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승현-
dc.contributor.author김상미-
dc.creator김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6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7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중학생의 음악 학습 동기와 수업 참여도에 효과적인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프로그램 검증을 위해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 프로그램 10차시를 개발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음악학습 동기 및 수업 참여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수업을 하기 전과 후의 전체적인 소감을 분석하였다.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 프로그램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개념을 선정하고 생성적 음악학습모형 및 단계를 모색한 후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단계를 거쳐 개발 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생성적 음악학습이론과 신체 움직임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박자, 리듬, 가락, 화성, 형식, 빠르기, 셈여림, 음색의 8개 개념을 바탕으로 총 10차시에 걸쳐 이루어져 있다. 프로그램 내용은 5인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K구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 55명으로 2달 동안 1차시에 45분 씩, 주 2회에 걸쳐 음악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수업이 진행되기 전과 후에 각각 음악학습 동기 및 수업참여도 검사를 실시하여 양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개방형 질문, 진행교사의 소견, 수업에 쓰인 활동지, 학생들의 모둠별 창작 작품, 사진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켈러(J. M. Keller)가 개발한 CIS(Course Interest Survey)와 차민정 외(2010)가 개발한 수업참여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통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양적 데이터를 보다 구체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해 변화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음악학습 동기 및 수업 참여도 사전-사후 검사의 양적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 학습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음악학습 동기에 대한 사후 검사 점수가 사전 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이 중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 학습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에 대한 사후 검사 점수가 사전 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이 중학생의 음악수업 참여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 후 개방형 질문을 통해 분석한 학생들의 인식변화는 협동심, 음악에 대한 관심도 및 흥미도, 개념 형성, 신체활동, 시간, 기존의 수업과의 차이, 생활과의 연계’의 7개 범주로 정리하였으며,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 학습을 경험한 많은 학생들이 수업을 하기 전에 비해 음악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으며 개념형성에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둠활동을 통한 협동심을 기를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음악의 개념을 다루고 보다 다각적인 신체 움직임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기초음악교육의 수준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고 중학교 음악 교육이 단순히 감상, 가창, 기악수업이 아닌 풍부한 시각적 자료와 신체활동을 통한 흥미로운 음악수업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music programs through physical activity that will be helpful to a middle school student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music concept learning program through physical activity on a middle school students' music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for 10-time music class sess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modified & supplemented through verification by an expert's content feasibility, looked into the change in music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by applying the program developed for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analyzed students' general thoughts before/after music class. The music concept learning model through physical activity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fter selecting the concept of a middle school consequent on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inquiring into generative music learning model & phase. The developed program is based on generative music learning theory and body movement education, consisting of 10-time class session on the basis of 8 concepts of beat, rhythm, harmony, form, tempo, dynamics, and timbre, and then this study modified and supplemented it by getting it to go through content feasibility verification from an expert. The study set the 55 second graders of a middle school located at K-gu, Seoul as research objects, for whom this study conducted music lessons twice a week for 2 months. This study collected quantitative data by conducting music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test before/after class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music class, respectively. The qualitative data include open questions, opinions of a conducting teacher, activity paper used in class, students' group creative work, and photo data. The tools used for this research were J.M. Keller-developed Course Interest Survey(CIS)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class participation developed by Cha, Min-jeong et al.,(2010);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matching sample t-test of collected data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nd calculated Cronbach's αcoe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a measuring tool.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changed awareness through open questions additionally in an effort to more concretely interpret qualitative data.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pre/post test of music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whi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study-development prog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the post test for music learning motivat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music concept through physical activit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scores. Accordingly, it's learned that music concept learn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has an affirmative influence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post-test of class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music concept through physical activ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re-test. Accordingly, it's learned that music concept learn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has an affirmative influence on enhancing a middle school student's music class participation. Third, the study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middle school student's general music learning motivation and music class participation.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re is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confidence in music class and passion for music class, and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enthusiasm for music class, respectively. This study arranged students' change in perception which was analyzed through open questions after applying this program to students as 7 categories, such as cooperative spirit, concern and interest in music, concept formation, physical activity, time, difference in the existing music class, and connection with life, etc.; in addition, many students who experienced music concept learn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were found to show higher concern and interest in music class comparing to before class, and to be helpful to their concept formation as well as to develop their cooperative spirit.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s,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necessity of music concept learn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thinks that it's necessary to address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o research on the program through the application of more diverse physical movements in the follow-up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hopes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s music education and musical growth, and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could be reborn as the music class through plentiful data and various activities other than simply music appreciation,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cla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신체 움직임의 이해 5 B. 음악학습 동기와 수업 참여도 19 C. 보드만(Boardman, 1996)의 생성적 음악학습 모형 23 Ⅲ. 연구 방법 27 A. 연구 설계 27 B. 연구 대상 28 C. 측정 도구 28 D. 연구 절차 29 E. 자료 수집 31 F. 자료 분석 32 G. 연구 윤리적 고려 34 Ⅳ. 연구 결과 35 A. 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 프로그램 개발 35 B. 음악학습 동기 및 수업 참여도 사전-사후 점수 분석 결과 107 C. 개방형 질문 분석 113 Ⅴ. 결론 및 제언 116 참고문헌 120 부록 123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46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신체활동을 통한 음악개념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생의 음악학습 동기 및 수업 참여도에 대한 효과 검증-
dc.title.translatedThe Music Concept Learning Program through Physical Activi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Verifying the Effects of a Middle School Students' Music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dc.creator.othernameKim, Sang Mi-
dc.format.pageix, 140 p.-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조기숙-
dc.contributor.examiner윤승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