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유치원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 조사

Title
유치원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 조사
Other Titles
Survey on the State of After School Classes in Kindergartens : In the Jeollabuk-do Province
Authors
이누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the current after school classes throug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xploring me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after school classes in kindergarten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in which such classes are expected to increase. To r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posed. 1. In what form do after school classes in kindergartens take place, and who are its constituents,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2. What is the detailed status quo of after school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3. How do teachers assess problems and points for improvement in the after school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1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kindergarten teachers in 241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As research tools, the researcher has referred to related references and preceding research on the status quo of after school classes in kindergartens. In order the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survey question has been calculated,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establishment by each category, an χ2 verification has been conducted. A weighted value average was calculated for the question which required a priority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reached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ly, the form in which after school classes in kindergarten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and their constituents were mostly conducted in the form of independently organized all-day class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Whereas public kindergartens ran mixed age group, independently organized classes, private kindergartens mostly operated same age group, independently organized classes. Secondly, the after school kindergarten classe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usually began at around 14:00 and ended around 17:00 and mostly did not run classes on Saturdays. The after school classes were mostly conducted in classrooms where the pre-schoolers' curricular classes were held, and the case of public kindergartens one short-term, part-time teacher was in charge of all after school classes, whereas in most private kindergartens, there was no teacher exclusively in charge of after school classes. The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during the after school classes are a continuation or enrichment of the morning classes, and included outdoor activities of less than 1 hour, 5 times a week. The vacation period is shorter than the vacation period of the regular curriculum and during the vacation, kindergartens ran short-term programs and specialized programs or day care programs. Whereas most kindergartens provided lunch and two rounds of snacks, there were few institutions which had both separate kitchen facilities and cafeterias. Compared to the long hours, there were few kindergartens that included a nap time in the curriculum, and those institutions that did, gave only the 3-year olds between 30 minutes and an hour to nap in the classroom. More than half of the institutions conducted safety education in their after school activities, most of which covered traffic safety and play safety. Almost all of the kindergartens offered three different after school subjects by age, which were taught by visiting teachers, and were offered without extra charge. The specifics of such after school activiti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The number of classes, enrolled pre-schoolers, hours, the duration of vacation, availability of teachers exclusively in charge, percentage of dual-income families out of those enrolled, afternoon activities, average hours and frequency of afternoon outdoor activities, offering after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availability of nap time,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and its contents, weekly hours of participation in specialized after school programs and reason for participation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and in the remaining categori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irdly, while public kindergartens responded that the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short-term, part-time teachers was most difficult, private kindergartens responded that the enrollment of pre-schoolers in after school classes, causing overburdening of work was most difficult.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n after school classes, both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s agreed that the need for recruitment of teachers exclusively in charge of after school classes is the most pressing concern needing to be addressed at the national and kindergarten unit level.; 본 연구는 방과후과정 이용률이 가장 높은 전라북도 지역의 공·사립유치원의 교사를 대상으로 방과후과정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더욱 확대될 전라북도 유치원 방과후과정의 질적 향상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방과후과정의 운영 형태와 집단 구성은 어떠하며, 이는 설립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방과후과정의 구체적인 운영 현황은 어떠하며, 이는 설립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방과후과정의 어려운 점과 개선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설립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241개의 공ㆍ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육과정 또는 방과후과정 교사 241명이다. 연구 도구는 유치원 방과후과정 운영 현황에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질문지의 각 문항별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유치원의 설립 유형에 따른 항목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우선 순위를 요구하는 1개의 문항은 우선 순위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평균으로 우선 순위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북도 유치원 방과후과정의 운영 형태와 집단 구성은 대부분 독립편성 전일반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는 설립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공립유치원은 주로 혼합연령 독립편성으로 운영되고 있는 반면, 사립유치원은 대부분 동일연령 독립편성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전라북도 유치원 방과후과정은 주로 14시경에 시작해서 17시경에 종료되며 토요일은 거의 운영하지 않고 있었다. 교육과정 유아들이 생활하던 교실에서 주로 방과후과정이 진행되며, 공립유치원의 경우 기간제ㆍ시간제 강사 1인이 주로 방과후과정 전담교사를 맡고 있는 반면, 사립유치원은 전담교사가 없는 곳이 대부분이었다. 방과후과정의 오후 교육활동은 오전의 교육활동이 연계ㆍ심화되거나 특성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주 5회, 1시간 미만의 오후 실외놀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방학기간은 대부분 교육과정 방학기간보다 짧으며 방학 중에는 누리과정과 특성화 프로그램을 병행하거나 돌봄중심으로 진행된다. 점심 1회, 간식 2회가 대부분의 유치원의 제공으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별도의 조리실과 급식실을 모두 갖춘 곳은 많지 않았다. 긴 운영시간에 비하여 낮잠을 자지 않는 곳이 많았으며 운영을 하더라도 만 3세 유아들만 30분에서 1시간 미만 가량 교실 안에서 자는 방법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과반수의 기관이 방과후과정 시간에 별도의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주로 교통안전과 놀이안전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거의 모든 유치원에서 방과후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을 연령별로 3과목씩, 외부강사에 의해 진행하고 있었으며 별도의 비용 없이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과후과정의 구체적인 운영은 설립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방과후과정 학급수와 원아수, 운영 시간, 방학 기간, 전담교사 유무, 방과후과정 이용 유아 중 맞벌이 가정 비율, 오후 교육활동 운영, 오후 실외놀이의 주당 평균 횟수ㆍ운영시간, 방과후과정의 교육활동 운영, 낮잠시간을 운영 여부, 안전교육 실시 여부와 내용, 방과후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의 주당 소요시간과 참여 이유에 관한 항목에서 설립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 외의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공립유치원은 유치원 방과후과정을 운영할 때 시간제ㆍ기간제 강사의 채용 및 관리가 가장 어렵다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은 전체 원아의 방과후과정 이용으로 인해 업무가 과중되는 것이 가장 힘들다고 답하였다. 방과후과정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국가차원ㆍ단위유치원 차원에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하는 점으로는 공ㆍ사립유치원 모두 방과후과정 전담교사가 채용되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