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조기음악교육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조기음악교육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Empathic Ability and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다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empathic ability and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a) in empathic ability and resilience between students who ha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students who did not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 in empathic ability and resil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had early childhood music. For this research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325 students who attended middle schools located both in Seoul and Gyeonggi of Korea.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reported, and verifi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and chi-square statistic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ho ha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experience had higher scores on empathic abilities than subjects who were without any experience. Also, the students with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cored higher in the sub areas such as perspective taking, fantasy, personal distress and empathic concern than students who had not any early childhood musical experience. This study had a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had beneficial effects on empathic ability, which expanded the scope of the preceding studies that dealt with the relev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ith intelligence, emotio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Second, students with early childhood music experience not only showed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but scored higher all sub-areas of self-control capability, interpersonal skill and positivity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experience.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receding studies on music education in adolescenc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lso positively affects resilience in adolescents. Thus, it was assumed th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experience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resilience in infancy. Third,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chool year, starting age of music education, years of music education, and motivation to be educated, were found not to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pathic ability and resilience. However, in terms of gender in empathic ability,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empathic ability than male students. Yet, it was proved in the preceding studies that female generally had a higher empathic ability than male. Therefore, further studies need to focus on prov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on female students over male student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bove, it was necessary to have at least one year early childhood music experience and start music education program before the age of nine.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early starting age and long years of music educ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experience in a simple music activity itself could be important.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from high income and middle income family tended to have more opportunitie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getting widened, it is important for governments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and financ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o create favorable education environment where all students could have access to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least for one year. It is important for government to initiative facilitating early music education, which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school adaptation. The generalization of this research still remains limited as this study only focused o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refore, for future research, it would be important to have research participants from various regions. Al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studie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pathic ability and resilience on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which would be helpful to reinvigorat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or adolescents.;이 연구는 조기음악교육이 중학생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 표본 t-test와 χ2검정, 일원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한 중학생의 공감능력은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중학생의 공감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전체 수준뿐만 아니라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의 하위 영역에서도 모두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한 중학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기음악교육이 지성 및 감성, 정서인식 및 표현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의 연구 범위를 확장하여 공감능력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한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자기조절 능력, 대인관계, 긍정성에서 모두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한 중학생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의 음악교육이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들과 비슷하게 조기음악교육의 경험도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드러내어 조기음악교육이 유아기부터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유추해볼 수 있다. 셋째,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한 중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에 있어서는 공감능력에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학년, 음악교육을 시작한 나이, 음악교육을 받은 기간, 음악교육을 받게 된 동기에 따른 공감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공감능력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조기음악교육이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만 9세까지 1년 이상 조기음악교육을 받을 경우 중학생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기음악교육의 시작 나이가 빠를수록, 교육 기간이 길수록 더욱 효과가 클 것이라는 기대와 다르게 간단한 음악적 활동이라도 경험을 해 보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높은 경제적 수준의 가정에서 조기음악교육을 경험할 기회가 더 주어지므로 조기음악교육이 모든 아이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빈부의 격차가 심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공교육에서 모든 학생들이 조기에 1년 이상 어떠한 음악이라도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이렇게 공교육에서 조기음악교육이 활성화 된다면 학교폭력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이 타인을 공감하고 배려하며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데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의 세 중학교를 의도 표집 하여 모든 사람에게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표집 지역 범위를 넓히고, 중학생뿐만 아니라 대상을 넓혀서 연구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기음악교육이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이 실제로 학교폭력이나 청소년 문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까지 확인해보는 연구를 한다면 청소년을 위한 조기음악교육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