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일화-
dc.contributor.author임화영-
dc.creator임화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0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0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봄으로써, 이들의 학업소진 양상을 이해하고 학업소진의 방지를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완벽주의는 단일한 부적응적 성격 특성이 아니라는 다차원적 접근에 의하여 적응적 차원으로 분류되는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차원으로 분류되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6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고등학생1·2·3 학년이며, 설문에 응한 총 1079명 중, 982명의 것을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두 가지와, 학업소진 측정을 위한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KABI), 자기수용 정도의 측정을 위해서는 Phillips(1951)의 자기수용 척도(Self-acceptance Scale)를 손인환(1987)이 그의 연구에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대상자들의 빈도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완벽주의, 학업소진, 자기수용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변인들의 신뢰도와 각 하위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개인기준 및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사이에서 자기수용이 매개효과를 일으키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 회귀분석 후,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기준 완벽주의·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수용 및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완벽주의와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자기수용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수용이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기수용과 학업소진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사이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은 매개적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자기수용에서의 상관관계가 미약한데에 그 원인이 있으며,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하는 제 3의 변인이 연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사이에서 자기수용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의 자신에 대한 기대가 비현실적으로 높다고 인식하고, 학업 수행에서 만족할만한 성취를 이루지 못했을 시에 타인으로부터 비난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큰 학생들은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며, 이는 곧 학생으로서 본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수행인 학업 면에서 소진을 일으키기 쉬움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 완벽주의의 유형에 따라 학업소진의 양상과 자기수용의 역할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업소진을 겪고 있는 학생들은 그들의 완벽주의 유형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특히 평가염려 완벽주의 학생들에게 있어서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줄 아는 능력이 학업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기수용을 증진시키는 수업이나 상담적 개입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자기수용이 평가염려 완벽주의 와 학업소진 사이를 매개하는 유일한 요인은 아니므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중간 변인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인기준 완벽주의 학생들의 학업소진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심리적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ademic burnout aspects shown in academic high-school students and to present suggestions on effective intervention plans for them to prevent this academic burnout by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In this study, perfectionism is divided into two types, which are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PSP) and Evaluating Concern Perfectionism(EC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types of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it was proved that students with ECP tend to have a higher academic burnout risk while students with PSP tend to have a lower academic burnout risk.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elf-acceptance showed that students with ECP have a low self-acceptance ability while students with PSP do not show much consistency in this relation. It is also identifi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acceptance ability and the academic burnout. Secondly, the result of examining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P and academic burnout proved that self-acceptance doesn't have mediating effects in this relation. Weak correlation between PSP and self-acceptance led to this result so this suggests that the third variable should be studied which can make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it was proved that self-accepta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ECP and academic burnout. That is, students who were evaluated by other people with unrealistically high expectation and had great fear of being blamed by others for their failures tend to weaken the ability of accepting themselves as they are and possess low self-confidence, leading to academic burnout. From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aspects of academic burnout and roles of self-acceptance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erfectionism. This implies that when dealing with students suffering from academic burnout, it is necessary to closely observe what kind of perfectionism they have. Especially, for students with ECP, classes which can enhance their ability of self-acceptance and specific studies on counseling intervention should be required. However, it doesn't mean that self-acceptance is the only factor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ECP and academic burnout. So studies that intend to find out other variables affecting this relation should continue constantly. Likewise, there should be continuous studies on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can relieve students with PSP of academic burnou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완벽주의 5 1. 완벽주의의 개념 5 2.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 6 B. 학업소진 10 1. 학업소진의 개념 10 2.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11 C. 자기수용 13 1. 자기수용의 개념 13 2. 완벽주의와 자기수용 14 3. 자기수용과 학업소진 16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측정도구 18 1. 완벽주의 척도 18 2. 학업소진 척도 22 3. 자기수용 척도 23 C. 연구절차 24 D. 분석방법 24 Ⅳ. 연구결과 25 A.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25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5 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28 B.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30 1.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30 2.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35 V. 논의 및 결론 40 A. 요약 및 논의 4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4 참고문헌 47 부록 1 57 부록 2 58 부록 3 59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48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인문계 고등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in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Burnout-
dc.creator.othernameLim, Hwa Young-
dc.format.pagevi, 62 p.-
dc.contributor.examiner서은경-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이일화-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