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지애-
dc.contributor.author엄서현-
dc.creator엄서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3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336-
dc.description.abstractThe ultimate goal of moral education is to foster moral talents who have desirable characters. Then who is a person with a desirable character? It refers to a person who can practise desirable moral values since the person is well aware of moral values considered desirable and internalizes such values harmoniously. We are living in the time of high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in the society that is full of advanced knowledge and surplus of information, and is thus even call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owever, why have senseless and immoral problems been generated even more? Currently, although voices are raised for the effort to recover morality in many areas worldwide, an agreement on moral values and their specific application have not been reached, and subsequently effective moral education cannot be implemented. In this thesis, I will review the previous discussions on character education, and among them, examine Lickona’s integrative model of character education closely to see what processes and elements are needed to go from moral learning to moral practice. Then, as a specific way of character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raise and an effective way of praise education will be discussed, which is based on the positive reinforcement in behaviorism. While behaviorism and Lickona’s integrative model of character education that I based my discussion on as theoretical backgrounds are focused on behavioral aspects and moral habituation, serious weaknesses have been pointed out. It was argued that although morality was reinforced and developed by practice and behavior, it was only done so by learning through imitation of or identification with the existing tradition or value, and the internal quality of students were ignored. Students were defined as a passive entity on the ground that students were at the state of blank paper that passively received all values and thus they should not be allowed to evaluate any value. Character education relied too much on the direct teaching effect in learning the value and concept of moral virtues, which have subsequently lead to the fault of ignoring human moral potential. While Lickona who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maintained a somewhat integrative approach of complementing advan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nd traditional moral education with each other without arguing for the revival of old fashioned character education, he could not be far off from false assumptions of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Thus, as the essence of the topic in this study is to actively elicit and develop the morality that students possess internally through praise, which is a positive reinforcement element, premise of this study i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Lickona’s. It is constructive moral education theory that has emerged to complement this. Since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argue for the usefulness of praise in moral education, the discussion will not be extended to constructive character education. However, seeking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be solutions to the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by harmoniously applying advantag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ructivism based on the student’s internal potential and the behavioral education trend will be the role of educators in the field. I will find the complements to the fault of ignoring the internal potential of students by defining them as a passive entity from the roles of teachers. Many moral psychological theories on character education state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Among the roles of teachers, although delivery of knowledge is important, much more important is the mindset and attitudes of teachers in dealing with students. It is essential that teachers have expert knowledge, and in a sense, it may be argued that how much expert knowledge teachers have accumulated has become meaningless in the era when the level of students are highly standardized, and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found easily via a variety of ways. It is time that more attention and efforts should be given to basic quality and attitude of teachers rather than their knowledge. Although students can find knowledge easily, they still must learn how to use it in a correct way from parents and teachers. Another aspect to be noted in the integrative model of Lickona is the definition of a desirable teacher. In his teacher theory, Lickona argued that it was the teacher’s role to lift up the self-regard of students and encourage them to learn and practise desirable values by providing positive feedback to students through keen interest and consideration. I argue that from the view of a teacher to a student, it is effective in building up a desirable character to find good virtues actively from the individual student with a keen positive interest, and provide praise as a positive reinforcement. The human brain secretes dopamine, a neurotransmitter, upon hearing praise, which then stimulates the reward system of the brain, leading to feeling of pleasure. As quoted in ‘Praise can make even a whale dance’, even animals feel stability and show improved behaviors when they are fairly rewarded and praised for good deeds. This means that a small praise can make not only a human but also an animal feel happy. The surprising effect of praise are also revealed well in the process of how great persons who had achieved big success overcame their crisis. In addition, the Pygmalion effect as well presented in the quote ‘the greater the expectation is, the better the achievement is’ showed that the teacher’s positive expectation had a huge impact on the academic ability of a student as shown in various experiments. However, there have also been persistent negative views on praise such as ‘hard to praise’ and ‘too much praise is not good’, and the origin of such negativity is the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raise and the ignorance of the proper way of praising. Accordingly, the overall aims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how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to date is reviewed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positive reinforcement in behaviorism and Lickona’s integrative character education is investigated. Second, the concepts and types of praises are reviewed, and the proper way of praise will b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cautions of the scolding and punishment that are inevitable in the school education will be examined, and the proper way of the scolding suggested. Third, the way of applying praise being in the education settings is through the speech of teachers. All aspects in human life appeared as 'relationships' and such relationships begin with 'language'. The important reason of teachers' speech in our education is that all educational activities are conducted through the medium of teachers' 'words'. From this perspectiv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educational speech is needed and thus, it will be briefly examined. Fourth,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s in praise education will be examined, and the mindset and attitudes of desirable teachers suggested. Fifth, specific plans for the application of praise in current mo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will be sought. Most of all, ways of praise that teachers can utilize in the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irrespective of subjects will be suggested, including praise diary, praise letter, praise sections in class newspaper, Monday praise time and praise relay. Also, a teaching program will be devised, consisting of the learning of the concept of praise, the role-play of praising, the presentation of opinions and the case studies as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moral thinking and behavior in the class design for the unit 'moral practice' that is a lower unit of 'I as a moral subject', the first chapter in moral education in the current first grade middle school, which thereby will allow students to have a mindset for praise and prepare for accepting praise properly while obtaining the correct conception of praise and discussing the proper way of praising. Too much praise, meaningless praise without sincerity or untimely and awkward praise may rather lead to negative results. Timely praise made via a proper way appropriate for each situation with a positive attitude can bring positive results that are several times greater than the scolding.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way of moral education that can obtain the short-term result and be commonly applied to every student. However, praise may give the relatively short-term outcomes, which in tur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chers who praise. In addition, if students respect and consider one another, and feel a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thanks to the ripple effect of praise, the class will be able to grow into one moral community.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thesi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What education is required for current students? What areas need to be educated in what way for character education? What ar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s in character education? What effect does the application of praise in character education have? And how can praise be utilized for more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The important point in character education is that students are properly aware of themselves, and recognize the world and learn the value through positive self-awareness. This is formed not through expert knowledge but through the teaching and examples of parents or teachers. Education must be able to help students to compose moral self-understanding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romote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regard and moral identity. It is the role and mission of schools and teachers that elicit the potential of individual students, and grow them into moral persons who can constitute the desirable moral and social communities. Therefore, it is argued that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eachers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peech in character education and have an attitude to constantly seek ways of applying proper praise for general instructional speech.;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바람직한 인격을 가진 도덕적 인재의 양성에 있다. 바람직한 인격을 갖춘 인간이란 무엇인가?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도덕적 가치를 잘 알고 이러한 도덕적 가치들이 조화롭게 내면화되어 이를 실천 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우리는 지금의 사회를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부를 만큼 고도화된 지식과 넘치는 정보 속에서 지식의 상향평준화 된 시대를 살고 있다. 하지만 어째서 비상식적이고 비윤리적인 문제들은 더 많이 양산되어 가는 것일까?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은 분야에서 도덕성 회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나 도덕적 가치에 대한 합의점과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인 도덕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논자는 인격교육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서 도덕적 앎이 도덕적 실천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과정들을 거쳐야 하며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인격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 행동주의의 긍정적 강화를 기본 이론으로 하는 칭찬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칭찬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논자가 논의를 진행함에 있어 이론적 배경으로 가져온 행동주의와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은 행동적인 측면과 도덕성의 습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치명적인 단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있다. 도덕성이 실천과 행동에 의해 강화되고 개발된다고 하지만 그것은 기존의 전통이나 가치에 대한 모방이나 동일시를 통한 학습에 의한 것이지 학생의 내면적인 자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주장한 것이다. 학생은 모든 가치들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백지상태이므로 그들에게 어떠한 가치에 대한 평가를 하게 해서는 안 된다며 학생을 수동적인 존재로 정의하였다. 인격교육은 도덕적 덕의 가치와 개념의 학습에 있어서 직접 교수의 효과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 인해 인간이 지닌 도덕적 잠재력을 무시하는 오류를 범한 것이다. 미국 인격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Lickona는 복고적인 인격교육의 부활을 주장하지 않고 인지 발달 이론과 전통적인 인격 교육의 장점들을 상호 보완하려는 다소 통합적인 입장을 견지했지만, 기존의 인격교육의 그릇된 가정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이에 논자는 학생의 내면에 가진 도덕성을 긍정적 강화 요소인 칭찬을 통해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고 개발시키자는 것에 주제를 두었으므로, 전제에서는 많은 차이점을 가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것이 구성주의적 인격교육론이다. 본고에서는 도덕교육에서 칭찬의 효용성을 주장하려고 하는 것이 목적인 바 구성주의적 인격교육론에 대한 논의까지는 나아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의 내면적 잠재력에 바탕을 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인격교육론과 행동주의 교육사조에서의 장점을 조화롭게 적용하여 현재의 교육문제의 해결책이 될 교육방법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남겨진 교육자들의 역할이 될 것이다. 논자는 학생을 수동적인 존재로 정의함으로써 학생 내면의 잠재력을 무시하는 오류에 대한 보완점을 교사의 역할에서 찾으려고 한다. 인격교육에 대한 많은 도덕 심리학 이론들은 교사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교사의 역할 중 지식의 전달도 중요하지만 더욱더 중요한 것은 학생을 대함에 있어서 교사의 마음가짐과 태도이다. 교사가 전문지식을 갖는 건 기본이며, 요즈음처럼 학생의 수준이 상향평준화 되어 있고 필요한 정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는 시대에 교사가 전문지식을 얼마나 쌓느냐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보다 교사의 기본적인 자질과 태도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기울여져야 하는 때이다. 학생들이 지식은 쉽게 찾을 수 있으나 그것을 어떻게 올바로 사용할지에 대한 것은 아직도 부모나 교사를 통해 배울 수밖에 없다. 논자가 Lickona의 통합적 교육이론에서 또 하나 주목한 부분은 바람직한 교사에 대한 정의 부분이다. Lickona는 교사론에서 깊은 관심과 배려를 통해 학생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 줌으로써 학생의 자존감을 높여주며 바람직한 가치를 습득하고 실천할 수 있게 격려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주장하였다. 교사가 학생을 바라보는 관점에서부터 학생 개개인에게 긍정적인 관심을 두고 적극적으로 좋은 점을 찾아내어 칭찬이라는 긍정적 강화를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한 인격형성에 효과적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칭찬을 들으면 사람의 뇌는 도파민이란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해 보상중추를 자극함으로써 즐거운 감정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한다.’라는 말처럼 동물도 잘한 일에 대해 응당한 보상과 칭찬을 받으면 안정감을 느껴 더욱 발전된 행동을 보인다. 작은 칭찬 한마디가 사람뿐 아니라 심지어 동물까지도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는 얘기다. 칭찬의 놀라운 효과는 큰 성공을 이뤄낸 위인들이 자신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도 잘 드러난다. ‘기대하는 데로 이루어지리라’ 피그말리온 효과는 다양한 실험들에서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감이 학생의 학업 능력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렇게 좋은 칭찬에 대해 ‘하기 어렵다.’ ‘많이 하면 좋지 않다.’는 식의 부정적인 견해를 갖게 되는 원인은 칭찬의 개념을 잘못 알고 있으며, 올바른 칭찬법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고의 총괄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격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인격교육이 전개되어 온 흐름을 살펴보고 행동주의의 긍정적 강화와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칭찬의 개념과 유형들을 살펴보고 올바른 칭찬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빠질 수 없는 꾸중과 처벌에 대해서도 개념정의와 유의점에 대해 알아보고 올바른 꾸중법을 제시할 것이다. 셋째, 칭찬이 교육현장에서 적용되는 방법은 교사의 화법을 통해서이다. 인간의 모든 생활은 ‘관계’로 나타나고 이러한 관계는 ‘언어’로 시작한다. 우리 교육에서 교사화법이 중요한 이유는 모든 교육행위가 교사의 ‘말’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이루어 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교육화법에 대한 개념정의가 필요하여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칭찬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사가 갖춰야 할 마음가짐과 태도를 제시하려고 한다. 다섯째, 현 중학교 도덕 교육에서 구체적인 칭찬의 활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교과의 구분을 두지 않고 전반적인 교육활동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칭찬일기, 칭찬편지, 학급신문에 칭찬코너 활용, 월요일 칭찬시간, 칭찬릴레이 등의 방법들을 제시해 볼 것이다. 그리고 실제 중학교 1학년 도덕과 수업에서 첫대단원인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의 하위 단원인 중단원 ‘도덕적 실천’의 수업구성 속에서 도덕적 사고와 행동의 개념과 관련지은 활동으로서 칭찬의 개념 알아보기, 칭찬 역할놀이, 소감발표, 사례연구 등을 통해 칭찬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심어주고, 올바른 칭찬법에 관해 토의해 보면서 칭찬하려는 마음과 칭찬을 잘받아들일 마음의 준비를 갖출 수 있도록 교안을 구성해 볼 것이다. 칭찬을 무턱대고 많이 한다거나, 진심이 담겨있지 않은 무의미한 칭찬, 시기와 상황에 맞지 않는 엉뚱한 칭찬들은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각각의 상황에 맞춰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적절한 시기와 방법을 통해 칭찬을 하게 되면 꾸중의 몇 배나 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단기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고 모든 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방법을 찾는 일은 매우 어렵다. 하지만 칭찬은 비교적 단기적인 성과를 지켜볼 수 있고 이것은 칭찬을 하는 교사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칭찬의 파급력으로 인해 학생들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며, 소속감과 책임감을 느끼게 되면 교실은 하나의 도덕 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본고에서 논의할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지금의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 인격교육은 어떤 영역들이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 인격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가? 인격교육에 칭찬을 활용하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는가? 보다 효과적인 인격교육을 위해 칭찬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가 바로 그것이다. 인격교육에 있어 중요한 것은 학생이 자신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고 가치를 습득하는 것이다. 이는 전문적인 지식보다는 부모나 교사의 가르침과 본보기를 통해 형성된다. 교육은 학생들이 도덕적인 자기 이해를 구성하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하고, 긍정적인 자아감과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학교와 교사의 역할이고 사명이다. 때문에 교사는 인격교육에서 화법의 중요성을 알고 올바른 칭찬의 교수 전반의 화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4 Ⅱ. 인격교육에서의 칭찬활용법 모색의 이론적 배경 7 A. 인격교육론의 흐름과 내용 7 1.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8 2. 행동주의 이론에서의 강화와 조형 19 3. 인격교육에서의 칭찬의 중요성 30 B. 칭찬의 개념과 유형 31 1. 칭찬의 개념과 유형 31 2. 올바른 칭찬의 방법 38 3. 꾸중의 개념과 유의점 52 C. 교사 화법 61 1. 교사 화법의 중요성 62 2. 교사 화법의 개념과 관련 범주 65 Ⅲ. 칭찬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 69 A. 칭찬의 필요성 69 B. 교사의 역할과 책임 78 Ⅳ. 중학교 도덕과 에서의 칭찬 활용안 모색 91 A. 교육과정 전반에서의 칭찬활용법 92 1. 개별적인 칭찬의 예 93 2. 칭찬을 활용한 학급 활동의 예 98 B. 칭찬을 주제로 한 교안 개발 102 1. 단원의 구성 102 2. 교안의 개발 103 V. 결론 109 참고문헌 113 부록. <활동지1∼7> 116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825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도덕과 교육에서의 칭찬활용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격교육론과 강화이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ays of using praise in moral education : based on character education and reinforcement theory-
dc.creator.othernameEom, Seo Hyun-
dc.format.pagevi, 127 p.-
dc.contributor.examiner조경원-
dc.contributor.examiner임현식-
dc.contributor.examiner이지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