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조은-
dc.creator조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3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acroscopic analysis on content development structure of narrative text produced by KFL learners and microscopically analyze the complexion where tense and aspect are realized in narrative text. This is an attempt for an analysis in overall text and macro-structure level beyond the level of grammar such as morpheme or sentence, focusing on the fact that tense and aspect are the grammar items that represent temporal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in narrative which is a form of description frequently used not just in KFL field but also in daily life. For this, first, this paper establishes a model for content development of universal narrative text through review on theory, analyzes the structure of text produced by KFL based on this model and finally, on the basis of analyzed structure, observes the complexion in which tense and aspect are realized at text level . The organiza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it illuminates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sets research questions, then by following these, considers preceding researches on narrative text structure and realization of tense and aspect within narrative text. The second chapter observes theorie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narrative, and provides a concrete analytic frame for analyzing content development structure built on common features from cases of studies which analyzed the macro-structure of narrative. Moreover, after examining academic achievements so far, it attempts to establish an analytic standard suitable for distinctiveness of KFL learners’ narrative text. Chapter Ⅲ explains experimental procedures and method for collecting text, gives details of grounds and process of choosing text subject, and describes an analytic frame for narrative structure and tense·aspect used as a study tool and concrete guidelines, exceptions etc. which is necessary for analysis. Chapter Ⅳ analyzes and describes the result, not only relying on quantitative analysis, but also doing qualitative analysis on complexion where tense and aspect are realized in context of overall text. As a result, KFL learners’ content development structure of narrative tex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not digressing too far from universal structure. Only the presence of ‘abstract’ and ‘coda’ of which existence depends on text and the position of ‘evaluation’ which can be located anywhere are changed. There is exceptional text, but it is the level of difference that can be accep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perspectives. After analyz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realization of tense and aspect or not according to each of structures analyzed by content development, and also after analyzing what this complexion is like,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past tense is generally used due to the property of narrative itself which describes the past. However, each structure has their own properties. Especially, as a result of classifying description on case into foreground and background according to Discourse Hypothesis, most of foreground is simple past tense, while in the background the use of simple past tense decrease, and various tense and aspect that could not be seen in foreground appear. Also characteristics of tense and aspect which are different from other structures are foun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wo ways. First, it analyzes the content structure of narrative text and tense·aspect, grammar items which are important due to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by linking them. Moreover, it overcomes existing standards of EFL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utilized to analyze tense and aspect, and attempts to establish an analytic frame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s of Korean linguistics. However, it still has limits because it lacks the consideration on whether there are certain narrative structures that Koreans prefer or narrative convention that varies due to cultural distinctiveness. More persuasive conclusion can be obtained not only in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in tense and aspect study if the text of native speaker directly comparable to that of KFL learner is collected to be analyzed together.;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쓴 내러티브 텍스트의 내용 전개 구조를 거시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미시적으로 내러티브 텍스트에서 시제와 상이 실현되는 양상을 살피는 데 있다.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자주 접하게 되는 내러티브라는 서술 유형에서 가장 중요한 속성 중 하나인 시간성을 나타내주는 문법 항목이 시제와 상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형태소나 문장 차원의 문법을 벗어나 전체 텍스트와 거시구조 안에서 살피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의 검토를 통해 보편적인 내러티브 텍스트의 내용 전개 구조 모형을 설정한 후 그 모형을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산출한 텍스트의 구조를 분석하였고, 이렇게 분석한 구조를 바탕으로 시제와 상이 텍스트 차원에서 실현되는 양상을 살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힌 뒤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이어서 연구 문제에 따라 내러티브 텍스트 구조에 관한 선행 연구들과 내러티브 텍스트 내에서의 시제와 상 실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했다. Ⅱ장에서는 내러티브의 구조와 관련된 이론들을 살피고 실제로 내러티브의 거시구조를 분석한 연구들의 예를 모아 그 공통점을 바탕으로 내용 전개 구조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시제와 상에 대한 그간의 학문적 성과들을 살핀 뒤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러티브 텍스트라는 특수성에 맞는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텍스트 수집을 위한 실험 절차와 방법을 설명하고 텍스트 주제 선정 근거와 과정을 상세히 밝히고, 연구 도구로 사용된 내러티브 구조 분석 틀과 시제·상 분석 틀과 함께 분석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 예외 조항 등을 기술했다. Ⅳ장에서는 그 결과를 분석하고 기술하였는데, 양적 분석에만 의존하지 않고 전체 텍스트의 맥락 안에서 시제와 상이 실현되는 양상을 질적으로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러티브 텍스트 내용 전개 구조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었으며, 보편적인 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텍스트에 따라 나타날 수도,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개요와 종결의 존재 여부와 위치가 자유롭다는 특성이 있는 평가 부분의 출현 위치가 달라졌을 뿐이다. 예외적인 텍스트도 있었지만, 그 역시 서술하는 내용과 관점에 따라 인정 가능한 정도의 차이였다. 이어서 이렇게 내용의 전개에 따라 분석한 텍스트의 구조별로 시제와 상의 실현에 차이가 있는지, 또 그 양상은 어떠한지를 분석한 결과, 과거의 일을 기술하는 것이라는 내러티브 자체의 특성 탓에 전반적으로 과거시제가 많이 쓰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각 구조마다 고유한 특징도 분명히 있었다. 특히 사건 서술 부분을 담화구조가설에 따라 전경과 배경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전경의 대부분이 단순과거시제임에 반해, 배경에서는 단순과거시제의 비중이 작아지고 전경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시제와 상의 형태들이 출현하고 있었다. 평가와 종결에서도 다른 구조와는 다른 시제와 상 실현의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텍스트의 내용 구조와 내러티브의 특성상 중요한 문법 항목인 시제·상을 연계하여 분석했다는 점,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시제와 상을 분석할 때 대부분 EFL의 기준을 그대로 가져와 사용했었다는 점을 극복하고 국어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분석 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내러티브 구조라고 여겨지는 기준을 설정함에서 한국인들이 더 선호하는 내러티브 구조가 있는지, 문화적 특수성으로 인해 다르게 나타나는 서사 관습은 없는지 등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학습자 텍스트와 직접 비교할만한 모어 화자의 텍스트가 수집되어 함께 분석되었다면 내러티브 구조뿐만 아니라 시제와 상에서도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4 C. 선행 연구 6 1. 내러티브 텍스트의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6 2. 한국어교육 분야의 시제와 상 관련 연구 8 Ⅱ. 이론적 배경 12 A. 내러티브 텍스트의 구조 12 1. 내러티브 텍스트의 개념과 특성 12 2. 내러티브 텍스트의 구조와 구조 분석 13 B. 내러티브 텍스트에서의 시제와 상 20 1. 문법 범주로서의 시제와 상 21 2. 내러티브 텍스트에서의 시제와 상 26 Ⅲ. 연구 방법 30 A. 연구 절차 30 B. 실험 참여자 32 C. 연구 도구 33 1. 쓰기 주제와 작문지 33 3. 내러티브 텍스트 분석 도구 36 Ⅳ. 한국어 학습자의 내러티브 텍스트 분석 결과 41 A. 한국어 학습자가 내러티브 텍스트의 전반적 특징 41 B. 한국어 학습자 내러티브 텍스트의 내용 전개 구조 42 1. 내러티브 텍스트의 전체적 구조 42 2. 텍스트 구조별 세부 양상 49 C. 한국어 학습자가 내러티브 텍스트에서의 시제와 상 58 1. 개요 부분에서의 시제와 상 58 2. 배경 소개 부분에서의 시제와 상 61 3. 사건 서술 부분에서의 시제와 상 66 4. 평가 부분에서의 시제와 상 71 5. 종결 부분에서의 시제와 상 76 Ⅴ. 결론 및 논의점 80 참고문헌 84 부록 1. 한국어교재의 내러티브 쓰기 과제 목록 90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23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내러티브 텍스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내용 전개 구조 및 시제와 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Narrative text analysis of KFL learner: focusing on content development structure, tense and aspect-
dc.creator.othernameCho, Eun-
dc.format.pageviii, 96 p.-
dc.contributor.examiner조항록-
dc.contributor.examiner이영숙-
dc.contributor.examiner이미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