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2009 개정 교육과정 영어과 선택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

Title
2009 개정 교육과정 영어과 선택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Elective Subject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 Focusing on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Preception
Authors
문효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reception of elective subjects and elective English courses in the High school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explore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from this analysi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hierarchy and relevance between elective subjects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This is to find and solve a problem of elective subjects and elective English courses that is intimated continuously from 1th Curriculum up to now. To achieve this, teacher's preception and analyses, key subject of the judgment of elective subject and elective English courses were decided as th main contents. A subject for inquiry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What is teacher's preception of change flow of subjects in the High school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from 1st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What is teacher's perception on Subject classification in the High school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What is teacher's preception on the elective English courses in high school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th, What is teacher's preception on improvement of the elective subjects and elective English courses in the high school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f such for inquir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e teacher's preception about change flow of English subject in high school from 1st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eachers recognized that various elective subjects as ‘Ⅰ or Ⅱ’ to represent that the same contents are intensified, basic-level subjects, new subjects (subjects concerning 'Practical English' and 'Reading and Writing'). And, the basic-level subjects is the basic process that can compensate for learning deficits. Subjects concerning 'Practical English' as new subject have a practical use. But teachers think negatively about excessive classification of this subjects. Also, Subjects concerning 'Reading and Writing' were divided into several subjects without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t can't be implemented because of low relevance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econd, teacher's preception on elective subject of English department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positive or negative. Teachers think positively that Optiona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subjects : basic-level subjects, general-level subjects, intensive-level subjects. This classification were newly developed to help the teachers instruct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 and the basic-level subject means supreme effort to ensure minimal level for english ability. The classification into 'English subject' course and 'Practical English subject' course has good intentions, but it isn't hierarchically clear in the level of contents. Teachers think characteristics' descriptions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are repetitive and abstract. And, teachers recognized this subjects isn't no definite grounds to prove the course target or sequence of elective English courses due to subjects that have no different of level. So, They want detailed description and guide. Third, the cases of 'English subject' course and 'practical English subject' course were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teachers’ preception. Teacher saw 'English subject' course and said that the subjects don't have hierarchy of contents, so she teaches 'EnglishⅠ' included 'Practical English Ⅰ'. Some teachers saw 'Practical English subject' course and said that the subjects don't have hierarchy of contents and is not fit to tak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hen considering the elective English courses in high school, the primary considerations are School Types, difficulty of grade, semester hour, students' level, classification of basic courses and intensive courses, educational effectiveness, subject course (Practical , English course), textbook, hierarchy of contents, students' interes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etc. Fourth, as a result to examine teacher's preception on assignments of elective subjects, several assignment were deducted. For differentiation of content areas, detailed description is comprehensible and easy for student and teacher. And teachers suggest the subjects differentiated from this area, get rid of duplicates of elective subjects, want appropriate number of subjects. Also, as a result to examine teacher's preception about assignments of elective English courses, several assignment were deducted. They wanted to make elective English courses for third grader in High School to explore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education, for this courses to be appropriate and applicable to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classroom, to make subject classification and textbook that the stage of learning gets more intensified.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 to explore effectiveness of elective subjects. First, excessive of diversity and segmentation creates confusion. The way to maximize diversity is to maximize choice, but give the appropriate number of subjects and clear classification for student and teacher to explore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Second, for subject differentiation and description of content areas, the subjects' name should be used by the different subject name. Third, elective English courses should be designed to be sequential and continued. And elective English courses are selected that are related to students' career, talent, aptitude, interest, and deep learning is carried out. Fourth, teachers should take training session on the elective subjects and elective English courses to utilize wisely by studying and analyzing various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이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교과 선택과목의 과목구분과 이수경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의 선택과목과 이수경로의 개선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택과목은 이수경로의 계획 시 경로 선택의 구성요소로서 학습자의 영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과목들의 구분 기준이나 과목들 사이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에 적합한 과목을 선택하여 체계적으로 이수하도록 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과제가 된다. 이 연구는 2009 개정 영어과 선택과목들의 구분 기준이나 과목들 사이의 위계 및 연계성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미흡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학생들이 영어 선택과목을 이수함에 있어서 선택의 기준이 불분명하고 과목의 이수 순서나 경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육과정 과목 편제 변천에 비추어 볼 때 2009 개정 고등학교 영어 과목편성의 특징에 대한 교사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2009 개정 고등학교 영어 선택과목 구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2009 개정 고등학교 영어 선택과목 이수경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영어 선택과목의 구분과 이수과정의 개선 과제와 개선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무엇인가?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고등학교 영어 선택과목 운영의 중요한 주체인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서술형 질문지를 통해 의견을 수집하였으며, 일부 교사들을 대상으로는 추가적인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 교육과정에서 현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영어 교과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본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두드러진 특징은 선택과목의 다양성 및 수준(Ⅰ, Ⅱ)구분, 기초영어과목의 개설, 그리고 새로운 교과의 신설(실용영어 관련 과목, 독해와 작문)등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과목을 제공할 수 있지만 지나친 세분화는 오히려 선택의 어려움과 혼란을 준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기초영어 과목의 개설로 인하여 기초실력이 부족한 학생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고 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고등학교 영어 선택과목 구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선택과목을 크게 기본과목, 일반과목, 심화과목으로 3가지 구분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학생이 수준별로 나누어 선택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고 기본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최소한의 영어 수준을 보장하려는 노력이 보인다고 하였다. 그러나 기본과정이 학교 현장에서는 개설이 어렵고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운영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하였다. 일반과정으로 영어 과목 군과 실용영어 과목 군을 분류한 것에 대해 의도는 좋았으나 내용적인 면에서 차이가 드러나지 않고 뚜렷한 구분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일반과정의 8개 과목은 차별화를 갖추지 못하고 교과목을 나누기 위한 방편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수대상이나 이수순서 결정에 관해 과목의 수준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아 근거로 불명확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이해 가능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안내를 요구하였다. 셋째, 2009 개정 고등학교 영어 선택과목 이수경로에 대해 영어 과목 군과 실용영어 과목 군으로 나누어 질문하였다. 실용영어 과목군은 입시제도에 맞지 않으므로 일반고에서 선택하기 어렵다는 의견과 실용영어 과목 구분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이수경로의 의미가 없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고등학교 영어 선택과목 이수경로 계획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학교계열(인문계, 전문계), 학년의 난이도, 이수 단위 수, 학생 수준, 기초 과목 군과 심화과목의 구분, 영어 교육의 교육적 효과, 과목 군(실용, 영어과목군), 교재, 단계별 수업 방향성, 학생의 흥미도, 대학 입시 등을 고려한다고 하였다. 넷째, 영어 선택과목의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선택과목을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학습자와 교사가 쉽고 이해 가능하도록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며 과목 이름에 맞는 차별적인 내용이 포함되고, 중복되는 선택과목을 없애고 적절한 선택과목의 수를 적정화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영어 선택과목 이수경로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고3 수업에서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선택과목 이수경로에 대한 대책, 현장의 실태를 반영하여 선택과목이 구성되어지는 이수경로 대책, 선택과목의 구분을 명료화하고 충분한 안내의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수경로를 운영하는 방안, 단계별로 이수경로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교과의 명확한 구분과 선택과목과 관련된 교재개발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영어 선택과목의 구분과 이수경로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논하였다. 첫째, 선택과목의 지나친 다양화와 세분화는 선택의 혼란을 줌으로 지양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선택과목은 학습자와 교사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지만, 현장에서의 학습자와 교사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중복되는 선택과목을 없애고 명확한 구분에 따른 적절한 선택과목의 수를 제공함으로 선택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와 교사에게 쉽고 이해 가능하며 명확한 선택과목의 구분과 설명을 위해 과목의 이름에 맞는 차별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과목 구분이 되어져야 한다. 셋째, 명확한 선택과목 구분을 통하여 목적에 맞게 이수 경로가 연속적으로 계열적으로 구성되어져야 한다. 진정한 의미의 학생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수준과 필요 그리고 진로에 맞는 이수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넷째, 효과적인 이수경로가 이루어지기 위해 외국의 영어 교과 구분에 대한 연구와 우리나라의 성공한 이수경로 사례를 분석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용을 할 수 있는 선택과목과 이수경로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