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Title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concept of children during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Authors
신혜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로서,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하면서 아동의 자기개념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그리고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자기개념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미술치료에서 자기상을 탐색하는 과정은 의식, 무의식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나’에 대한 총체적인 생각, 즉 자기개념을 표현하고 전개하여 재정립해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시각적으로 표현된 자기상은 자기개념을 반영하며 의식, 무의식적인 자신에 대한 은유를 포함한다. 또한 자기상이 자기표상의 외적 표현임을 고려할 때, 자기상을 통해 아동의 대상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현재 상태에 영향을 주는 초기 내면화된 대상과의 관계를 시각화함으로써, 아동은 대상관계를 재정립하고 자기표상을 재구조화할 수 있게 된다. 연구를 위해 협의이혼 숙려 기간에 있는 8세 여아를 대상으로 개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5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주 1회 60분씩 15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또한 가정과 학교에서의 아동의 변화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매 회기 어머니 상담을 병행하였다. 미술치료 전문가 2인에게 임상 감독을 받아 회기별로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거쳤고, 사전 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집-나무-사람 검사와 동적 가족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개념 변화 과정을 보기 위해서 초기, 중기, 후기 세 단계로 나누어 표현된 아동의 자기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매 회기 작품과 언어 표현, 행동 표현 등의 관찰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치료 초반에 아동은 자기 인식의 결여와 자기방어로 인해 모호하고 파편적인 자기개념을 드러냈으나, 부모 이혼 과정에서의 경험과 감정을 수용하고 이를 연구자에게 개방하면서 점차 명료한 자기개념을 형성하였다. 아동은 ‘충분히 좋은 어머니’ 역할을 하는 치료사라는 대상을 통해 ‘촉진적 환경’을 제공받았고, 미술 매체를 ‘중간 대상’으로 삼아 양육자인 어머니에게서 분리하는 연습을 하였다. 그 후 아동은 독립된 주체로서의 자기를 인식하여 자기상을 만들어내었고, 이로써 자기개념을 증진시키게 되었다.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는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에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였다. 아동은 자기상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기표상과 주 양육자인 어머니 표상을 가시화하였으며, 그를 통해 초기 대상관계를 확인하고 재구성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부모의 갈등에서 비롯된 양육자의 돌봄 결여와 무조건적 존중의 결핍은 아동에게 거짓자기를 형성하도록 하였고, 거짓자기는 참자기를 숨기기 위해 은유적 자기상이라는 보호막을 사용하였다. 은유적 자기상이 가지는 의미를 심층 탐색함으로써 아동은 그것이 진짜 자기의 모습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아동은 은유된 자기상을 통해 다른 관점에서 자기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그 은유가 새로운 은유로 바뀌는 지점에서 긍정적 치료적 변화가 일어났다. 본 연구는 부모 이혼 과정이라는 혼란 상황에서 미술치료 개입이 아동의 자기개념을 안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로서, 이혼 가정 자녀들을 위한 심리적 개입 시기를 결정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기개념은 부모 이혼 후에도 아동이 적응적 삶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력성의 토대가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self-concept of children during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and what effect comes through the art therapy, especially focused on searching for self-imag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self-image in art therapy is to express, to develop and to reconstruct self-concept, the overall idea about ‘me’ that i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located inside. Self-image that represents self-concept includes metaphors about one’s conscious or unconscious self. Additionally, considering self-image is the outward expression of one’s self-representation, the object relations of children can be inferred from it. By visualizing the initial internalized objet relation that affects the current state, children are able to redefine the object relations and restructure the self-represent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n 8 year old girl whose parents were in the legal divorce meditation period. The period of the art therapy was from January, 2015 to May, 2015. Total 15 sessions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1 hour at OO regional welfare center.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session 1-3) was for reducing the child’s defense and tension, and forming a rapport with the therapist. And in this period the child could start to find her self-image. In the second part(session 4-12), the child gradually explored her self-image deeply and expressed her direct emotions. In the last part(session 13-15), the child integrated her self-images and firmed her true self-concept. In order to follow up her changes at home and at school as well, her mother’s interview was paralleled. Every session was reviewed and redeemed under 2 experts in art therapy. To measure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House-Tree-Person test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 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self-concept change process, the expressed self-images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were reviewed in detail. The behaviors and language expressions of the child in each session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 of the child, that had been vague and fragmented due to her self defense and a lack of self-awareness, was gradually clarified. She accepted the experience and her feelings related with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while reading a metaphoric book that contains a parental divorce story. And she opened her family story to the art therapist. After that, she practiced separating from her mother, using soft plastic clay as ‘the transitional object’. The therapist had the role as a ‘good enough mother’, and this role could be a ‘facilitating environment’ to the child. After all, she recognized herself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she made her self-image. In this self-image artwork, her real self was reflected. This means that she built the clear self-concept. Second, the art therapy to explore self-image had a positive impact on her self-concept. In the process of finding her self-image, she made the self- representation and the main object-representation visible. Through the art works, she found her early object relation and had a chance to reorganize it. The lack of the care giver’s enough care and the deficit of the unconditional regard made the child to form a ‘false self’. To protect her ‘true self’, the ‘false self’ used a metaphoric self-image. However, she realized it was not her real self-image. She used a soft plastic clay as her transitional object, and after all she made her self-image with it. She built a stable and firm house with a hard material and placed her self-image art work inside the house. Like this, she had a chance to look at herself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rough her metaphoric self-image. And a positive therapeutic change came with a new metaphoric self-image. This result suggests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ime for the children in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In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will help the children to develop a stable self-concept. And this self-concept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resilience for the children to maintain the adaptive life after the parental divor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