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8 Download: 0

한국어 초급 교재 어휘 사용 양상

Title
한국어 초급 교재 어휘 사용 양상
Other Titles
Beginning-level textbook Korean vocabulary usage aspects: Focused on the reflection rate of the word list of the national level
Authors
유병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어휘 목록 반영률을 확인함으로써 교재에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 따라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내용의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어휘 목록의 반영률을 확인함으로써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어휘 목록이 교재 개발의 지침으로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도 함께 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교재의 제작 기간을 고려하여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발표 후 1년이 지난 시점인 2013년 이후 출판된 4종 교재 14권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말뭉치 분석 도구로는 지능형 형태소 분석기 2.0과 Cygwin을 사용하였다. 교재 말뭉치 분석을 통해 먼저 교재에서 적절한 기준에 따라 어휘가 제시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는데 이를 위해 각 교재에서의 국가수준 어휘 목록 반영률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가수준 어휘 목록 자체의 적절성 확인을 위해 국가수준 어휘 목록에는 등장하지 않았으나 교재에서는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어휘를 확인하였으며, 국가수준 어휘 목록에는 포함되지만 교재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어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5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언어교육에서 어휘의 중요성과 교재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간략히 언급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며 연구의 목적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 어휘 목록 선정의 필요성과 방법, 기준을 확인하였으며 어휘 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본 후 교육용 어휘 선정과 교재 어휘 분석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절차,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본 연구의 주 분석 도구인 ‘지능형 형태소 분석기 2.0’과 ‘Cygwin’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방법을 통해 진행된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 결과에 대해 간략히 논의하였으며 마지막 5장인 결론에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확인하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전반적인 어휘의 양을 살펴본 결과 국가수준 어휘 목록과 유사한 양과 품사 비율을 제시하는 교재도 있었으나, 4권 중 2권의 교재에서 국가수준 어휘 목록의 어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어휘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는 수준의 어휘양이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각 교재에서 국가수준 어휘 목록의 내용이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교재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기는 했으나 각 교재 내에서의 어휘 목록 어휘 비율이 50% ~ 58%가량 밖에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국가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이 실효성을 가지지 못함을 보여주는 결과였으며 한편으로는 개발된 내용 자체의 부적절성을 의심해 볼 수 있는 결과로 여겨졌다. 각 교재의 품사별 반영률로는 대체적으로 관형사와 어기, 일반명사의 반영률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국가수준 어휘 목록에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분석한 4종의 교재에서는 출현한 어휘를 살펴본 결과 4종 모두에서 나타나는 어휘는 129개, 3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는 241개, 2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는 440개로 집계되었다. 4종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어휘의 경우 129개 중 절반 이상인 71개의 단어가 어휘 목록 내 다른 등급에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로 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채 교재가 제작되어 학습자 수준에 맞지 않는 어휘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국가수준 어휘 목록의 어휘 중 14.02%에 이르는 어휘가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치는 결국 어휘 목록 자체의 문제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재에서 검증되지 않은 어휘들이 학습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 국가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있는 만큼 교육과정을 잘 반영하도록 교재가 개발되거나 개정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수준 어휘 목록의 어휘를 추가하여 교재 제작에서 선택 가능한 어휘 선택의 폭을 넓힌다면 교재의 교육과정 반영률을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어휘 목록 자체의 오류도 다수 발견되었는데 교육과정이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및 그 내용의 지속적인 개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으로 삼은 교재가 한정적이었으며 그 수가 매우 적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또한 부교재에 대한 고려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재에 대한 분석과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내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vocabulary list suggested by the is reflected in Korean textbook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review whether learning materials with proper contents are provided to learners. Also, whether the word list of the is suitable for the guideline of textbook development is to be discussed together. For the study, from constructing a textbook corpus with 14 volumes of four kinds, the study was processed. Above a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corpus, it was examined whether the vocabulary was proposed according to proper standards. For this, the reflection rate of the word list in a national level in each textbook was reviewed. Then, propriety of the word list in the national level was ascertained. For this, although words are not seen in the nation-level vocabulary list, words appearing commonly in the textbooks were examined. Plus, words which are included in the vocabulary list in the national level but are not used in the textbooks were ascertained. Through the study, next analysis results were gained. First, quantity of overall words was reviewed. Two kinds of textbooks among four kinds presented much more words than the amount of words in the vocabulary list in the national level. So, it was ensured that quantity of words to an extent of burdening learners was provided. Second, it was ascertained whether contents of the word list in the national level in each textbook were reflected. It was ensured that the rate of words in the vocabulary list in each textbook appeared only 50% to 58%. So, it showed that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e nation did not have the effectiveness. Third, words which appeared in the textbooks were examined though the words were not provided in the word list in the national level. Among vocabulary which was represented in four kinds of textbooks, more than half of the words were distributed in different grades in the vocabulary list. Therefore, it was examined that words unsuitable for the levels of learners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words reaching 14.02% among the words of the nation-level vocabulary list were not used even one time. The figure shows the problem of the vocabulary list itself. Through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words unverified in Korean textbooks were provided to learners. Presently, as the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it should be reflected well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Also, when a textbook is made by adding words in the nation-level vocabulary list, the choice of words should be widened. If so, the application rate of the curriculum will be able to be heightened in textbooks. Additionally, consecutive revisions of the curriculum are needed so that the curriculum can be settled down properly. In this study,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 textbooks as the analysis objects were restricted and were very small in the number. Also, consideration on auxiliary textbooks was not realized. Therefore, analysis on diverse textbooks is necessary in follow-up studies.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verification for various elements of the will be implem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