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조민진-
dc.creator조민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0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매체 변용 활동’의 체계화를 위해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매체 변용 교육을 검토하고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현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매체 변용으로 구현되어 있는 활동은 원작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서편제>와 <내 마음의 풍금>이 수록되어있다. <서편제>의 매체 변용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으나 <내 마음의 풍금>은 이에 비해 수가 굉장히 적고 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의 제재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매체 변용 활동에 대해 고찰한 연구가 없어 연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Ⅱ장에서는 문학교육에서 매체 변용에 관한 교육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소설과 영화로의 매체 변용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변화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학습 활동 분석을 위해 2011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매체 변용에 대해 살펴보고 내용 성취기준을 토대로 교과서 활동의 분석 기준을 제시하여 이후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 <서편제>와 <내 마음의 풍금>의 변용 양상을 분석하여 이야기와 인물의 확대, 내면심리의 외면화, 서술자와 카메라를 통한 서술 방식, 음악·정서의 형상화, 배경의 구체화로 총 5가지의 공통된 양상을 토대로 기본 구도를 도출해냄으로써 이후 교과서 속의 매체 변용 활동에서 학습 활동 고찰의 기본적인 원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Ⅲ장의 교과서 속의 매체 변용 활동에서 고찰한 문제점들을 토대로 매체 관련 지식 이론 활동의 위계화를 위해 소설과 영화의 매체 이론 학습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년 간 연계 학습의 체계화 측면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다매체 소통 향상을 위한 활동을 구현하기 위해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과 연계를 위한 활동의 추가와 매체 변용 생산 활동의 학습 방안으로 매체가 주는 표현 효과에 대해 학습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단일 양식에서 복합 양식으로 매체를 학습자 개인이 추가해보는 활동을 해보는 것과 소설의 한 장면을 영화로 직접 만들어보는 제작 활동 단계를 제시하는 대안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매체 변용에 따른 매체적 특성에 따른 표현 방식에 초점을 두어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학습의 재료가 되는 교과서 내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제시한 대안을 직접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여 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 변용 교육에 적용해보면 더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매체 변용 활동은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도 지속될 것이라 보이며 매체 활동을 위한 학교의 환경도 점점 발전 될 것이므로 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 변용의 생산측면에서도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media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for systemizing ‘media transformation activities’ published in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 The current activities conducted as media transformation in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 are the works cinematizing original novels, including <Seopyeonje> and <An organ in my heart>. Although the studies on media transformation of <Seopyeonje> have been relatively performed a lot, the studies on <An organ in my heart> are highly insufficient. The necessity of the study was confirmed because there were no studies to investigate media transformation activities of <Seopyeonje> and <An organ in my heart> in spite of their utilization of learning material in school curriculum. Above all, the chapter 2 analyzed how the education related to media transformation should be conducted in literature education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from novel to movie. Also, media transformation in ‘Literature’ section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explored to analyze learning activities that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ndards for textbook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Content Standards to contribute to the detailed follow-up studies. In the chapter 3, the transformation aspects of <Seopyeonje> and <An organ in my heart>, the themes of this paper, were analyzed to deduce basic framework based on total 5 common aspects, such as Story, Expansion Of Characters, Externalizing the Internal , Narrator and Narrative method through a camera, Figuration of Music/Emotion, Concretization of Backgrounds to be utilized as the basic principles for investigating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 Based on the contents above, the chapter 4 claimed that learning of connection among grade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systematization in order to make a variety of learning of Media Theory of novel and movie for the hierarchy of activities related to Media knowledge. Also, in order to conduct the activities for the enhancement of multimedia of communications of learners, the following alternative directions were suggested: the addition of the activities for the linkage between learners and aesthetic experience, the media-addition of individual learners from single-modal text to multi-modal texts for allowing learners to experience expressive effect as learning method of production activities of media transformation, the provision of producing activities for making learners produce a movie based on a scene from a novel. This study mainly analyzed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 which becomes the actual learning material in education field, focusing o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regarding media trans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applying the alternative direc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into direct education field and using it in media transformation education from novel to movie can obtain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Media Transformation activities are predicted to be continued in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h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media activities is also predicted to gradually develop. Therefore, this study hopes that a variety of future studies can be conducted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media transformation from novel to movi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7 Ⅱ. 소설의 영화화 교육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전제 10 A. 문학교육과 매체 10 B. 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 변용 12 1. 이야기와 플롯 14 2. 서술자와 서술방식 16 3. 심미성과 형식 18 C. 교과서 분석을 위한 전제 20 1. 2011개정 교육과정의 문학과 매체 20 2. 교과서 분석의 기준 25 가. 문학적 관점 25 나. 매체의 창의적 표현방식과 심미적 가치 26 다. 다매체 환경의 학습자 28 Ⅲ. 문학 교과서 속의 매체 변용의 학습 활동 양상 30 A. 매체 변용 표현 방식 : <서편제>와 <내 마음의 풍금> 30 1. 이야기와 인물의 확대 31 2. 내면심리의 외면화 47 3. 서술자와 카메라를 통한 서술 방식 64 4. 음악 정서의 형상화 69 5. 배경의 구체화 73 B. 매체 변용 관련 학습 활동의 유형 분석 80 1. 이야기와 등장인물 80 2.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 서술 84 3. 매체변용과 심미성 파악 90 Ⅳ. 매체 변용 학습 활동 개발의 대안적 방안 103 A. 매체 관련 이론 활동의 위계화 103 1. 소설과 영화의 매체 이론 학습의 다양화 104 2. 학년 간 연계 학습 체계화 106 B. 학습자의 다매체 소통 향상을 위한 활동 구현 111 1. 심미적 체험과의 연계 112 2. 매체 변용 생산 활동의 학습 방안 114 가. 단일 양식에서 복합 양식으로 단계화 활동 114 나. 소설의 영화화 교수학습 방안 120 Ⅴ. 결론 125 참고문헌 127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98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 변용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편제>와 <내 마음의 풍금>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ransformation from novel to movie in The Media Education : Focused on <Seopyeonje> and <An organ in my heart>-
dc.creator.othernameCho, Min Jin-
dc.format.pagex, 135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