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숙영-
dc.contributor.author이지현-
dc.creator이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9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960-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의 자발적 작업과정이 성인초기 30대 고학력 비정규직 여성의 심리적 소진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단일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30대 유치원 시간강사로 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신체적 피곤함 뿐 아니라 무기력, 주변관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의 심리적 소진 증상을 호소하였다. 자발적 미술작업은 총 14회기로 이루어졌고 매 주 2회 120분씩 연구 환경에 맞게 구성한 독립된 공간에서 실시되었다. 심리적 소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심리적 소진 척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나무그림검사, 동적직장생활화 검사이다. 또 매 회기 연구 참여자의 작업과정을 관찰한 내용과 녹취록, 비주얼 저널을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의 자발적 미술작업 과정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의 자발적 미술작업은 성인 초기 30대 고학력 비정규직 여성의 심리적 소진의 문제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자발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통해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발적 미술작업과정에서 내담자가 주체가 되어 치료과정을 이끌어 가는 것은 치료 상황에 대한 내담자의 방어를 줄이고 깊이 있는 자기탐색을 도왔으며 자신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도록 도왔다. 또 자발적 미술작업은 심리적으로 안전하고 자유로운 창조적 환경을 내담자에게 제공하여 미술작업을 통해 문제 해결과정을 연습해 보게 함으로써 자신을 소진시키는 실제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자발적 미술작업 과정이 다양한 생애사적 역할과 사회적 요구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겪는 대상자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 self-voluntary art work process in an art therapy can have an effect on a subject: well-educated, casual female worker in her thirties, through a single case stud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part-time kindergarten teacher in her thirties who is also currently attending a graduate school and suffers from a mental burnout and shows symptoms of asthenia, fatigue, and is afflicted by negative perception from her surroundings. Non-directed environmental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in a separately arranged space suitable for non-directed environment to be carried out in total of 14 sessions-twice a week for 2 hour in each session. In order to assess the mental burnout change, Masalach Burnout Inventory(MBI), Draw a Tree(DAT) test, Kinetic Office Drawing(KOD) test was used and analysis of visual journals, recordings, and observation of the study subject in every session was organi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revealed that process of voluntary art work in an art therapy of well-educated, casual working woman in early thirties’mental burnout was alleviated when a self-voluntary environment was given to explore one’s mental burnout problem according to one's needs. Second, when the client led the therapy process as to initiate the self-voluntary art work; it helped to lower the client's self-defense mechanism, helped to self-explore, and one could actively accept one's issues. Also, it is shown that self-voluntary art work process offered a mentally safe, free, and creative environment to the client by providing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an art activity which became a practice for the person to be flexible in coping with the real environment that burnt one out; resulting in the relief of the mental burnout.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voluntary art work proces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jects that experience mental burnout in life from various personal roles and social dema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성인 초기 30대 고학력 비정규직 여성과 정신건강 5 A. 성인초기 30대 고학력 비정규직 여성 5 B. 30대 고학력 비정규직 여성의 정신건강 7 Ⅲ.심리적 소진과 미술치료 9 A. 심리적 소진의 정의 9 B. 심리적 소진과 미술치료 10 Ⅳ.미술치료에서 자발적 미술작업 과정과 비지시적 환경 14 A. 자발적 미술작업과 비지시적 환경 14 B. 비지시적 환경에서 자발적 미술작업 과정과 미술치료 16 Ⅴ.사례 연구 21 A. 연구참여자 22 B. 연구방법 23 C. 측정도구 29 D. 회기분석 34 E. 연구결과 65 Ⅵ.결론 87 참고문헌 91 부록1.연구동의서 95 부록2.설문지 96 부록2.A의 작품 도판 99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576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미술치료에서 자발적 미술작업이 심리적 소진완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성인 초기 30대 고학력 비정규직 여성 단일사례연구-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lf-voluntary Art Work Process in an Art Therapy in Relief of Mental Burnout : Single Case Study of Well-educated, Casual Female Worker in Early Thirties-
dc.creator.othernameLee, Ji hyun-
dc.format.pageiv, 10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690-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혜-
dc.contributor.examiner박숙영-
dc.contributor.examiner한경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