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

Title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Authors
김예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based on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1-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1-2.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1-3.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hild's loneliness according to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3-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mother's rearing attitude? 3-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father's rearing attitude? 3-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3 4, 5 year old children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Incheon, Daegu, and their 103 pairs of mothers and fathers. In order to measure child's loneliness,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LSDQ) developed by Asher and Wheeler(1985), revised and modified by Cassidy and Asher(1992), adated by Jin Hee Lee(2011), was translated, revised and then used. In order to measure parents' rearing attitud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developed by Schaefer(1959), used by Moon Ju Bae(2005), was used after modifying and complementing.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Wh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one-way ANOVA, Scheffe posterior test was use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rst, the study was able to find that 4, 5 year old children have some level of feeling of loneliness. In other words, some children feel less lonely, but others relatively fell lonely a lot. Also, both mother and father tend to have affectional attitude rather than rejectional attitude in child rearing. To be specific, mother is most likely to have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but father is most likely to have affectional-restrictive attitude. Also, the average level of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there was the highest level of consistency in the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ild's loneliness according to child's personal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number of siblings,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s gender, age.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child's personal variables, mother's rejectional-autonomous attitude ha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hild's age, but father's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and rejectional-restrictive attitude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hild's number of sibling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rearing attitude depending on child's gender. Thir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mother's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father's rearing attitud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본 연구는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외로움의 경향은 어떠한가? 1-2. 부모 양육태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1-3.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는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의 외로움은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부모 양육태도는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아의 외로움과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유아의 외로움과 아버지 양육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 인천, 대구지역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3곳에 재원 중인 만 4세 48명, 만 5세 55명 등 유아 총 103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각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외로움을 측정하기 위하여 Asher와 Wheeler(1985)의 초등학생용‘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LSDQ)’를 Cassidy와 Asher(1992)가 유아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진희(2011)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Schaefer(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배문주(2005)가 번안한 설문지를 연구자가 다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 5세 유아들은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는 모두 자녀 양육에 있어서 거부적 태도보다 애정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더 높았다. 한편 어머니는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가장 높았고, 아버지는 애정적-통제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가장 높았다. 또한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애정적-자율적 태도 유형에서 일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른 유아의 외로움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형제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형제 수가 2명 이상인 유아가 형제 수가 1명인 유아보다 외로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유아의 성별,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머니의 거부적-자율적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만 5세 유아의 어머니가 만 4세 유아의 어머니보다 거부적-자율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더 낮았다. 또한 유아의 형제 수의 경우, 유아의 형제 수에 따라 아버지의 애정적-자율적 태도와 거부적-통제적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외동인 유아의 아버지가 형제 수가 2명 이상인 유아의 아버지에 비해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높았으며, 형제 수가 1명 또는 2명 이상인 유아의 아버지가 외동인 유아의 아버지에 비해 거부적-통제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높았다. 한편,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양육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 중 애정적-자율적 태도에서 유아의 외로움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가질수록 유아가 외로움을 적게 느꼈다. 한편 아버지 양육태도는 유아의 외로움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 또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