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1 Download: 0

운율정보를 활용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중의성 문장처리

Title
운율정보를 활용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중의성 문장처리
Other Titles
The Cochlear Implanted Children’s Ability to Use Prosody in Ambiguous Sentence Processing
Authors
조응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cochlear implanted children’s ability to use prosody in sentence processing and to investigate relevance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compared performance of the comprehension and utterance of th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CI) to normal hearing children(NH) whether the childen can use prosody to determine sentence structure and meaning accordingly in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And it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relevant variables and cochlear implanted children’s ability to use prosody in comprehension and utterance of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wenty children with CI who are 7-8years old, received a cochlear implant(CI) before 3 years old, and used more than 4 years. Twenty children with NH as a control group were matched to children with CI for age and gender. All children individually were tested to 2 tasks using prosody to determine sentence structure and meaning accordingly in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There are comprehension and utterance tasks of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pointing or speaking to visually presented pictures. The utterance task of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was measured by the perceptual evaluation and the acoustic test. And reading task consisted of reading aloud and comprehension the text was used to measure reading ability as related factors. The children with CI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children with NH on the both tasks of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that were the comprehension task(p< .05) and utterance task(p< .001). The performance of comprehension and utterance tasks of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were correlated to chronological age and comprehension and utterance tasks of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to the children with NH, but were correlated to chronological age, age of CI, duration of CI and language variables to the children with CI.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ochlear implanted children’s ability to use prosody in comprehension and utterance of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was poorer than children with NH. Unlikely children with NH the ability to use of prosody in children with CI was affected to age of CI, duration of CI, and language ability. So in the children with CI, not only the intervention for prosody is important to improvement language skill after CI but also age of CI.;구어로 의사소통할 때 화자는 자신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그리고 청자는 그 의미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 말소리의 분절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초분절적 요소들을 활용한다. 그러나, 선천적 고심도 청각장애 아동들은 청력의 문제로 인해 청각정보의 입력과 피드백이 제한되어 초분절적 요소인 운율(prosody)을 지각하고 산출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Osberger, 1992; Osberger & Mcgarr, 1982). 조기에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받고 청각-구어 중심의 중재를 받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말지각과 말, 언어능력은 정상아동에 가까운 수준으로 보고되기도 하지만(Carter et al., 2002; Geers, 2004, 2006; Colletti et al., 2005) 여전히 운율과 음성 산출은 정상청력아동에 비해 제한된다(Uchanski & Geer, 2003; Lenden & Flipsen, 2007; Peng et al, 2008). 지금까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운율과 관련된 연구들은 화자 변별이나 감정 및 정서 지각(Luo et al., 2007; Hopyan-Misakyan et al., 2009; Cullington & Zeng, 2011; Kristensen et al., 2013), 기본주파수(F0)나 억양, 강세, 지속시간, 말 속도와 같은 운율특성(Vogel & Raimy, 2002; Campisi et al., 2005; Hocevar-Boltezar, 2005, 2006; Lenden & Flipson, 2007; Peng et al., 2007; O´Halpin, 2010; 오순영 & 성철재, 2012; 윤미선 외, 2013)에 주로 초점을 두어왔다. 정상청력 아동의 운율능력은 아주 초기발달 단계부터 시작되고 문장처리과정에서 말소리의 지각과 인지, 이해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나아가 읽기 유창성(Clark, 1995)과 읽기이해(김동일, 2000)와 같은 읽기능력과도 관련되어 있다(Kuhn & Stahl, 2003; Wade-Woolley & Wood, 2006). 이와 같이 운율능력이 구어 및 문어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잠재적 역할을 하는데 비해 인공와우이식 아동을 대상으로 관련된 운율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이해과정에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운율능력을 평가하고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운율정보가 의미해석에 중요한 단서가 되는 중의성 문장의 이해와 산출과제를 통해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과 정상청력 아동 집단 간의 운율정보능력을 비교하고 운율정보능력과 관련된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운율중재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3세 이전에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받았고 언어능력이 지체되지 않는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정상청력 아동 각각 20명씩 총 40명이 참여하였다. 선행연구(최영은, 2009; 홍신애, 2011; 곽동기, 1999; 이호영, 1996; 정연아, 2006)를 참고, 수정하여 중의성 문장 과제를 제작하고 중의성 문장 이해능력과 산출능력을 평가하였다. 관련변인으로 읽기능력에 대한 평가는 표준화된 검사(『한국어 읽기검사』, 배소영 외, 2015)로 시행하였다. 중의성 문장 이해능력은 목표문장을 듣고 그림보기 중에서 골라내기로 평가하였고, 중의성 문장 산출능력은 목표문장의 그림을 보고 말하게 한 다음 청지각적인 평가와 음향학적 평가로 측정하였다. 관련변인으로 읽기능력에 대한 평가는 표준화된 검사방법에 따라 시행하였고, 의미단위 띄어읽기는 소리내어 읽기유창성과제를 묵독 후 다시 소리내어 읽게 하여 평가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과 정상청력 아동 집단 간의 중의성 문장 이해능력과 청지각적 평가에 의한 중의성 문장 산출능력, 읽기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의 음향학적 평가에 의한 중의성 문장 산출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별로 중의성 문장 이해 및 산출능력과 여러 관련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단순적률상관계수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의성 문장 이해 능력과 청지각적 평가에 의한 산출능력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이 정상청력 아동 집단에 비해 낮았다. 둘째, 중의성 문장 산출능력의 음향학적 평가에서 쉼 길이와 경계음절 지속시간을 측정한 결과,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은 의미경계를 나타내는 쉼의 길이와 경계음절의 지속시간이 정상청력 아동 집단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에서 의미에 따른 쉼의 길이나 경계음절의 지속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중의성 문장 이해능력 및 청지각적 평가에 의한 중의성 산출능력과 관련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의성 문장 이해능력에서 정상청력 아동 집단은 생활연령과 중의성 문장 산출능력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인데 반해,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은 생활연령과 중의성 문장 산출능력, 수술 관련변인인 인공와우이식 수술연령과 인공와우 사용기간, 언어적 변인인 수용어휘력, 구문의미이해력, 읽기능력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중의성 문장 산출능력에서 정상청력 아동 집단은 중의성 문장 이해능력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은 중의성 문장 이해능력 외에도 언어적 변인 중 구문의미이해력과 소리내어 읽기유창성, 의미단위 띄어읽기와도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중의성 문장의 이해와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운율정보능력은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정상청력 아동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의성 문장의 이해와 산출과제 모두에서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운율정보능력은 정상청력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정상청력 아동 집단이 중의성 이해와 산출 능력 외에 생활연령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인데 반해,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은 수술관련 변인 외에도 언어적 변인과도 상관관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정상청력 아동들은 운율정보를 아주 일찍부터 언어발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습득하여 분절적 요소들과 함께 사용하고 자동적으로 처리해나가는데 반해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은 운율정보도 언어적 과제와 함께 지속적인 학습에 의해 습득해야 되고 처리과정에서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학령기의 인공와우이식 아동에게 상위 언어능력의 학습을 포함하여 더욱 복잡하고 복합적인 담화와 화용 상황에서 운율정보를 활용, 처리해야하는 부담을 가중시킬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중재에 있어서 운율능력의 향상과 관련된 장기적인 계획 수립 및 효율적인 중재전략에 대한 모색이 제안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