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김초록-
dc.creator김초록-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2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이를 내면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의 성장이다. 학습자는 문학을 통해 가치 있는 삶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작가의 문제의식과 가치체계를 파악하고 이해한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지 않고 학습자는 문학의 가치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내면화함으로써 자신의 가치관을 재인식, 재구성하고,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가질 수 있다. 즉, 학습자는 문학 작품을 내면화함으로써 정신적으로 성장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의 개념과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면화 교육을 살피고,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에 구현된 내면화 교육 양상과 대안적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내면화 개념의 이론적 고찰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내면화 교육의 성취기준을 살피고,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전제를 마련하였다. 내면화의 이론적 개념은 크게 교육학적 수용과 문학교육적 수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내면화 개념의 교육학적 수용은 비고츠키, 폴라니, 콜링우드의 이론을 토대로, ‘심리적 차원’, ‘사회적 차원’, ‘심미적 차원’으로 유형화하였다. ‘심리적 차원’은 인식주체와 관련된 개념이며, ‘사회적 차원’은 소통 혹은 대화, ‘심미적 차원’은 ‘미(美)’와 관련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교육에서의 내면화는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감동의 한 과정이며, 이는 사회적 소통을 통해서 인식 주체인 학습자의 내면에 수행되고 용해된다. 본 연구에서 내면화의 문학교육적 수용은 앞에서 살펴본 내면화 개념의 교육학적 수용을 바탕으로 ‘인식주체와의 연계성을 통한 내면화’, ‘사회적 소통을 통한 내면화’, ‘심미적 정서를 통한 내면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내용을 토대로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내면화 관련 제재와 학습 활동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재의 특성은 ‘자기 발견을 통한 자아 성찰’, ‘세태의 비판을 통한 사회 현실의 반성’, ‘ 관찰과 발견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가치 추구’로 유형화하였으며, 학습 활동의 유형과 특징은 Ⅱ장에서 다룬 내면화의 요소를 토대로 ‘심리적 차원의 학습 활동’, ‘사회적 차원의 학습 활동’, ‘심미적 차원의 학습 활동’으로 나누고, 그 하위 항목은 내면화 개념의 문학 교육적 수용을 토대로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밝혔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기존의 문학 교과서에서 구현된 학습 활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장기적으로 바람직한 학습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교과서에서는 주로 수렴적 사고 중심의 학습 활동으로,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거나 작가/화자의 인식과 생각을 탐색하는 것에 그쳤다. 하지만 문학 작품을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문학의 가치를 수렴적으로 파악하는 과정과 문학의 가치를 가치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문학의 가치를 가치화하는 과정은 발산적 사고를 통해 문학의 의미와 가치를 확장하는 과정과 함께 이를 다시 자신의 가치체계로 재구성하여 수렴의 가치화로 순환하고 발전적 회기가 이루어진다. 결국 장기적으로 바람직한 내면화 교육의 학습 활동 방향은 발산적 사고 중심의 학습 활동과 더불어 수렴적 가치화 중심의 학습 활동이 순환되어야 한다.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가치화 중심의 학습 활동은 방안으로 ‘비교하기 활동을 통한 가치체계의 재인식’,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확장적 소통’, ‘ 발산적 재구성을 통한 내적 감동’을 구성하였다. 또한 복합적 차원의 학습 활동의 대안으로 ‘다층 복합적 차원의 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내면화 교육을 통해 텍스트 위주의 문학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위주의 문학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가치관과 인식체계를 토대로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인간과 세계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hat learners autonomously understand and appreciate and internalize the literary works The ultimat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is learners-development. Learners indirectly experience the valuable life in literature. And they grasp and understand the recognition system and values of the writer. Furthermore internalizing the value of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ir own lives, for the first time the learners can grow mentally. The chapter Ⅱ explained the concept of internalization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of internalization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rerequisite for analyzing textbooks was prepared. The concept of internalization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pedagogical acceptance aspects and literary-educational acceptance aspects. In the former case, based on the theories of Vygotsky, Polanyi and Collingwood, it was classified as the ‘psychological dimension’, ‘social dimension’ and ‘aesthetic dimension’. The ‘psychological dimension' is a concept related to the cognitive subject, the ‘social dimension’ is a concept related to communication or conversation, and ‘aesthetic dimension’ is a concept related to ‘beauty’. The internaliz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s an impressive process that learners are the main agent, and this is a process performed and dissolved in inner side of a main agent through social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literary-educational acceptance aspects of internalization was classified as ‘internalization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cognitive subject’, ‘internalization through the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nalization through the aesthetic emotion’, based on the definition of internaliz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above and the concept of internalization that accepted in pedagogy. The chapter Ⅲ examined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learning activities and materials related to internalization which shown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chapter Ⅱ. The materials were classified as ‘self-reflection through finding oneself’, ‘reflection of the reality of society through the criticism of social conditions’ and ‘pursuit of life of positive value through observation and finding ’.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the ‘learning activity of psychological dimension’, ‘learning activity of social dimension’ and ‘learning activity of aesthetic dimension’ based on elements of internalization covered in chapter Ⅱ, and the sub-items were classified based on literary-educational acceptance of internalization concept and were characterized. Based on this, the chapter Ⅳ reviewed critically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and proposed a direction of desirable learning activities. The existing textbooks have learning activities mainly focused on the convergent thinking. However, in order to internalize the literary works, the process of convergent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value of literature, the process of extension through the divergent thinking and the convergent valuation to reconfigure it as their own value system are needed. Ultimately,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activities of desirable internalization education needs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convergent valuation as well as the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divergent thinking. As the alternative, ‘the recognition of their own value systems through comparison activity’, ‘the expansive communication through intertextuality’ and ‘the inner impression through divergent reconfiguration’ were proposed. In addition, as an alternative to learning activities of complex configuration, ‘learning activity of multi-layered complex organization’ was suggested. Through the internalization education, out of text-based literature education, the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is expected to be carried out. In addition the learner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based on the recognition system and their own values and to grow a desirable attitude to human and world in relation to their own l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2 C. 연구 대상 및 방법 11 Ⅱ. 내면화에 대한 고찰과 교과서 분석을 위한 전제 15 A. 내면화에 대한 고찰 15 1. 내면화 개념의 교육학적 수용 15 가. 심리적 차원의 내면화 16 나. 사회적 차원의 내면화 18 다. 심미적 차원의 내면화 20 2. 내면화 개념의 문학교육적 수용 24 가. 인식 주체와의 연계성을 통한 내면화 26 나. 사회적 소통을 통한 내면화 28 다. 심미적 정서를 통한 내면화 32 B. 교과서 분석을 위한 전제 33 1.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면화 교육 34 2. 교과서 분석의 기준 35 가. 제재 분석 기준 36 나. 학습 활동 분석 기준 37 Ⅲ. 교과서에 나타난 내면화 활동 구현 양상 39 A. 교과서 수록 제재의 특성 39 1. 자기 발견을 통한 자아 성찰 39 2. 세태 비판을 통한 사회 현실의 반성 48 3. 관찰과 발견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가치 추구 50 B. 학습 활동의 유형과 특징 58 1. 심리적 차원의 학습 활동 58 가. 인식 주체의 일상적 체험을 통한 이해와 성찰 59 나. 인식 주체의 상상적 체험을 통한 비판적 고찰과 성장 62 다. 인식 주체의 일상적 체험을 통한 윤리적 가치 판단 66 2. 사회적 차원의 학습 활동 69 가. 독자와의 소통을 통한 문학적 사유 방식의 이해와 성찰 69 나. 거시적인 소통을 통한 타인의 고민과 생각 수용 73 3. 심미적 차원의 학습 활동 81 가. 심미적 정서의 탐색을 통한 가치 수용 81 나. 심미적 정서의 표현을 통한 자기화 83 Ⅳ. 내면화 교육을 위한 학습 활동의 대안적 구성 92 A. 일상적 체험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가치체계의 재구성 93 1. 일상적 체험의 단편적 활용의 비판적 고찰 93 2. ‘비교하기’활동을 통한 가치체계의 재인식 95 B. 확장적 소통을 통한 문학 작품의 이해 99 1. 단선적 소통 방식의 비판적 고찰 99 2.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확장적 소통 105 C. 심미적 정서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내적 감동 110 1. 심미적 정서의 수단적 가치 탐색의 비판적 고찰 110 2. 발산적 재구성을 통한 내적 감동 112 D. 학습 활동의 복합적 구성 115 1. 복합적 차원의 학습 활동의 구성 양상 115 2. 복합적 차원의 학습 활동 구성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119 3. 다층 복합적 차원의 학습 활동 구안 125 Ⅴ. 결론 132 참고문헌 134 ABSTRACT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56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문학교육의 내면화 교육 구현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Internalization Education in the literature Education : Focusing on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dc.creator.othernameKim, Cho Rok-
dc.format.pagevi, 141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