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지은-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장현아-
dc.creator장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0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5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02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stimulus exposure time on age-related changes in semantic and phonological priming using a lexical decision task. A total of 90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30 per each normal age group. Mean age for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was 26.9 (SD=4.25, Range=22-38), 49.3 (SD=5.78, Range=40-59) and 65.4 (SD=5.09, Range=60-77) respectively. Each semantic and phonological priming task consisted of 60 prime-target pairs and 60 filler prime-targer(nonword) pairs. The prime words classified by relatedness, and the stimuli exposure time of prime words consisted of the three conditions(100ms, 400ms, 800ms). All stimuli of semantic and phonological priming task were presented on the display.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sh the button quickly by deciding whether target words were real word. Percentage of accuracy and reaction times(RTs) of each priming task were measured in E-prime software. Three-way mixed ANCOVAs that covariate is education years were performed for each variable. Results from lexical decision accuracy of semantic and phonological priming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for age group, relatedness and stimuli exposure time were not significant. Results from lexical decision reaction times(RTs) of semantic priming revealed that the elderly and middle-ag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slower RTs than the young group. Participants showed more faster RTs in the semantically related words than unrelated word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semantic relatedness for RTs, indicating that elderly and middle-aged group showed more longer RTs in the semantically related words than young group.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that was due to the result that elderly and middle-aged group showed faster RTs in the semantically related words with only longer stimuli exposure time compared to young group. Results from lexical decision RTs of phonological priming revealed that the elderly and middle-ag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slower RTs than the young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phonological relatedness for RTs, indicating that elderly and middle-aged group were unaffected by phonological priming compared to young group.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semantic and phonological priming as a stimuli exposure time are associated with age-related decline in processing speed and activation on lexical access. This study can be useful to understanding lexical processing ability and naming difficulty on age-related changes.;현재 노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곧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0). 의사소통능력은 노화(aging) 과정에서 점차 변화되는데, 이는 정상 노년층이 겪을 수 있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신경 말․언어장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김정완․김향희, 2009). 그러므로 노화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의 변화 양상 및 특징을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노년층의 경우, 단어재인이나 읽기의 속도 및 정확도가 저하된다는 보고가 있다(김선경․이혜원, 2007; 최미선, 2012; Howard, Shaw & Heisey, 1986; 1986; Lott et al., 2001). 이러한 주장은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도 인지기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에 초점을 둔다(Light, 1991). 특히, 노화로 인한 전반적인 처리 속도(Salthouse, 1996)와 정보 활성화의 저하, 언어처리과정 내에서 의미교점과 음운교점 간 연결의 약화가(Burke, MacKay, Worthley & Wade, 1991; Burke & Shafto, 2004) 언어처리능력의 저하와 관련된다고 본다. 어휘처리능력의 저하는 주로 이름대기의 어려움으로 발현되는데, 이는 정상 노년층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제이다(김정완 외, 2013; 성지은․김진경, 2011; Ramsay et al., 1999). 이러한 이름대기 문제는 산출의 측면뿐만 아니라 어휘정보를 활성화하고 확인하는 어휘접근 단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정혜원․최소영․황민아, 2014; Cutting & Ferreira, 1999; Huff, Corkin, & Growdon, 1986). 점화(priming)란 목표자극을 제시하기 전에 관련된 자극을 먼저 제시하는 과정을 말하며, 앞서 제시된 자극을 점화자극이라고 한다(김선경․이혜원, 2007; 이윤경․김영태, 2003; Dufour, 2008; Meyer & Schevaneveldt, 1971). 이는 인지적 처리과정과 어휘처리 구조 및 어휘접근을 확인하는 절차로 활용되어 왔기 때문에(이윤경․김영태, 2003, Mcgrego & Windsor, 1996; McNamara & Healy, 1988) 노년층의 어휘처리능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많은 점화연구들이 점화자극의 제시 시간을 다양하게 적용해 왔다(김동휘 외, 2000; 김선경․이혜원, 2007; Balota & Ducheck, 1988; Howard, Shaw & Heisey, 1986; Madden, Pierce & Allen, 1993). 노화에 따른 ‘처리속도이론(processing speed theory)'(Salthouse, 1996)에 근거하면, 이는 연령 간 반응양상을 비교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100ms, 400ms, 800ms의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의미 및 음운점화과제를 실시하여 연령 집단 간 어휘판단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정상 청년 30명, 중년 30명, 노년 30명으로 총 90명이었다. 청년 집단과 중년 및 노년 집단 간 교육년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였다. 의미점화과제와 음운점화과제 모두 점화단어가 화면 중앙에 해당 자극시간만큼 제시된 후 목표단어가 제시되었다. 대상자는 제시되는 목표단어를 보고 실제단어이면 ‘파란색의 O’, 비단어이면 ‘빨간색의 X’ 버튼을 눌러 어휘판단을 하였다. 어휘판단 정확도는 전체 목표단어 중, 대상자가 정반응한 문항 수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반응시간은 목표단어가 제시된 순간부터 대상자가 어휘판단을 하여 버튼을 누른 순간까지의 시간(ms)을 자동 측정하였으며 정반응한 문항만을 분석하였다. 의미 및 음운점화과제의 어휘판단 정확도(%)는 연령 집단, 관련성, 자극제시시간에 대한 차이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모든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어휘판단 정확도가 연령 및 관련성, 자극제시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의미점화과제의 어휘판단 반응시간은 노년, 중년, 청년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더 느렸으며, 의미적으로 관련된 문항의 반응시간이 무관련 문항의 반응시간에 비해 유의하게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관련성과 연령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는데, 이는 청년 집단에서의 의미관련 문항과 무관련 문항 간의 반응시간 차이가 중년 및 노년 집단에서의 관련성에 따른 반응시간 차이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기 때문이었다. 의미관련성 및 자극제시시간, 연령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즉, 청년 집단은 모든 자극제시시간에서 의미관련 문항의 반응시간이 더 빨랐지만, 중년 및 노년 집단은 긴 자극제시시간에서만 의미관련 문항의 반응시간이 더 빠르게 나타났다. 음운점화과제의 어휘판단 반응시간은 노년, 중년, 청년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더 느렸다. 또한, 음운관련성과 연령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이는 청년 집단에서의 음운관련 문항과 무관련 문항 간 반응시간 차이가 중년 및 노년 집단에서의 음운관련성에 따른 반응시간 차이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기 때문이었다. 청년 집단의 반응시간은 무관련 문항에 비해 음운관련 문항에서 오히려 더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미 및 음운점화에서 연령 집단 간 어휘판단 반응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더 느렸으며, 인지적 부담이 증가하는 짧은 자극제시시간에서는 비효율적인 정보 활성화 및 어휘접근으로 인해 의미점화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글자정보를 음운정보로 전환하고 활성화하는 처리속도가 지연되기 때문에 음운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가 어휘접근 처리과정에서의 의미 및 음운정보 활성화와 처리속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또한 노년층이 어휘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청년층보다 더 충분한 시간과 많은 정보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화에 따른 어휘처리 및 이름대기에 대한 중재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환자군의 어휘정보 처리에 대한 이해를 위해 비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연령에 따른 언어처리능력 7 B. 단어관련성에 따른 점화효과연구 9 C.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연구 15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대상 17 B. 연구 과제 18 C. 연구 절차 23 D. 자료 분석 26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7 F. 타당도 28 Ⅳ. 연구 결과 29 A. 의미관련성 및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어휘판단의 집단 간 차이 분석 29 B. 음운관련성 및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어휘판단의 집단 간 차이 분석 37 Ⅵ. 결론 및 논의 43 A. 결론 및 논의 43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1 참 고 문 헌 52 부 록 – 1 59 부 록 - 2 61 부 록 - 3 63 부 록 - 4 65 부 록 - 5 66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63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노화가 점화단어유형 및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어휘판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timuli Exposure Time on Age-related Changes in Semantic and Phonological Priming-
dc.creator.othernameJang, Hyun A-
dc.format.pagevii, 68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성지은-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