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김예진-
dc.creator김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7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743-
dc.description.abstract교사의 역량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속적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현대의 교사는 과거와는 달리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연구하는 동시에 다양한 학생의 지적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안고 있다. 교사의 역량 관리를 위해 연수와 장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달 위주의 방식이 실제 교사의 직무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연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교사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교사학습공동체가 주목을 받고 있다. 지속적으로 교사의 역량을 쇄신하기 위해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소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원이 지니고 지식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발전시키는 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개인 지식과 집단 지식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지식 공유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에 대한 비전과 신념을 바탕으로 교사들 스스로의 능동적인 활동을 통해 전문성을 높이는 교사학습공동체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지식 공유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경력, 직위)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가 지식 공유, 직무 수행에, 지식 공유가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와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에 어떤 구조관계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문항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문항을 토대로 세 차례에 걸쳐서 내용 타당도와 안면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쳤다. 예비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18개교 370명의 교사를 임의 표집해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41개교 1,0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937부(93.7%) 중 총 862부(86.2%)를 최종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측정 설문지의 문항 내적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배경 변인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들 간의 직․간접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과 AMOS 21.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여교사, 경력 20년 이상인 교사, 부장 교사일수록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의 실행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교사는 남교사보다 교사학습공동체에 있어 학생의 학습력 신장, 비전과 목적의 공유 순으로, 지식 공유에 있어서는 수용, 직무 수행에서는 학급경영, 생활지도, 수업 활동의 실행 정도를 더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경력이 높은 교사가 교사학습공동체에서는 비전과 목적의 공유, 지원 환경, 학생의 학습력 신장을, 지식 공유에서 기여와 축적을, 직무 수행에 있어서는 학급경영, 생활지도, 수업 활동, 유대 관계 면에서 실행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부장 교사는 일반 교사보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비전과 목적의 공유, 협력적 학습, 지원 환경을, 지식 공유에 있어서는 수용, 의도, 기여, 축적을, 직무 수행에서는 학급경영, 생활지도, 유대 관계, 수업 활동 순으로 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와 지식 공유, 교사학습공동체와 직무 수행, 지식 공유와 직무 수행의 관계 사이에는 유의한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공유 전체로 볼 때, 교사학습공동체는 학생의 학습력 신장, 비전과 목적의 공유, 협력적 학습, 지원 환경의 순서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직무 수행 전체로 볼 때, 교사학습공동체는 학생의 학습력 신장, 비전과 목적의 공유, 지원 환경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협력적 학습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직무 수행 전체로 볼 때, 지식 공유는 기여, 수용, 축적 순으로 영향을 주었다. 반면 의도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은 적합함이 판명되었다.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는 직무수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학습공동체는 직무 수행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지만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 추정결과 남교사 집단의 경우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이 모두 유의하였으며,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여교사 집단의 경우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만 유의하였다. 교직 경력에 따른 경로계수 추정결과, 5년 미만, 20년 경력의 교사 집단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직․간접으로 영향이 모두 유의하였으며,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20년 미만 경력 집단의 경우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만 유의하였다. 직위에 따른 경로계수 추정결과 부장 교사 집단에서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일반 교사 집단의 경우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교육 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성별, 경력, 직위 등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교사가 학습공동체 형성과 지식 공유, 직무 수행을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달랐다. 여교사, 고경력의 교사, 부장 교사일수록 좀 더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배경 변인을 고려하여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동기 부여와 더불어 서로에게 지식을 나눌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직무 수행 효율성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고려할 때 교사학습공동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심도록 해야 하며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식 변화를 위하여 공동체에 대한 안내와 연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원 환경 측면에서 시간, 공간 등 운영의 장애를 극복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지식 공유는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사의 직무 수행에서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고 더불어 구성원의 적극적인 지식 공유 과정이 수반 될 때 직무 수행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식 공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동체가 추구하는 목표를 명료화하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원들 간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서로 간의 신뢰를 통해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지식 공유를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과에 대한 해석과 활용 시 고려할 점과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표집에 있어서 성별, 경력, 직위에 있어 교사의 비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교 단위로 표집을 한 결과 연구 대상 선정에서 남교사와 저경력 교사,부장 교사의 표집이 적었다. 남교사와 저경력 교사, 부장 교사의 경우 교사학습공동체가 직접적으로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온 것이 연구 대상의 표집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집단 간 유사한 표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표집의 대상을 학교 구성원으로 확대하거나 전국 교사를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교장, 교감을 비롯한 다양한 구성원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실제 활동을 탐구해야 할 필요도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있는 일부 초등학교 교사들을 임의 표집 대상으로 한정된 기간에 설문지 중심의 측정 도구에 의해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표집 범위를 확대하여 전국의 교사를 대상으로 확대하고 표집 방법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식 공유와 직무 수행에 대한 연구주제와 연구영역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특히 이를 위해 학교 구성원들 모두에게 의미 있게 실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사의 지식 공유를 측정하는 측정 도구가 시대 상황과 현재의 교육환경을 반영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타당화 과정을 거쳐 제작되어야 한다. 교사의 직무 수행에 있어서도 국가 수준에서 공통된 교사 자격 기준과 측정 도구의 마련이 요구된다. 넷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지식 공유를 매개로 하는 영향 이외에 다른 변인을 매개로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교사학습공동체 외에도 교사의 직무 수행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섯째, 교사학습공동체를 다차원적인 개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중심의 연구였지만, 이를 교사 수준과 공동체 수준으로 확대하여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다면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해 더욱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공동체 수준까지 고려한 다층 분석의 연구가 추후 요구된다.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가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지식 공유를 매개하여 전체 연구 대상, 초등학교 교사 배경 변인별(성별, 교직 경력, 직위)로 차별화하여 실증적 연구를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The qualification as a teacher is considered as the most crucial factor in education and a teacher is also mentioned as the salient factor who has a direct and down-to–earth effect on students. In contrast with the previous teachers, the modern teachers are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that they constantly need to study on the new curriculums in the rapidly-changing society and they should meet the students’ various intellectual desires as well. The training and promotion of study for supervising teachers’ qualification have been proceeded, but those programs are confronted with the criticism that the delivery-centered methods have not satisfied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ir tasks.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he cooperative system which is set up with teachers as the central figure, is being brought up as the alternative which might overcome the confines of the teachers’ training. To constantly develop their qualifications, teachers need to develop their own intellectual strength based on the other teachers’ extensive knowledge as well as need to enroll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hat is to say, knowledge sharing which creates a new kind of knowledge in the process where the individual intellectual property is converted to the collective knowledge, should b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is aiming at investigating the effect whic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here teachers can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based on their own visions and beliefs through the spontaneous activities and the knowledge sharing which is producing the new knowledge have on the job performance and it is also focusing on the structure relation of these three factors. The inquiries for this study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do the elementar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gender, educational experience, and position) cause any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Second, does the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have an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and does knowledge sharing also influence job performance? Third, what kind of relation is there between the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For this study, the inquiries for investigating the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were set up as follows: Three stages of verification such as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ere proceeded based on the inquiries developed in the precedent studies. To attain validity and credibility of a preliminary measure, the preparatory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andomly sampled 370 teachers from 1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is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1000 teachers from 4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Total 862(86.2%) of the 937(93.7%) retriev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statistics. The statistics process of data computed Cronbach Alpha Coefficient, to verify the item internal credibility of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For the validity verificati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solution of Inquiry 1,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 and position) were verified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n phase of Inquiry 2, the influence between the formation of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vestigation of Inquiry 3 was conducted based on the goodness-of-fit of the hypothetical route models between the formation of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and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for figuring out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male teachers, teachers with 20-year-educational experience, and head teachers highly perceived the impotance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When compared with male teachers, female teachers more highl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order of the growth of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and sharing of visions and purposes, and they also showed the high perception about the acceptance in case of knowledge sharing and about the class management and the guidance work in case of job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experienced teachers highly perceived sharing of visions and purposes, supportive environment and the growth of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concerning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howed the perception about contribution and accumulation in case of knowledge sharing, and also showed the awareness of class management, guidance work, relationship, and class activity in case of job performance.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teachers, head teachers had more perception of sharing of visions and purposes, collaborative class, supportive environment in case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perceived acceptance, purpose, contribution and accumulation in case of knowledge sharing, and showed the awareness of class management, guidance work relationship and class activity in case of job performance. Second, it was noticed that there are meaningfu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job performance, and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When considering knowledge sharing as a whole,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howed the static influence in order of the growth of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sharing of visions and purposes, collaborative class and supportive environment. When considering job performance as a whole,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howed the static influences on the growth of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sharing of visions and purposes, and supportive environment in order. Whereas collaborative class was not meaningful. The knowledge sharing showed effects on the contribution, acceptance and accumulation in order. When considering job performance as a whole, knowledge sharing has an influence on contribution, acceptance, and accumulation in order. Whereas the influence on intention was not meaningful. Third, the hypothetical route models betwee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were proved to be partially appropriate. The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howed a significant, static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on the ground of knowledge sharing. Fourth, the result of presuming path-coefficient based on gender showed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hic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has on job performance were all meaningful in case of male teachers’ group.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teachers’ group did not show the influence whic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had directly on the job performance, and only the indirect influence therof based on knowledge sharing seemed to be meaningful in this group. The investigation of the path coefficient based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gave the result that the effect whic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had directly and indirectly on the job performance was meaningful in case of the following teachers’ groups ; the one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or 20 years. It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community had more influence when knowledge sharing was becoming a media condui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which the teachers’ leaning community has directly on job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in case of teachers with experience of 5~9 years or 10~19 years and only the indirect effect based on knowledge sharing appeared significant. The investigation of the path coefficient based on the position revealed the result that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knowledge sharing had a static influence on both of general teachers’ and head teachers’ job performance. It was also revealed that it had more influence when knowledge sharing functioned as a media conduit.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effect whic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had on job performance was not meaningful and it showed an indirect effect only when it was related to the knowledge sh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provide a sort of implication to the education field. First,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 and position. The female teachers, the experienced teachers and the head teachers are more assertive in performing their jobs.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job performance will be improved, if the circumstance motivating teachers to jo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o share their knowledge with others is prepared in contemplation of the background variables. Second, teachers need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in forming the learning community when considering the result that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ffects the job performance. Teachers need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also the introduction and training about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need to be prepared for the change of teachers’ consciousness. Third, knowledge sharing plays a role as a meaningful medium betwee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job performance. It means that job performance will be done more efficiently when teachers’ positive knowledge sharing as well as the invigo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re accompanied. For invigorating knowledge sharing, the consensus between the community members should be formed through the clarification and awareness of the aim the community pursues. Additionally, teachers’ effort to share more knowledge by decreasing uncertainty through mutual trust is also needed. The sugges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ollow-up study based on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gender, experience, and pos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sampling for statistics. The result of sampling with a school as a uni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male teachers, teachers with less experience, and head teachers was low. As the result that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had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of male teachers, teachers with less experience, and grade head teachers might be related to sampling of research objects, it is needed to sample the research objects with the similar ratio for the further research. Second, it seems necessary to expand the range of the sampling target to the members of schools or to the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It is also needed that the various members including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study the actual activities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this research could not avoid the limitation thereof when considering that it has been conducted just by targeting teachers from just a few schools in Seoul,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just within the limited period and with the only measurement of questionnaire. Therefore, the more extensive survey which is targeting the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is required. Third, the theme and field of research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need to be extended. For this extensive research,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assessment tools that are meaningful to all kind of school members. These evaluation tools for measuring teachers’ knowledge sharing needs to be composed of subordinate factors which are reflecting times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also needs to be prepared based on the validity. Regarding job performance, it is also needed to prepare the nationalized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and evaluation tools. Fourth,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if the teachers’s learning community has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when the other variables as well as knowledge sharing act as a media conduit. In addi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influence job performance, apart from the teachers’s learning community. Fifth, the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by reflecting the statistics such as Hierarchy Linear Model. This study was proceeded only with teachers as the central figure, but if the study is conducted based on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capacities between the teachers’ standard and the community standard, it would be easier to understand in depth the effects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ccordingly, the multi-level analysis considering the community sphere is also needed in the follow-up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respect that this surve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that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ith knowledge sharing as a media conduit has on job performance, and that it was conducted based on the differentiated survey targets an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 and pos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 서 론 1 A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 연구 문제 6 II . 이론적 배경 7 A . 교사학습공동체 7 1 . 교사학습공동체의 정의 7 2 .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 12 B . 지식 공유 25 1 . 지식과 지식 공유 25 2 . 지식 공유의 구성 요소 33 C . 직무 수행 43 1 . 교사 직무의 개념 43 2 . 직무 수행의 구성 요소 49 D .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의 관계 62 1 . 교사학습공동체와 지식 공유 62 2 . 교사학습공동체와 직무 수행 64 3 . 지식 공유와 직무 수행 68 4 .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의 관계 70 III . 연구 방법 75 A . 연구 모형 75 B . 연구 대상 76 C . 연구 절차 78 D . 연구 도구 80 E . 자료 처리 92 IV . 연구 결과 94 A . 배경 변인별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에 대한 인식차이 94 B .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의 영향력 105 C .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의 관계 112 V . 결론 129 A . 요약 및 논의 129 B . 결론 및 제언 135 참고문헌 140 부록 164 ABSTRACT 1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000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의 구조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ructur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Kim, Ye Jin-
dc.format.pagex, 186 p.-
dc.contributor.examiner정혜영-
dc.contributor.examiner최진영-
dc.contributor.examiner오은순-
dc.contributor.examiner송경오-
dc.contributor.examiner이성은-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