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규진-
dc.contributor.author여울-
dc.creator여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2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resent state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designated for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nd to contemplat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uture. For this, domestically published 83 papers in total from 2000 to June 2015 of art therapy-related research for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re analyzed into 4 parts: years of research materials and publishers, research targets,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nual analysis of research data is that there are 83 papers of art therapy study for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from 2000 to June 2015: 17 journal research papers, 61 master’s thesis papers and 5 doctorate thesis papers. The compilation of the entire research has been increased since 2004 as the base For the analysis result of the publishers, 6 papers were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Art Therapy and 10 papers were awarded a degree from Daegu University, which are the largest in number.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research trends is that 45 research papers with the clinical diagnosis of subject is ‘dementia’ which is the most common. In addition, the most common research target is a group of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and severe dementia and 53 researches carried out with a group consisted of female and male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Third, the analysis result of research methods is that there are 44 experimental studies, 31 case studies, 7 other studies and 1 research study. Among these, there were 68 pretest-posttest designed researches. Projective diagnostic techniques have been used 27 times and Objective diagnostic tests have been used 154 times in the study. Forth, the analysis result of research trends based on research contents is that there were 35 researches with topic on emotional domain and 34 researches with topic on cognitive domain. The analysis result of type of treatment used for therapy is that 76 researches carried out group treatments and 40 researches conducted their treatments in a medical institution which are the most often used. For the analysis result of researcher’s majors, 47 researches were done by majors in Art therapy. 14 researches applied 16-session-treatment for a total number of sessions, 40 researches with once-a-week treatment for a treatment routine and 49 researches applied 60 minute for one session for a treatment duration were the highest portion.;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미술치료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연구 현황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5년 6월까지의 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 연구 중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17편과 석, 박사학위논문 66편의 총 83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 자료의 연도 및 발행처, 연구의 대상, 연구의 방법, 연구의 내용별 분석기준을 활용하여 치매노인 미술치료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각 기준에 따라 분석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자료의 연도별 분석 결과에서는, 2004년을 기준으로 전체 연구의 편수가 증가하기 시작한 후 꾸준한 증가 양상을 보이다가 2010년에 연구의 편수가 1편으로 급감하고 다음해인 2012년에 12편으로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2013년부터 다시 절반의 비중으로 줄어들던 연구의 편수는 2014년과 2015년 상반기 사이에 다시 두 배로 증가하였다. 연구의 발행처별 분석 결과에서는 학술지 연구논문의 경우 한국미술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연구의 7.2%를 차지하였고, 학위논문의 경우 대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수여한 학위논문이 10편으로 전체의 12%를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의 대상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구 대상의 의학적 진단명별 분류에서는 연구 대상의 치매 유형이 정확한 의학적 진단명으로 기재되지 않고 ‘치매’로만 기재된 연구가 45편으로 전체 연구의 54.2%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의 치매 중증도에 따른 분류에서는 경증 치매노인과 중증 치매노인이 혼재된 집단 대상의 연구가 42편으로 50.6%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의 성별에 따른 분류에서는 여성 치매노인과 남성 치매노인이 혼재된 혼성 집단 대상의 연구가 53편으로 가장 많았고 63.8%의 비중을 나타내었다. 셋째, 연구의 유형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실험연구가 44편으로 전체 연구의 53%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사전-사후 검사설계를 적용한 연구는 68편으로 전체의 82%에 해당하였다. 연구에서 사전-사후 검사를 위해 활용한 도구의 유형과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객관적 측정도구의 사용은 154회, 그림투사도구의 사용은 27회로 나타났다. 객관적 측정도구에서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가 60회, 그림투사도구에서는 HTP가 13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의 내용에 따른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구의 주제별 분석 결과에서는 정서영역을 주제로 한 연구가 35편으로 34.7%를 차지하였고, 인지영역을 주제로 한 연구가 34편으로 33.7%의 비중으로 나타나 이 두 영역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치료 형태별 분석 결과로는 전체 연구의 91.6%에 해당하는 76편의 연구가 집단 치료로 진행되었고, 이 중 의료기관에서 진행된 연구가 4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의 48.2%에 해당하였다. 연구자의 전공분야별 분석 결과에서는 미술치료전공자의 연구가 47편으로 56.6%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에서 실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총 횟수별 분석 결과로는 16회기를 적용한 연구가 14편으로 16.9%에 해당하여 가장 많았으며, 주당 치료횟수별 분석 결과에서는 주당 1회기를 적용한 연구가 40편으로 전체의 48.2%를 차지하였다. 연구의 회기 당 치료시간을 분석한 결과로는 한 회기에 60분을 적용한 연구가 49편으로 절반이상인 59%에 해당하여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치매노인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현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도출된 결론을 통하여 향후 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유의미하리라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연구문제 5 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1. 치매노인 6 가. 노인성 치매 6 나. 증상과 치료 8 2.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11 Ⅲ. 연구방법 13 1. 연구대상 13 2. 자료수집 14 3. 분석절차 및 기준 14 가. 연구 자료의 연도와 발행처별 분석기준 15 나. 연구의 대상별 분석기준 15 다. 연구의 방법별 분석기준 16 라. 연구의 내용별 분석기준 17 Ⅳ. 연구결과 18 1. 연구 자료의 연도와 발행처별 연구동향 18 가 .연구 자료의 연도별 분석 18 나. 연구 자료의 발행처별 분석 20 2. 연구의 대상별 연구동향 23 가. 의학적 진단명(치매)의 유형 23 나. 치매의 중증도 24 다. 성별 25 3. 연구의 방법별 연구동향 26 가. 연구의 유형 26 나. 사전-사후 검사 27 4. 연구의 내용별 연구동향 32 가. 연구의 주제 32 나. 연구의 치료형태 33 다. 연구자의 전공분야 34 라. 연구의 총 치료횟수 35 마. 연구의 주당 치료횟수 36 바. 연구의 회기별 치료시간 37 Ⅴ.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5 부록1 47 부록2 49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03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00년∼2015년 국내 논문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Trends of Art Therapy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 Based on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5-
dc.creator.othernameYeo, Oul-
dc.format.pagev, 55 p.-
dc.contributor.examiner김혜령-
dc.contributor.examiner이은아-
dc.contributor.examiner최규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