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호작용 증진 부모교육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발화 및 상호작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호작용 증진 부모교육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발화 및 상호작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on the number of utterances and interaction skills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heir parents
Authors
박원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have low competence in lexical, grammatical knowledge and interaction skills. The problems they have can affect the later academic performance and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the early intervention is highly recommended and should be carried out. One of the effective ways for early intervention is parental education. It allows the child can take the intervention in their natural language environment by the parent. However, the parent who's participated in the parental education or a parent coaching program has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strategies they learned. Although LENA and parent-child interaction analysis application are developed for compensating the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the further research on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are still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s a tool for increasing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Eight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exhibit delay in language developing in the ages between 2 and 3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pretest researcher collected their spontaneous language samples for 25 minutes. After the pretest, 6 sessions of parental education were conducted. Each group session took for an hour to an hour and a half. The main contents of parental education were 'Let your child lead', 'Follow your child leads', 'Take turns to keep the interaction going', 'Add language to the interaction', and 'Sharing books and music'. During the parental education, researcher encouraged parents to interact with their child for 10-15 minutes on a daily basis for generalization. In this process, 4 dyad of experimental groups were asked to use the smartphone application, which is designed to analyze total number of utterances, initiations, and responses of speech samples. On the otherhand the rest of parent-child dyad was control. and asked to keep a log of duration of interaction and impressions of each interaction instead of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After the end of all sessions, posttest was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test. Each spontaneous speech sample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number of utterances, initiations, and responses. The number of initiations and responses were converted in to the percentage for statistical analysis. Two-way ANOVA was used for identification of intervention effec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parent’s total number of utterances. Beacuse of the intervention effect,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produced by par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Although children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number of utterances, initiations, and responses,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the number of initiation and response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used the smartphone application during the parental education showed higher intervention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ental education modify parent-child interaction stylein a positive and an effective way. Also, smartphone application is feasible for increasing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일반적으로 어휘·구문적 측면 뿐 아니라 상호작용 기술에서도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가 차후 아동의 학업 수행 및 또래 관계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기 중재가 필요하다.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중재에는 다양한 직·간접적 방법들이 사용되는데 그 중 가장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간접적 중재 방법 중 하나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부모교육이다. 특히 부모교육을 통한 언어발달지연 아동 중재는 아동이 친숙한 대화상대자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중재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부모교육의 난점은, 부모교육 내에서 학습한 내용을 가정에서 자신의 아이에게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 사용되는 방법 중 기기적 접근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기기 및 소프트웨어의 경우 가격 면에서의 비효율성과 국내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며, 적용 가능성이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및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이 부모교육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2-3세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그 부모 8쌍으로, 이들은 사전평가에서 장난감 놀이를 통한 25분간의 부모-아동 상호작용 시간을 통해 부모의 발화 수, 대화차례 개시 비율, 반응 비율, 양육 스트레스 그리고 아동의 발화 수, 대화차례 개시 비율, 반응 비율에 대한 기초선 측정을 하였다. 사전평가를 거친 이후 총 6회기에 걸친 부모교육이 실시되었다. 부모교육은 매 회기 1시간-1시간 30분 정도 실시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아이가 주도하게 하기, 아이의 주도에 따르기, 대화 주고받기, 상호작용에 언어 덧붙이기, 일상에서 언어 촉진하기 및 비디오 피드백 회기로 구성되었다. 매 회기의 부모교육 이후에는 각 가정에서 매일 10-15분 정도 부모교육에서 학습한 전략을 가정에서 아이와 적용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체 부모-아동을 아동의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두 집단으로 나누어 4쌍의 부모-아동은 중재기간 동안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나머지 4쌍의 부모-아동은 중재기간 동안 어플리케이션 사용 없이 전략 사용 일지만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전체 중재가 종료된 뒤 사후 평가를 통하여 사전 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모-아동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결과 분석 과정에서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른 집단별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실험 및 통제 집단 부모의 발화 수가 부모교육 중재의 영향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하지만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아동 모두에게서 중재 및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첫째, 부모교육은 부모의 발화 수와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주었으나 부모 집단에서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중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효과와 부모교육으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교육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집단의 경우 대화차례 개시 비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큰 폭으로 높아졌으며, 반응 비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한 폭으로 낮아졌다. 이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피드백이 아동의 발화 및 상호작용 기술에 관해 수치화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별 아동이 더욱 주도적인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한 부모의 전략 설정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부모-아동 상호작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은 부모교육 효과를 가정에서 일반화 시키는 것에 도움을 주는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