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승현-
dc.contributor.author홍문영-
dc.creator홍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9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방과후학교 기악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밝혀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이 주는 교육적 효과와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방과후학교 기악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참여 기간, 참여 동기)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 서울 지역 28개 초등학교의 4·5·6학년 학생 591명으로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이 274명,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이 317명이었다. 그리고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하는 일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느끼는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하는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설문지로 교육 전문가 1명과 초등학교 담임교사 3명, 총 4명의 조언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5·6학년 수준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28문항으로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크게 일반적 특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설문지에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LSD를 채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보다 높았으며, 각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1). 즉,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그렇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참여 기간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6개월 미만의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6개월 이상~2년 미만과 2년 이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하위요인별로는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에서 6개월 미만보다 6개월 이상~2년 미만이, 6개월 미만보다 2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1). 그러나 자신감에서는 참여 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참여 동기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의적 선택으로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이 타의적 선택으로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보다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각 하위요인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1). 넷째, 방과후학교 기악활동 참여 학생과 학부모 31명에게 실시된 개방형 질문에서 대부분의 학생과 학부모는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을 통해 학업 및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변화를 인식하였고, 소수 학생과 학부모는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전자의 의견은 기악활동을 통해 음악에 대한 이해 향상, 두뇌 발달, 인내력·암기력·지구력·집중력·기억력·창의력 등에도 도움이 된다는 답변을 하였으나, 일부 학생과 학부모는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이 학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성적향상과 같이 직접적으로 눈에 보이는 결과를 끌어내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비롯한 다양한 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은 오히려 학생들의 기본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를 높이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알아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은 학생들의 음악성 발달뿐만 아니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학업성취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두뇌 발달, 기억력, 집중력,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앞으로 보다 발전된 교육 환경에서 학생들이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앞으로 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 for necessity and academic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by determining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and who did not. In detail, this study identifies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and who do not. It also identifies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i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by these general characteristics (duration of participation, motive of particip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591 students of 4th, 5th, and 6th grade from 28 schools in Gyung-gi and Seoul province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of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was 274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d was 317. Some students who participated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and their parents were inquired and Open-ended questionnaire about what they experienced from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and it has been analyzed. In this study, Ahyoung Kim and Inyoung Park's questionnaire for academic self-efficacy has been used after being modified for our group's age by suggestion of 1 educational expert and 3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28 questions in 3 subsections (preference of level of difficulty, self-control efficacy, and self-confidence). In this study questionnaire method was taken to prove how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Questionnaire is mainly compri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questionnaires were then analyzed by using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reliability testing, independent sampling, t-test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LSD was taken as Post hoc analysis. The following is summary of this study’s outcome. First, participants of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had better academic self-efficacy than of those who did not.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preference of level of difficulty’, ‘self-control efficacy', and ‘self-confidence'(p<.001). In other words, participants who were involved in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showed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ose who did not. Second, after analyzing academic self-efficacy by duration of participation, ‘under six months' were the lowest, ‘six months ~ two years' and ‘over two years' did not show differences. Under subsections, in preference of level of difficulty, ‘six months ~ two years' showed higher result than ‘under six months' and in self-control efficacy, 'over two years' showed higher result than ‘under six months' and in self-confid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by the duration. Third, after analyzing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by motive of particip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by their own wil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in overall academic self-efficacy and in all of subsections(p<.001). Fourth, of 31 parents and students who replied to open-ended question in the questionnaire, most were aware of positive achievement academically, few did not. The former stated that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helps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music, patience, memorization, endurance,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The latter stated that it did not help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since the activity helps develop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t can be used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other subj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influences students to improve musical talent, as well as academic self-efficacy and moreover academic achievement and many other areas. Thus, by actively promoting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hopefully students would receive better chance of having after-sc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in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3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방과후학교 기악활동 6 B. 학업적 자기효능감 21 C. 선행 연구 26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9 A. 연구 대상 29 B. 연구 절차 32 C. 연구 도구 35 D.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38 E. 연구 윤리적 고려 39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40 A. 기술통계 분석 40 B. 방과후학교 기악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 42 C. 방과후학교 기악활동 참여 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 44 D. 방과후학교 기악활동 참여 학생 및 학부모의 추가 설문에 대한 응답 결과 49 Ⅴ.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8 부록 63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59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방과후학교 기악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fters-Shoo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on Prim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dc.creator.othernameHong, Moon Young-
dc.format.pagevi, 77 p.-
dc.contributor.examiner배종선-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윤승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