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Impulsiveness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장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일화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개인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 중에서 또래애착과 충동성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또래애착과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남녀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교에 다니는 남녀 중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질문 및 또래애착,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는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test,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구매 동기는 연락의 용이성이라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1시간~2시간미만으로 사용한다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은 1시간~2시간미만, 여학생은 2시간~3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들이 스마트폰의 여러 기능 중에서도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 일반 사용자군이 가장 많았으며, 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사용자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충동성은 또래애착,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충동성과 또래애착, 충동성과 스마트폰 중독은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또래애착과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의 성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또래애착은 여학생이, 충동성은 남학생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마트폰 중독에서는 성별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충동성은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남자 중학생의 경우 충동성만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여자 중학생은 또래애착과 충동성이 모두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목적이 주로 SNS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의 SNS 사용 실태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것은 또래관계에 민감한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특성으로 인한 결과로 보이며, 청소년들이 또래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충동성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난 것은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겪고 있는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자기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 내담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observe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regarding smartphone addiction, the relations among peer attachment, impulsivity and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peer attachment and impulsivity among other personal,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explain the dispositional traits of adolescents. More precisely, this study used correlation analysis to uncover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attachment, impulsivity and Smart-phone addiction observed i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s has been noted by virtually every commenta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impulsivity and their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is problematic. The majority of survey respondents were recruit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respondents numbered 349, male and female. The questionnaire involved demographic questions and self-reporting questions such as peer attachment, impulsivit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PSS 21.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urrent situ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use of smartphone, the motive of its purchase originates from easiness of contact, which ranked first, and the hours of use regarding smartphone, which was between one and two hours, which ranked first. In terms of gender, male students use it from one to two hours a day while female students use it from two to three hours, which ranked the highest. In addition, regarding the motive of use of smartphone ranked high in all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y are mostly SNS(Twitter, Facebook, Kakao Story, etc) users among other functions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general users ranked first then followed by high-risk users and latent high-risk user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is non-significant while impulsivity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er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Impulsivity, peer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demonstrated nega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Third, the result of the gender difference regarding peer attachment, impulsivity and smartphone addiction shows that peer attachment ranked high in female students while impulsivi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however, it was non-significant statistically. But in terms of smartphone addiction,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that is, female students are more addicted to smartphone as compared with male students. Fourth, the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non-significant statistically, while impulsivity turns out to be the factor of smartphone addiction. In terms of gender, for male students, only impulsivity is the influential factor of smartphone addiction, while for female students, peer attachment and impulsivity are both influential to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 that the adolescents’use of smart-phones is mainly focused on Social Network Servies(SNS). In this regard, it is essential to look at the SNS usage of the youth. In addition, the reporting data and analysis show that female adolescents are more prone to addiction in using smartphone than male adolescents in that females are sensitive to maintaining peer relationships. In this context, it is recommended that there is a need for alternative program that enables one to communicate with his or her peers in face-to-face. Last but not least, the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ed to involve the factors of impulsivity. In order to reduce the frequency of using smartphone, it is pivotal to cultivate the power to control by themselves. This study can provide a useful guideline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improve adolescent clients’dispositional trait of addiction to smart-phon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