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예비음악교사의 타 전공 음악분야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수준과 교수불안 정도

Title
예비음악교사의 타 전공 음악분야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수준과 교수불안 정도
Other Titles
A Study on Pre-Service Music Teacher’s PCK and Teaching Anxiety of Other Music Majors
Authors
김혜림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승현
Abstract
음악교사는 중등 음악교과를 교수함에 있어 서양음악과 국악 등 음악 전 분야에 걸친 전문성을 갖출 것을 요구받는다. 그러나 음악교사가 자신의 전공음악 분야가 아닌 타 전공 음악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기는 극히 어렵고, 학생들에게 이를 교수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교사가 교수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학습과 경험의 전제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학습과 경험의 축적은 교직 입문 전인 예비교사의 교육단계에서부터 시작되고, 이 단계에서 겪는 각종 경험들은 교직 입문 후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발전시키는 토대가 된다. 따라서 음악교사가 음악 교과 내의 모든 음악 분야를 원활하게 교수하기 위해서는 예비 음악 교사 단계에서부터 타 전공음악분야에 대해 전문성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 음악교사 238명을 대상으로 타 전공 음악분야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수준과 교수불안 정도에 대하여 조사하고, 각각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한 후,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해 모집한 응답결과는 내적 일관성 검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분산분석, Duncan의 사후검정,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처리하였다. 위 조사결과, 예비교사의 타 전공 음악분야에 대한 교수내용지식의 수준은 ‘음악 내용 및 방법지식’의 하위영역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해당영역의 문항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음악의 포괄적 지식’을 갖추는 것보다 ‘음악실기능력’을 갖추는 것에 난항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타 전공 음악분야에 대한 교수불안정도 조사결과, 예비음악교사들은 타 전공음악분야의 ‘강의’에 대해 높은 불안을 느끼며, 해당영역 문항분석 결과, 교사의 미숙한 전달로 인한 오개념 형성에 대한 우려가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은 ‘타 전공 음악분야의 교수경험’이었다. 이를 통해 예비음악교사는 교생실습의 기회나 모의수업 등을 통하여 타 전공 음악분야의 수업을 경험해보는 것이 타 전공 음악분야의 교수내용지식을 향상시키고 교수불안을 낮추는 데 유익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타 전공 음악분야에 대한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은 전체적으로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예비음악교사가 높은 교수내용지식을 형성하고 있으면 교수불안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예비음악교사의 타 전공 음악분야에 대한 높은 교수내용지식은 교수불안을 낮추는 것에 도움이 되므로 예비음악교사는 타 전공 음악분야의 교수내용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 실기의 교수내용지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생실습, 모의수업 등 예비음악교사들이 타 전공 음악분야의 수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하므로, 교사양성 기관에서 이러한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 교수내용지식을 공고히 다지고 교수불안을 감소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이다.;Current music textbook requires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to have high expert knowledge from entire music area such as Korean classical music and Western music. Yet, it is very hard to reach the expert level in other music majors and is even harder to instruct those majors to students in class. In order that have the professor’s capability, study and experience must become a prerequisite for a teacher, but it begins from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efore entry of teaching profession. After the entry of teaching profession, various experience at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age become basic to develop professionalism for a teacher. Therefore, to extend professionalism evenly from entire music area, he or she must constantly make effort to have specialty not only for his or her first major but also second major a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 stage. With that, this research which conducted the survey of 238 pre-service music teachers observ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PCK) the other music majors and anxiety from his or her teaching level, grasped fully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characters, and correlation of those two variables by the observation. The result of responses through the survey was processed by using internal consistency check,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post hoc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earch report, among PCK of pre-service music teacher from the other music majors, ‘contents of music and knowledge of method’ were presented the lowest scale, especially having ‘music practical technique’ was shown as tougher task than having ‘comprehensive knowledge of music.’ The highest scale wa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at tells pre-service music teachers’ are making their constant effort in order to develop professionalism of the other music areas. Teaching anxiety from the other music majors was presented that ‘lecture’ is the highest anxiety scale of all which demonstrates in detail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actually get stressed and feel uncomfortable about lecturing. Teaching anxiety for ‘music evaluation’ was shown low scale of all that indicates pre-service music teachers relatively felt less pressure to evaluate music area of the other majors. Moreover, demographic character that makes meaningful influence on all of PCK and teaching anxiety was ‘the teaching experience of other music majors’. With this way, pre-service music teacher could know the reason that experiencing the class of other music areas helps to improve content knowledge of teaching and to ease the burden on teaching anxiety. Pre-service music teacher’s PCK and teaching anxiety in respect of other music major areas are generally shown as the unqualified correlation, and all the low scale of PCK and teaching anxiety presented the unqualified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above, formation of high content knowledge of teaching about other music major areas is helpful for reducing teaching anxiety. Thus, pre-service music teacher should make desperate efforts to strengthen knowledge of the other music areas, especially the practical techniques in spectrum. If institution of music provides as many as possible opportunities to pre-service music teacher to improve diverse practical techniques of music and to experience diverse class styles such as teaching practice, simulation teaching, etc, pre-service music teachers can expect to accomplish better teaching in other music maj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