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7 Download: 0

형태초점 과제 수행이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Title
형태초점 과제 수행이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Form-Focused Task Performance on the Particle Acquisition of Korean Learners
Authors
김국화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논문은 형태초점 과제 수행(오류 고쳐 되말하기를 적용한 상호작용 강화)이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초점 과제 수행이 격조사(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습득에 있어 이해능력과 생산능력 모두에 효과적인지 확인하려고 하였다. 둘째, 형태초점 과제 수행이 격조사의 장기적인 습득에 효과적인지 확인하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형태초점 과제 수행이 격조사 습득에 효과적임을 확인한다면, 그 효과가 이해능력과 생산능력 중 어디에서 더 효과적인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숙달도 중급(3, 4급)에 해당하는 한국어 학습자 23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무선할당에 의해 실험집단 11명과 비교집단 12명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에는 오류 고쳐 되말하기를 적용한 상호작용 강화의 처치를 주고, 비교집단에는 어떤 특정한 처치 없이 PPP에 의한 수업을 하였다. 총 1차시(50분)의 수업을 거쳤으며 수업 후에는 즉시-사후 평가를 시행하고, 장기적인 효과 검증을 위해 10일 후에 지연-사후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는 이해능력과 생산능력 검증을 위해 시간 제한이 없는 문법적 오류 판단 테스트(GJT)와 그림 묘사 테스트(OPT)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혼합설계 반복측정 ANOVA, 반복측정 ANOVA,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초점 과제 수행은 격조사 습득의 생산능력에서 시점에 따른 효과와, 시점과 실험처치 간의 상호작용에서 효과가 있었다. 집단간 차이로 인한 효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었으나, 큰 점수차를 보였다. 둘째, 형태초점 과제 수행은 습득된 격조사의 생산능력에서 장기적인 효과까지도 입증하였다. 사전 평가에서 지연-사후 평가까지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즉시-사후 평가에서 지연-사후 평가간의 점수차에 변화가 없어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형태초점 과제 수행은 이해능력보다 생산능력에서 훨씬 효과적이었으며 효과크기 역시 큰 수치를 기록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형태초점 과제 수행(오류 고쳐 되말하기를 적용한 상호작용 강화)이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습득에 있어 암시적 지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생산능력(말하기 능력)을 장·단기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해능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비교집단과의 점수가 비슷했기 때문에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과 비슷하거나 더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기각하지는 않았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지는 않았지만 비슷하다고 한다면 말하기의 기회를 많이 줄 수 있는 형태초점 과제 수행이 학습자들에게 보다 더 의미 있는 수업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the effects of FonF Task (interaction enhancement with the application of Recast) on the acquisition of postpositions among Korean learners. For that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s form-focused task performance effective for both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abilities in the acquisition of case particles? Second, is form-focused task performance effective for the long-term acquisition of case particles? Finally, how are the effects of form-focused task performance different between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abilities? In an effort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gathered 23 Korean learners (11 in the experiment group/12 in the comparison group) whose proficiency level was intermediate (Level 3 or 4). While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a treatment of interaction enhancement with the application of Recast, the comparison group took classes based on PPP. After a lesson,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immediate-post-test and delayed-post-test with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GJT) and the Oral Picture Description Test (OPT). In addition, mixed ANOVA and paired t-test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results statistically. The experimen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nF Task was effective for the production abilities in the acquisition of case particles. Secondly, FonF Task demonstrated its long-term effects for the production abilities in the acquisition of case particles. Finally, FonF Task was more effective for production abilities than understanding abilitie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FonF Task (interaction enhancement with the application of Recast) can facilitate the speaking (production) abilities of Korean learners in their acquisition of case particles in a short and long term. Since the experiment group scored similar but not higher points on the understanding abilities than the comparison group, FonF Task, which can offer affluent speaking opportunities, is expected to provide more meaningful lessons to th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