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외국인 유학생의 쓰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육학 분야 학위논문의 장르 비교 분석

Title
외국인 유학생의 쓰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육학 분야 학위논문의 장르 비교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enre comparative analysis in MA theses for KAP Thesis writing instruction: focusing on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Authors
이선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학문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유학생 중에 석·박사 학위과정으로 진학하는 유학생의 비율이 최근에 크게 증가하였으나, 최종적인 학위 취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학위논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유학생들의 학업수행에 필요한 여러 과제들이 있는데, 학위논문이라는 특정한 장르를 담화 공동체에서 수용할 수 있는 구조와 표현을 이해하고 해당 장르를 생산하도록 돕는 체계적인 교재개발과 교육체계의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학위논문의 장르 분석에 주목하였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 선행연구 고찰 부분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위논문 교수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의 비교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선행연구 고찰부분의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유학생들의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문헌연구의 장르 분석의 틀로서 Kwan(2006)과 Bitchener(2010)의 LR 구조모형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 선행연구 고찰부분을 장르 분석한 박은선(2014)의 연구결과로 한국어 모어화자의 일반적인 모형을 도출한 것을 본 연구의 분석의 틀로 삼았다. 분석 자료는 수도권 5개 대학에서 2010년 이후에 발간된 한국어 학습자의 석사학위논문 중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논문으로 한정하여 IMRD구조를 가진 논문 22편을 수집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자료 분석을 통해 먼저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이동마디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동마디가 생략 또는 축소되어 사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한국어 모어화자에서 빈도 높게 나타난 하위 이동마디와 그 순환 패턴이 한국어 학습자에게서는 어떠한 빈도와 패턴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국어 모어화자에서 추출한 학위논문 선행연구 고찰부분의 정형화된 표현이 한국어 학습자의 논문에서도 적절히 사용되고 있는지 표현을 비교해 보았다. 이로써, 학위논문 선행연구 고찰부분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의 자료로 장르 분석을 한 결과를 가지고 한국어 학습자와의 자료를 추가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학생들의 사용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모어화자와의 구조적, 언어적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학위논문 쓰기 교수 시에 선행연구 고찰부분 장르의 교육방안을 실제적인 필요에 근거하여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완성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As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go on to master and doctoral degree program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for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learners, the systematic training for the final degree thesis comes to essential for now. The genre analysis of theses is to give better understanding for foreign students about the structure and expressions which were acceptable to the dicourse community so that they will be successful to produce a particular genre of discourse. In this study, I attempt to explore the LR section of Korean learners as a follow-up study of Park, Eunsun(2014) who analyzed the LR sec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theses in order to give practical help for dissertation writing by the genre comparative analysis. Thus,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taken from the generalized model of LR in Korean native speakers shown as a result of study on the basis of Kwan(2006) and Bitchener(2010)'s LR models at Park, Eunsun(2014). Three queries a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ly, are there any omissions or reductions found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in using of main moves? Secondly, what are the frequency and patterns from Korean learners' theses comparing to the high frequency sub-moves and a cycle of patterns in Korean speakers? Thirdly, do Korean learners use formulaic expressions appropriately in Korean native speakers LR section of thes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sic data of a series of thesis writing for KAP are finally completed as comparing with struc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n the basis of practical needs in the real language classro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