구성 67 3. 성찰적 고백의 인터뷰 69 4. 등장인물과 서술자의 일치 71 D. 종합적 기획 다큐멘터리: 학교의 눈물 74 1. 다양한 접근방식을 활용한 촬영구성 75 2. 종합적 구성을 위한 선택과 배열 78 3. 갈등 서사구조의 연출과 캐릭터의 다양화 82 4.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내레이션 86 Ⅳ. 복합양식 텍스트 생산을 위한 교육 내용 구안 90 A. 기획의 전략 90 1. 영상구성 전략 91 2. 연출자의 개입 정도 전략 95 B. 표현의 전략 99 1. 편집구성 전략 100 2. 인터뷰 활용 전략 102 3. 내레이션 글쓰기 전략 107 C. 출판의 전략 115 1. 출판매체 선택의 전략 116 2. 매체 공간에서의 윤리적 글쓰기 전략 122 Ⅴ. 결론 및 제언 126 참고문헌 130 ABSTRACT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841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복합양식 텍스트 생산을 위한 매체언어 교육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휴먼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ducation contents of media language for the production of multi-modal texts : centered on human documentary-
dc.creator.othernameNoh, Narae-
dc.format.pagevii, 136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562-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