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음악중점중학교 대상 음악전공 중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성취목표이론에 관한 조사 연구

Title
음악중점중학교 대상 음악전공 중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성취목표이론에 관한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atisfactory Level of Major and Achievement Goal Theory Among Music majoring Students in Music-Specialized Middle School
Authors
한경보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승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joring music in music-specialized schools that are recently vitalized and to analyze the student's musical achievement goal of music practice in their adolescence according to a theory of achievement goal in educational psycholog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majo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goal among schools and regions to find its cause. In addition, the study looks into the establishing background and status of music-specialized schools established since 2011 to seek appropriate setting for music majoring students and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non-major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to be attained, music-specialized classes in the music-specialized schools were selected from four regions including Seoul, Incheon, Gyeongbuk and Daegu. In accordance with a number of majoring students and situation of each school, two groups were set up. It is consisted of four schools, two per group; the first group with a prominent number of majoring students, the second group with a balanced number between majoring and non-majoring students. Under prior approva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 questionnaires for music majoring students' environment, 1 questionnaire for difficulty of practice songs, 30 questionnaires for satisfactory level at music major and 20 questionnaires for achievement goal related to motivation of music study.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major satisfactory level were redesigned with theses and articles about choosing major as references. Sub-factors of the satisfactory level are six; aptitude, interest, satisfaction, confidence, pride and goal. Each sub-factor is making 5 questionnaires by a total of 30.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achievement goal theory were modified with achievement goal scale, fitting to music practices.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are four;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Each sub-factor is making 5 questionnaires by a total of 20. For a quality of the survey, 30th questionnaire about satisfactory level was made as a negation item and answers are indicated by a five-point scale by Likert. Whereas the surveying in Seoul and Incheon was performed on spot by a researcher, surveying in Gyeongbuk and Daegu was performed under the guidance of a teacher in the schools and sent by mail. For analysis of the survey data, SPSS (Sta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2.0 was used for statistics processing. In pre-survey and main survey, sub-factors for major satisfactory level and achievement goal were drawn by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of the survey. After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mong questionnaires for each sub-factor of major satisfactory level and achievement goal was obtain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 questions was checked by correlation analysis. For analyzing difference of achievement goal according to satisfactory level, t-test was performed in each school to see if major satisfactory level affects to achievement goal. T-test was also done to see difference of achievement goal by difficulty of music practice song. Furthermore, one-way 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different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ory level in each school (region). Post-hoc comparison by Duncun was done to see meaningful level of the difference in each school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majoring music are shown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chools (regions) in the survey of major satisfactory level. Among the sub-factors, satisfaction was shown as the highest one and pride as the lowest one. Aptitude and goal in the sub-factors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chools to verify that al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hows similar level of musical aptitude and goal. Second, the survey related to achievement goal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joring indicates that mastery-approach as the highest one and performance-avoidance as lowest one among sub-factors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chools (regions). Third, the survey about how major satisfaction level affects to achievement goal points out that mastery-approach is achievement goal among students even though their satisfaction is different, high and low. Fourth, the survey about difficulty of music practice songs indicates that the difficulty of practice song is getting higher gradually as their school grade goes up.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level of music majoring students in music-specialized school is very high overall in terms of pride, aspiration and goal about the major. Their achievement goal is mastery-approach to practice music songs. Students majoring in music-specialized school perform music tasks in terms of mastery-approach and aim to development and mastery of playing music. Therefore, major satisfactory level and achievement goal of the students in music-specialized school are as much as art middle schools, asserting that operation and support for the music-specialized school should be continued.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to guarantee financial support and operation of the music-specialized school and recruit more music-specialized teachers for development of the school. Beside, professional and continuous music education for music majoring students is needed not to shatter their dream. Lastly, various music education models should be developed to vitalize music education and give musical experience not only to majoring students but non-majoring one, for systematic and diversified education environ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음악중점학교 음악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에 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교육심리학의 성취목표이론을 음악학습에 적용하여 중학교 청소년시기 전공실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성취목표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음악전공만족도와 음악적 성취목표가 각 학교별, 지역별로 어떤 특성과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011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음악중점학교의 등장 배경과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학교현장에서 청소년들이 갖는 음악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음악교육에서 전공자들을 위한 적합한 환경과 일반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인천, 서울, 경북, 대구 등 4개 지역에서 현재 음악중점학교로 운영되고 있는 음악중점반을 섭외하여 음악전공인원과 학교별 특성을 확인한 후 두 개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선정결과 음악 전공자들의 분포가 많은 학교 2개 지역과 전공과 취미를 고루 갖춘 학교 2개 지역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여 사전에 동의를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도구는 설문조사로 음악전공 중학생의 주변 환경을 알아보기 위한 개별 질문 7문항과 전공실기 곡 난이도 질문 1문항, 음악전공 선택에 관한 전공만족도 질문 30문항과 음악학습 동기를 알아보기 위해 성취목표 질문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음악전공만족도 설문지는 음악전공 선택과 관련된 학술지와 논문자료를 참고하여 연구자의 논문에 맞게 새롭게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전공만족도에 대한 설문지 구성은 하위요인이 적성, 흥미, 만족감, 자신감, 자부심, 목표 등 총 6개로 구성하였고, 각 요인별 5개 문항 씩 총 30문항을 제작하였다. 성취목표이론 설문지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 척도를 음악 실기에 맞게 수정ᐧ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은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등 총 4개로 구성하였고 각 요인별 5개의 문항 씩 총 20문항을 제작하였다. 설문지 응답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전공만족도 30번 문항을 부정문항으로 만들었으며,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인천과 서울지역에는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북과 대구지역에는 우편발송을 통해 담당교사의 협조아래 설문지를 조사한 후 회수하였다. 이 연구의 수집된 자료 처리를 위해서 SPSS(Sta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먼저 예비조사와 본 조사에서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전공만족도와 성취목표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Cronbach's α로 산출하였다. 본 조사의 신뢰도를 확인한 후 전공만족도와 성취목표의 각 하위요인의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전공만족도에 따른 성취목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여 전공만족도가 성취목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각 학교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공실기 곡 난이도에 따른 성취목표의 차이를 t-test로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각 학교(지역)별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학교(지역)별 차이의 유의미한 수준을 확인을 위한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음악전공 중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전공만족도를 나타냈으며, 각 학교(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에서 만족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적성과 목표는 각 학교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아 연구에 참여한 학생 모두 음악적 소질과 목표의식이 대체적으로 같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전공 중학생들의 성취목표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하위요인 중 숙달접근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회피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각 학교(지역)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셋째, 전공만족도가 성취목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조사에서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들과 낮은 학생들 모두 숙달접근으로 성취목표를 두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공실기 곡 난이도 조사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기 곡의 수준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종합해보면, 음악중점학교 음악전공 중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자신들의 음악전공에 대한 자부심과 포부, 목표의식이 매우 높으며, 성취목표도 음악 실기를 잘하기 위해 숙달접근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음악중점학교 전공학생들은 음악실기 과정에서 숙달접근을 통해 실기과제를 수행하며, 음악연습에서도 실기의 향상과 숙달에 초점을 두어 연주를 더 잘하기 위해 접근하였다. 이와 같이 음악중점학교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전공만족도와 성취목표는 예술중학교에 못지않은 열정과 소질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음악중점학교의 지원과 운영은 지속되어야 한다. 교육부는 재정지원과 지속성을 보장하고 음악전문 교사들을 더욱 확충하여 음악중점학교의 발전을 모색하여야 한다. 더불어 음악중점학교에서 음악전공 중학생들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음악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이들의 꿈이 사전에 차단되지 말아야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음악 수업 모형들이 계발되어 음악교육의 활성화를 이루고 전공자들을 위한 음악교육뿐 아니라 일반학생들에게도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다채로운 교육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