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최지은-
dc.creator최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5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at examining difference in social pretend play with sex of peer play groups in 5-year-old boy and girl children. It also intends to identify associations among types of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and between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o,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1. What difference is there in social pretend play with sex of peer play groups in 5-year-old boy and girl children? 2. In 5-year-old boy and girl children, what associations are there among types of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2-1. In 5-year-old boy children, what associations are there among types of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2-2. In 5-year-old girl children, what associations are there among types of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3. In 5-year-old boy and girl children, what associations are there between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and their social competence? 3-1. In 5-year-old boy children, what associations are there between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and their social competence? 3-2. In 5-year-old girl children, what associations are there between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s and their social competen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87 children of 5 classes for 5-year-old, one private preschool and two private child daycare centers located at Seoul. As for research measures, firstly, a pretend play observation scale was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and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 based on 9 levels of Howes & Matheson's (1992) RPPS(Revised Peer Play Scale) with reference to pretend play levels suggested and adapted to Korean situations by Park Hyeon-Kyeong (2004). Secondly, as for the social competence scale for teachers, this study used the ISCS(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 developed by Pease, Clark & Crase (1979) and translatedㆍcorrected by Seong Yeon Seung (1999) particularly for a questionnaire. Also, scoring was done with the method Choi Jeong Ah (2008) us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ntains sub-factors of capability, leadership, sensitivity and stability, composed of 24 items. Thirdly, as for the social competence scale for peers, it used the scale corrected and complemented by Lee Eun-Jeong (1995) to be fitting for children from Asher, Singleton, Tinsley & Hymel's (1979) HIFTO(How I Feel Toward Others). For the research analysis, it conduc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in social pretend play with sex of peer play groups in 5-year-old boy and girl children, it shows that boys participated in the social pretend play more actively than girls, and the social pretend play with the same-sex peer play group was done more actively than the social pretend play with the other-sex and mixed-sex peer play groups. Moreover, boys participated in the social pretend play with the same-sex peer play group more actively than girls.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associations among pretend play types with peer play group in 5-year-old children, for both boys and girls, non-pretend pla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retend play with the same-sex peer play group, and solitary pretend pla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tend play with the other-sex peer play group. In addition, pretend play with the other-sex peer play grou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tend play with the mixed-sex peer play group. However, the pretend play with the same-sex peer play group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olitary pretend play, pretend play with the other-sex peer play group and pretend play with the mixed-sex peer play group for boys, while it was positively for girls.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associations between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5-year-old children, for both boys and girls, social competence measured by the peer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olitary pretend play. Social competence measured by the other-sex peer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retend play with the same-sex peer play group,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on-pretend play. However, social competence measured by the other-sex peer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tend play with the mixed-sex peer play group for boys, while it was negatively for girls. In addition, social competence measured by a teache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olitary pretend play for girls. Moreover, social competence measured by a teacher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pretend play with the mixed-peer play group for girls, while it was insignificantly and positively for boys.;본 연구는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성구성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의 차이,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 유형 간의 관계,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성구성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의 차이는 어떠한가? 2.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 유형 간에 관계는 어떠한가? 2-1. 만 5세 남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 유형 간에 관계는 어떠한가? 2-2. 만 5세 여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 유형 간에 관계는 어떠한가? 3.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만 5세 남아의 또래놀이 집단 별 가장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만 5세 여아의 또래놀이 집단 별 가장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1곳과 사립 어린이집 2곳의 만 5세 학급 다섯 개 반 유아 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첫째, 가장놀이 관찰척도로 Howes와 Matheson(1992)의 RPPS(Revised Peer Play Scale)의 9가지 수준을 기준으로 한국의 실정에 맞게 박현경(2004)이 제안한 가장놀이 수준을 참고하여 연구자와 유아교육전문가 1인이 함께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용 사회적 능력 검사도구는 Pease, Clark과 Crase(1979)이 개발한 ISCS(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중 어머니 설문지를 번역ㆍ수정한 성연승(1999)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채점방법은 최정아(2008)가 사용한 방법을 따랐다. 교사용 사회적 능력 검사도구는 유능성, 지도력, 민감성, 안정성의 하위요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또래평정법을 통한 인기도 검사도구로 Asher, Singleton, Tinsley와 Hymel(1979)의 HIFTO(How I Feel Toward Others)를 유아에게 적절하도록, 수정ㆍ보완한 이은정(199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범위 등의 기술통계를 구하였으며,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성구성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사회적 가장놀이에 더 활발하게 참여하였으며, 동성또래놀이집단일 때에 이성ㆍ혼성또래놀이집단일 때 보다 사회적 가장놀이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또한, 동성또래놀이집단일 때 남아가 여아보다 사회적 가장놀이에 더 활발하게 참여하였다. 둘째,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 유형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비가장놀이는 동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단독가장놀이는 이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이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는 혼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동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는 단독가장놀이, 이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 혼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와 각각 남아의 경우 부적 상관을, 여아의 경우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녀 유아 모두 동성ㆍ이성또래측정 사회적 능력은 단독가장놀이와 부적 상관을, 이성또래측정 사회적 능력은 동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비가장놀이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이성또래측정 사회적 능력은 혼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와 남아의 경우 정적 상관을, 여아의 경우 부적 상관을 보였다. 교사측정 사회적 능력은 단독가장놀이와 여아의 경우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혼성또래놀이집단의 가장놀이와는 남아의 경우 약하지만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여아의 경우 부적 상관을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또래놀이집단 6 1. 유아기 또래놀이집단의 중요성 6 2. 유아기 또래놀이집단과 성구성 7 B. 가장놀이 10 1. 가장놀이의 개념 및 의의 10 2. 가장놀이의 발달단계 12 3. 가장놀이와 성차 16 C. 유아의 사회적 능력 17 1. 사회적 능력의 개념 및 의의 17 2. 사회적 능력의 측정방법 19 3. 사회적 능력과 가장놀이 24 Ⅲ. 연구방법 28 A. 연구 대상 28 B. 연구 도구 29 1. 가장놀이 관찰도구 29 2. 사회적 능력 측정도구 32 C. 연구 절차 34 1. 예비연구 34 2. 본 연구 35 D. 자료 분석 3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40 A.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성구성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의 차이 42 B.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 유형 간의 관계 45 C.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51 Ⅴ. 논의 및 결론 56 A. 논의 56 1.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성구성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의 차이 56 2.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 유형 간의 관계 58 3. 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별 가장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62 B. 결론 및 제언 68 참고문헌 72 부록1.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도구 87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683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5세 남녀 유아의 또래놀이집단 성(sex)구성에 따른 가장놀이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ssociations between Pretend Play with Peer Play Group in 5-year-old Boy and Girl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Choi, Ji Eun-
dc.format.pagev, 93 p.-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contributor.examiner엄정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