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0 Download: 0

다운증후군아동과 일반아동의 구강기능이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Title
다운증후군아동과 일반아동의 구강기능이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Down's syndrome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s oral-motor function on PCC and intelligibility
Authors
강은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다운증후군의 해부학적 구강구조, 작은 두개골, 하악에 비해 작은 상악, 비정상적으로 큰 혀와 얼굴근육의 제한적인 움직임은 말 산출과 관계되어 있다(Miller et al., 1998; Stole, 1997).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다운증후군 아동의 구강구조 및 구강기능은 정상아동에 비해 지체되어 있고 그것은 인지능력과 높은 상관을 보이며, 생활연령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Barnes et al., 2006). 또한 다운증후군의 구강기능의 손상은 말명료도의 감소와 관계되어 있다는 연구(Green et al., 1991)와 다운증후군 아동의 말명료도는 또래 아동들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는 연구(Abebeduto et al., 1997; Chapman et al., 2000) 또는 다운증후군의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는 연구(Cleland et al, 2010)들이 널리 진행되어 왔다. 이와 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말명료도는 구강구조, 구강기능, 자음정확도, 인지능력 등과 관계되어 있다. 하지만 구강운동과 관련된 기질적 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들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다운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우리나라의 선행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곽영일,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아동의 조음장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구강기능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운증후군아동그룹과 일반아동그룹의 구강기능평가과제에서 나타난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구강기능평가과제에서 나타난 점수와 조음장애를 평가하는 지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음장애를 가진 다운증후군 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을 대상으로 구강기능평가를 실시하고, 단어발화를 통해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다운증후군아동과 일반아동의 구강기능에 그룹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그룹 간 구강기능전체점수와 교호운동평가점수 평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동작성지능을 통제하고 다운증후군아동과 일반아동의 그룹 간 구강기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그룹 간 구강기능전체점수와 교호운동평가점수 평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다운증후군아동 그룹 내에서 구강기능과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구강기능전체점수와 자음정확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하지만 교호운동평가점수와 자음정확도, 구강기능과 말명료도의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동작성지능을 통제하고 다운증후군 그룹 내에서 구강기능과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동작성지능을 통제하지 않았을 때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강기능전체점수와 자음정확도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다운증후군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상관이 있는 변수는 전반적인 구강기능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구강기능 중 교호운동평가점수와 자음정확도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구강기능전체점수와 말명료도, 교호운동점수와 말명료도 간의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반아동 그룹 내에서 구강기능과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구강기능전체점수와 자음정확도, 교호운동평가점수와 자음정확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하지만 구강기능과 말명료도의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동작성지능을 통제하고 다운증후군 그룹 내에서 구강기능과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동작성지능을 통제하지 않았을 때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강기능전체점수와 자음정확도, 교호운동평가점수와 자음정확도 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일반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상관이 있는 변수는 전반적인 구강기능과 교호운동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구강기능전체점수와 말명료도, 교호운동점수와 말명료도 간의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조음장애를 가진 다운증후군아동의 경우 교호운동기능처럼 어느 한 부분의 구강기능을 향상시키는 것만으로는 자음정확도의 향상을 예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전반적인 구강기능이 자음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재를 통한 다운증후군 아동의 전반적인 구강기능의 향상이 자음정확도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이것은 구강-훈련프로그램을 통해 다운증후군학생의 치조음과 연구개음의 조음명료도를 향상시켰다는 곽영일(2010)의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도에서 중등도의 인지적 결함을 가진 다운증후군아동은 교호운동능력이나 전반적인 구강기능을 향상시키는 것만으로는 말명료도를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 결과는 조음장애를 가진 다운증후군 아동의 진단과 치료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다운증후군 아동 그룹의 중등도에 따른 피험자수가 일치하지 않았으며, 다운증후군아동 외에 기질적 조음장애 아동은 원인별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기질적 조음장애를 가진 아동을 포함하여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주의가 필요하며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는 연속적인 자발화 검사 대신 낱말검사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러운 연속적인 자발화검사를 완전히 대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구강기능평가의 방법으로 Oral and Speech Motor Control Protocol(Robbins et al., 1987)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연구자가 미국의 표준화 검사도구를 번역한 것으로 표준화과정을 거치지 않은 검사도구이다. 따라서 평가도구의 규준이 완전하게 일반화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아동을 다운증후군 아동 외에 다운증후군 아동과 인지능력이 비슷한 기질적 조음장애아동이나 생활연령이 비슷한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비교하는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각 집단은 자음정확도의 중등도에 따라 피험자수를 동등하게 구성하고 각 집단이 갖는 구강기능특성이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거나 연속적인 자발화의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와 구강기능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말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초분절적 변수, 문맥/언어적 변수, 청자와 같은 변수들 중 어느 변수가 다운증후군아동의 말명료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고, 연구자가 사용한 구강기능평가는 국내에서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다운증후군아동의 구강기능평가에 적절한 또 다른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구강기능을 평가를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st representative PCC, and intelligibility which indicates the phonological disorder intelligibility and the score of oral motor function assessment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ce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and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group about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phonological disorder. First, to sum up,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verage of total functional score to DDK score between groups was found through researching the gap of oral motor function between the groups: 15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owever, no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with the average of total functional score and DDK score between the groups by researching the result of difference with Oral motor function between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group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Secondly, the research output suggests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functional score and PCC from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of PCC and intelligibility.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DK score, and PCC, Oral motor function and intelligibility. Also, when cognitive ability was controlled, and research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oral motor function, PCC and intelligibility in Down's syndrome group It led to similar results when no controlling cognitive ability. Through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tal functional score and PCC, the variation related to PCC of Down's syndrome was confirmed as the variation is overall oral motor function. However,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DK score and PCC in oral motor function was not found, neither total functional score nor intelligibility DDK score nor intelligibility was not. Through existence of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functional score and PCC, and between DDK score and PCC, it is identified that variation related to PCC is overall oral motor function and DDK, but no existence of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functional score and intelligibility, and between DDK score and intelligibility appeared.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difficult to predict improvement of PCC by improving a part of oral motor function as DDK in case of Down's syndrome having phonological disorder, and it is confirmed that overall oral motor function is variation influencing PCC. Therefore, improvement of overall oral motor function of Down's syndrome through intervention is expected to help improvement of PCC. It is identified that in case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having cognitive impairment from mild to moderate, their intelligibility improvement is expected to be hard by developing overall oral motor function or DDK, and it could be used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to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with phonological disorder. Consequently, the effort to impove cognitive ability and memory function with the other variations influencing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mentioned in advanced researches should continue in order to improve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