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소셜미디어 이용과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

Title
소셜미디어 이용과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 Media Use and Online Social Capital on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Twitter and Facebook Application
Authors
홍서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희원
Abstract
본 연구는 20대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과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편, 소셜미디어 이용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개인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의 조절효과 또한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최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해결책을 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다섯 개의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연구문제 1>은 소셜미디어의 유형으로 제시된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인 이용량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2>는 소셜미디어 이용이 온라인 사회자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설정하였으며, <연구문제 3>은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4>는 소셜미디어 이용과 온라인 사회자본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총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고, <연구문제 5>는 소셜미디어 이용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정부 및 국내 다수의 기업들이 신뢰하고 이용하는 포커스컴퍼니(www.focuscompany.co.kr)의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하여 20대의 트위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156명,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152명으로 총 308명의 설문응답을 회수하였다. 한편,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바론과 케니(Baron & Kenny, 1986)가 효과적인 검증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던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연구문제 1>을 분석한 결과, 트위터의 경우에는 정보 동기가 특히 트위터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곧 심홍진과 황유선(2010a), 최영과 박성현(2011) 등의 연구자들이 주장한 바와 같이 트위터 이용자가 주로 정보 동기를 지니고 트위터를 이용한다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즉, 트위터 이용자들은 기존에 주변 사람들이 트위터를 이용하기에 이용한다기보다 관심 있는 주제, 예를 들면 연예인이나 만화 등 특정 관심사에 관련된 정보나 콘텐츠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정보 동기가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페이스북 이용자들은 특정 학교나 회사 등 소속 집단에서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다수이기 때문에 페이스북을 다른 사람들이 이용하고, 본인도 시간을 보내기 위한 유희 동기를 지니고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2>를 분석한 결과, 트위터의 경우에 트위터 이용동기와 트위터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이 교량형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설명력이 결속형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았다는 점이 밝혀졌는데 이는 곧 최영과 박성현(2011)이 주장한 개방형 소셜미디어로 분류되는 트위터에서 교량형 사회자본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 페이스북 이용동기와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이 결속형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모형의 설명력이 교량형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엘리슨 외의 연구자들(Ellison et al., 2014)의 연구와 같이 폐쇄형 소셜미디어로 분류되는 페이스북의 경우에 결속형 사회자본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연구문제 3>의 연구결과, 트위터 이용자와 페이스북 이용자 모두 소셜미디어 계정을 친구에게만 공개한 경우에 중독 트위터 이용집단과 페이스북 이용집단 간 중독 전체와 중독 하위 차원인 과다사용, 문제점, 그리고 소외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검증됐다. 특히 트위터와 페이스북 모두 결속형 사회자본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형성되는 결속형 사회자본으로 인해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자주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접속하고, 스마트폰이 손에 없으면 쉽게 불안 증세를 느끼거나 중독이라고 느낄 때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이용을 그만두기 어려운 등 중독 현상을 겪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문제 4>의 연구결과, 트위터와 페이스북 모두 결속형 사회자본이 중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다른 이용자와의 단편적인 교류 후에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접속을 종료하기보다 다른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결속형 사회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 과정을 통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지 않으면 쉽게 불안감을 느끼거나 가족, 지인 및 친구들과 있을 때에도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확인하는 등의 중독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그 동안의 온라인 매체 중독 연구에서는 사회적인 요인이 온라인 상에서의 중독을 심화할 수도 있고(김세현, 2010; 이해경, 2008; 피은경, 2011) 오히려 약화시킬 수도 있다(권정혜, 육설아, 우성범, 조현, 2013)는 연구결과가 존재했다. 본 연구에서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 5>의 연구결과, 특히 트위터 이용이 트위터 어플리케이션 중독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인 요인의 조절효과가 있었다는 점이 나타났다. 이는 곧 윌슨 외의 연구자들(Wilson et al., 2010)이 연구한 바와 같이 트위터 상에서 관심 있는 주제나 대상을 다른 이용자와 함께 공유하고 정보를 찾아보며 교환하는 과정에서 친밀도를 높이고, 이런 습성으로 인해 트위터 어플리케이션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즉 트위터가 지닌 익명성으로 인해 트위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본인의 취미나 관심사를 다른 이용자들과 공유하고 교류함으로써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온라인상에서 형성되는 상호 관계인만큼 오프라인에서보다 좀 더 관계에 집착하게 되어(이상호, 고아라, 2013) 트위터 어플리케이션에 수시로 접속하고 확인하는 등 중독 현상을 보이게 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그 동안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소셜미디어 중독 척도가 혼재돼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호바스(Horvath, 1999)와 박승복(2013)의 연구로부터 소셜미디어 중독 척도를 차용해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의 하위 차원을 세분화하고 먼저 항목이 유의한지 사전조사를 거쳐 본조사에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학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소셜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독과 같이 오늘날 대두되는 문제 양상에 관한 연구로 향후 PR실무자들이 중독자를 대상으로 PR캠페인 전략을 수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실무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a proper campaign strategy to prevent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First of all, this study want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of online social capital. So, social media use was considered as key variable. In case of Twitter, several communication patterns such as seeking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were key variable of bridging social capital. Especially, Twitter has useful construction to seek informations which users want to find and has advantage of talking with other users who was interested in same topic or content. Thus, Twitter users could more effectively build bridging social capital than Facebook users. However, Facebook users could build bonding social capital because of their communication at Facebook application. In general, Facebook users know each other because they usually belong to same school or company. So they could easily communicate not only at offline but at online platform. Also they could more trust each other than Twitter, so they could build bridging social capital. Based on online social capital form which was figured out at each Twitter and Facebook appli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also wan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online social capital on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As a result, Twitter and Facebook both has significant effect of bonding social capital. Thus, this study could figure out that Twitter users who use twitter as protect account,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could arise easily than open users. Discussed in detail, Twitter users could experience inattention because of bonding social capital whereas Facebook users could experience overuse of social media application. According to hierarchical regression, the findings also show the regulating effect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while social media use affect social media application. First of all, Twitter users' information motivation was key variable among the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Meanwhile, Facebook user's compensation motivation was key variable. The result was showing that Twitter users' purpose was not only searching useful information but making new relationship with other users who has same interests. Also, Twitter and Facebook users' bonding social capital was key variable of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solution of PR campaign of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Currently, many of users are addicted to online relationship. So when you operate effective campaign strategy, you should consider Twitter and Facebook users' usage motivation and social media application usage patterns. In conclusion, you need to consider which online social capital made of social media use factors could affect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For example, nowadays, many Twitter users want to seek new relationship with someone who has same interests like animation or interesting topics at online environment whereas Facebook users want to compensate themselves by using Facebook application. Thus, it is critical that considering social media users'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patterns as well as the form of online social capital to prevent social media application addi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