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규진-
dc.contributor.author홍경란-
dc.creator홍경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4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40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rt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children who experienced bereavement. After classifying studies of psychotherapy on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by type of approach, we examined key elements of treatment. Thereafter, w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rt therapeutic relationship by suggesting the therapeutic elements of art therap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rapeutic relationship of art therapy.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case study of psychotherapy conducted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As a result, according to core theory, we could classify psychotherapy into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humanistic psycho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psychotherapy. The key elements of respective psychotherapy were found to be as follows: The key element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seemed to be an holding environment where children are embraced, re-searching of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conscientization of unconsciousness, searching a new relationship. We could identify the key elements of humanistic psychotherapy that are positive and receptive attitude of the therapist, true empathy of therapist, emotional expression of children and voluntary activities through non-directive intervention. In cognitive behavioral psychotherapy, psychological education, bereavement incident, own feeling,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and the cognitive reconstruction of current surrounding relationship could be seen as the key elements. We could confirm that the key elements of art therapy were activity through artistic media, emotional expression of children and creative self-expression. When we compare the above key elements, we could find that emotional approach is mainly conducted in art therapy and utilization of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 was low. Based on these, we considered therapeutic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art therapeutic relationship. As a result, firstly, we could identify elements which form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s and children who visited therapist for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directive method and non-directive method, and we could see that the directive method can utilize psychological education and cognitive reconstruction as therapeutic elements. Second, we could se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 and task behavior of children who visited therapist for counseling that understanding behavior of children, setting up treatment direction and plan, and facilitation of self-expression could be utilized as therapeutic elements. Third, we could confirm that understanding emotion and cognition of children who visited therapist for counseling and setting up treatment plan could be therapeutic elements. Fourth, we could recognize that therapeutic elements of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who visited therapist for counseling and task process could discover self-exploring, expression and potentiality of children. Fifth,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who visited therapist for counseling and their task outcomes, we could confirm that task outcomes can be used as communication means to help conscientization of unconsciousness and cognitive reconstruction, and acquisition of sense of fulfillment which are identified as therapeutic element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when we make art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it was possible to expand art therapeutic relationship through therapeutic elements within art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also it was possible to utilize it in cognitive aspects.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study can help identifying key therapeutic elements in psychotherapy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providing information to be used to set up treatment direction and plan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in the field of art therapy, and contributing to suggest direction.;본 연구는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적 관계의 확대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의 사례연구들을 핵심이론 유형별로 분류한 후, 치료의 핵심요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후 미술치료의 치료적 관계 유형에 따라 치료적 요소를 제시하여 확대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의 사례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핵심이론에 따라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인본주의적 심리치료, 인지행동적 심리치료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심리치료의 핵심요소는 다음과 같이 알 수 있었다.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의 핵심요소는 안아주고 담아주는 환경, 고인과의 관계 재탐색, 무의식의 의식화, 새로운 관계 탐색으로 볼 수 있었다. 인본주의적 심리치료는 치료사의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와 진실된 공감, 아동의 감정표현, 비지시적인 개입을 통한 자율적인 활동으로 핵심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인지행동적 심리치료에서는 심리교육과 사별사건, 고인과의 관계, 현재 주변과의 관계, 자기감정 등에 대한 인지재구성을 핵심요소로 볼 수 있었다. 미술치료의 핵심요소는 미술매체를 통한 활동, 아동의 감정표현, 창조적인 자기표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핵심요소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미술치료에서는 주로 정서부분에 대한 접근으로 진행되며, 인지와 행동 부분에 접근은 활용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는 치료적 요소를 미술치료적 관계의 유형에 따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 치료사와 사별경험아동 간 관계에서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과 치료적 개입방법에 따른 요소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치료적 개입방법에 따른 요소는 지시적인 방법과 비지시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지시적인 개입방법에서 심리교육과 인지 재구성을 치료적 요소로 활용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치료사와 사별경험아동의 작업행위 간 관계에서 아동의 외현적 모습에 대한 이해와 치료방향, 계획 설정, 자기표현 촉진을 치료적 요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치료사와 사별경험아동의 작업결과물 간 관계에서 아동의 내재적 모습에 대한 이해와 치료방향, 계획 설정이 치료적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네 번째로 사별경험아동과 작업과정 간 관계에서 치료적 요소로 내담아동의 자기탐색 및 표현과 잠재력을 발견, 무의식의 의식화, 인지 재구성 등을 활용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다섯 번째로는 사별경험아동과 작업결과물 간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수단, 무의식의 의식화, 인지 재구성, 성취감 고취 등을 치료적 요소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하여 미술치료적 개입을 할 때에 미술활동을 통하여 인지적 접근과 인지 재구성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과 미술치료적 관계 안에서 치료적 요소를 통해 미술치료적 관계의 확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현장에서 치료의 방향과 계획을 설정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리라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연구방법 5 Ⅱ. 본론 6 1. 사별의 정의와 이해 6 가. 사별에 관한 이론적 접근 6 나. 정상적 사별슬픔과 비정상적 사별슬픔 9 2. 사별을 경험한 아동의 특성 12 가. 인지적 측면 12 나. 정서적 측면 14 다. 행동적 측면 15 3.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의 유형과 핵심요소 16 가.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의 유형 16 나.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의 핵심요소 18 4. 사별을 경험한 아동과 미술치료 33 가. 사별을 경험한 아동과 미술치료의 특성 33 나.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핵심요소 35 다.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와 미술치료의 핵심요소 비교 40 라. 사별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적 관계의 확대 가능성 43 III. 결론 51 참고문헌 55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04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사별경험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적 관계의 확대 가능성에 대한 소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심리치료적 요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nsideration of possibility of expanding art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children who experienced bereavement : Focusing on psychotherapeutic elements-
dc.creator.othernameHong, Kyung ran-
dc.format.pageiv, 63 p.-
dc.contributor.examiner김혜령-
dc.contributor.examiner이은아-
dc.contributor.examiner최규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