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영-
dc.contributor.author엄연주-
dc.creator엄연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6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 부모 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그들이 겪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여 이들의 심리적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먼저 한 부모 가족 자녀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개인·가족·사회 측면에서 조절변수를 살펴보았다. 개인 측면에서는 자아 존중감, 가족 측면에서는 가족 관계의 질, 사회 측면에서는 지역사회 지지의 조절 효과에 대해 통계 모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 Ⅲ』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한 부모 가족 자녀 840명(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중 무응답 한 학생 59명을 제외한 78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부모 가족 자녀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이 아동보다 우울과 스트레스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 존중감, 가족 관계 질, 지역사회 지지에서는 청소년이 아동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여자가 남자보다 우울과 스트레스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 존중감, 가족 관계의 질, 지역사회 지지 점수도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각 변수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은 스트레스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자아 존중감, 가족 관계의 질, 지역사회 지지는 우울·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자아 존중감, 가족 관계의 질, 지역사회 지지는 서로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한 부모 가족 자녀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 존중감은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유의한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 자아 존중감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대상별 자아 존중감의 조절 효과 검정에서는 남자, 여자, 아동, 청소년 모두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넷째, 가족 관계의 질은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 가족 관계 질의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대상별 조절 효과 검정에서는 남자, 청소년, 아동에게서 가족 관계 질이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으나, 여자에게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다섯째, 지역사회 지지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 지역사회 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성별 차이 검정에서 남자는 지역사회 지지의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지만 여자에게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또한, 청소년은 지역사회 지지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었지만, 아동에게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못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한 부모 가족 자녀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효과 검정을 통해 적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개인·가족·사회적 측면에 한 부모 가족 자녀에 대한 유기적인 협력을 강조하였다. 또한, 성별 및 발달 시기별 차이에 대한 개별화된 프로그램 마련과 한 부모 가족 자녀와 부모대상의 중재 서비스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고 지역사회의 관계망 확충 및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개입의 필요성도 함께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factors on how to control stress of which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so as to improve physiological health. First of all, I observed how children’s stress in the single parent families influences on depression, and then observed the moderating variables in individual, families and social aspects with assumption that there are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them. By using a statistical model, self-esteem for individual aspect, family relationship quality for families and local community support control effect for social aspect were tested. For this, with reference of data collection 『The study of how to improve children and youths’ psychological health Ⅲ』 from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 used data of 781 students in the single parent families (from 4thgrade in elementary to 3rdgrade in highschool)from 840 in total except for 59 students who did not resp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after testing on demographical characters of children in the single parent families, is resulted as that youths showed remarkably high depression and stress than children whereas it showed lower results in the aspects of self-esteem, family relationship and local community support. And women have higher scores in depression and stress than men also in self- esteem, family relationship quality and local community support. Secondly, after correlation analysis on each moderating variables, depression and stress are in clearly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self-esteem and family relationship quality and local community support are in clear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stress. And self-esteem, family relationship quality and local community support are in positive relationship each other. Thirdl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est self-esteem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children in the single parent families, obviously it played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that stress influences depression. It means stres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 esteem in terms of how deeply it influences on the depression. The test on self- esteem control effect by group showed that men, women, children and youths have distinctive results. Fourthly, family relationship quality played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 that stress influences depression. It means stres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quality in terms of how deeply it influences on the depression. The test on control effect by group showed that men, children and youths have distinctive results, however women did not. Fifthly, local community support played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 that stress influences depression. It means stres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cal community support in terms of how deeply it influences on the depression. The test by age showed that obvious control effect of local community support for men, while women did not. And control effect of local community support was drawn clearly for youths but it didn’t for children. As results stated above, solutions to improve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children in the single parent families through effect of moderating variables verification were proposed. Moreover, organic cooperation for the children in the single parent families was emphasized as in individual and family and social aspects. In addition, the individualized program developed by age and development was prepared and fundamental data for arbitra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and parents in the singles parent families has been provided. And local community network expansion and also intervention of comprehensive and specialty were addressed, which is considered as significa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한 부모 가족 자녀 5 1. 한 부모 가족의 개념 및 현황 5 2. 한 부모 가족 자녀에 대한 이해 5 B. 스트레스 7 1. 스트레스의 개념 7 2. 한 부모 가족과 스트레스 8 C. 우울 10 1. 우울의 개념 10 2. 아동 및 청소년기의 우울 11 3. 스트레스와 우울 12 4. 한 부모 가족 자녀와 우울 12 D.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 13 1. 자아 존중감 14 가. 자아 존중감의 개념 14 나. 우울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14 2. 가족 관계의 질 15 가. 가족 관계의 질의 개념 15 나. 우울과 가족 관계 질과의 관계 16 3. 지역사회 지지 17 가. 지역사회 지지의 개념 17 나. 우울과 지역사회 지지와의 관계 17 Ⅲ. 연구 방법 19 A.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19 B. 측정 도구 20 1. 우울 20 2. 스트레스 21 3. 자아 존중감 21 4. 가족 관계의 질 21 5. 지역사회 지지 22 C. 분석 방법 22 Ⅳ. 연구 결과 23 A. 연구 변수들에 대한 기술 통계 23 1. 기술 통계 결과 23 2.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정 23 B. 주요 변수와의 상관관계 26 C. 우울과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 가족 관계의 질, 지역사회 지지의 조절 효과 27 1.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조절 효과 27 2.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가족 관계 질의 조절 효과 29 3.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지지의 조절 효과 31 Ⅴ. 논의 33 A. 결론 및 제언 33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38 1. 연구의 의의 38 2. 연구의 제한점 40 참고문헌 41 부록 53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82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한 부모 가족 자녀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아 존중감, 가족 관계의 질, 지역사회 지지의 조절 효과-
dc.title.translatedHow children’s stress in the single parent families influences on depression; Self-esteem, family relationship quality and local community support control effect-
dc.creator.othernameUm, Yeon Joo-
dc.format.pagev, 61 p.-
dc.contributor.examiner유성경-
dc.contributor.examiner김은숙-
dc.contributor.examiner김수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