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윤효정-
dc.creator윤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91-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 평생학습의 특징 중 하나는 현대인들의 평생학습 참여가 전문지식이나 기술 등의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고 강화하기 위한 전통적인 목적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인들의 평생학습에서는 자아실현, 관계형성, 심리적 고민 등 인간의 일상적 삶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실존적 문제 등에 관한 학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특징은 앞으로 평생교육 연구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현대인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전인격적 성장을 위한 배움’의 가치와 의미를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일상적 삶의 문제들에 대한 성찰적 교육 및 학습의 장을 제공하고 있는 공동체를 통한 성찰적 학습 양상의 의의 및 향후 평생교육적 과제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상적 삶에 대한 성찰적 교육 및 학습의 장을 제공하고 있는 공동체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성찰적 학습 사례의 양상 및 의의는 무엇인가? 둘째, 현대인들의 성찰적 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적 과제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정토회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정토회 관련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이후 정토회 교육 프로그램 중 정토불교대학에 참여하여 학습 양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정토회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정토회 사례연구를 통해 관찰된 참여자들의 성찰적 학습 양상 및 의의는 다음 네 가지이다. 첫째, 일상적 삶의 고민들에 대한 인생상담식의 대중강연을 통해서 참여자들은 자신이 지닌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다른 방식의 인식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참여자들은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마음을 바라보게 하는 연습을 통해서 무의식적으로 흘려보냈던 마음, 의식, 행동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 과정에서 자신의 왜곡된 인식의 틀을 관찰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자신의 행동을 수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내면의 갈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셋째, 참여자들은‘인정’과‘공감’의 우호적인 태도를 기초로 한 공동체적 학습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경험을 타인의 경험에 빗대어 되돌아보는 성찰적 학습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우호적 태도를 기초로 한 공동체적 활동은 학습자들에게 일상의 긴장감에서 벗어나 자신의 일상적 고민들을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게 하는 장(場)으로서 참여자들에게 치유와 위안을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넷째, 참여자는 무목적적 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일상적 삶에서 거리를 두고 자신의 마음에 집중하여 관찰하는 기회를 얻는다. 현대인들의 성찰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평생교육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적 삶의 문제들로부터 출발하는 성찰적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획될 수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구성에서 마음나누기와 같은 공동체적 학습 활동이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봉사활동과 같은 다양한 활동 경험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일상적 삶에서 거리를 두고 자신의 마음을 성찰하는 기회를 갖도록 지원할 수 있다. 넷째, 단기적ㆍ장기적 성찰적 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적으로 구성되어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실제적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성찰적 학습의 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의 성찰적 학습 문화 지원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성찰적 학습 안내자의 역할이 중요하게 상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간 삶에서의 경험과 이에 대한 성찰 및 전환의 과정에 관한 교육학의 기초연구를 토대로 하여 성찰적 학습 안내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및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온‧오프라인을 통한 성찰적 학습공동체를 제도적으로 지원하여 성찰적 학습의 장에 대한 현대인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일상적 삶에 대한 배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학습 양상에 주목하여 이러한 성찰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평생교육적 과제를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정토회는 기본적으로 불교적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는 종교 단체로서 이러한 종교 단체로서의 성격이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서 나타났는데 이러한 종교적 배경과 성찰적 학습의 관계는 본 연구에서 배제되어 분석되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정토회는 깨달음의 장, 나눔의 장, 바라지 장, 백일 출가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본 연구에 반영된 성찰적 학습의 양상은 정토불교대학에 제한되어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felong learning is to transcend the traditional way of learning focusing on professional knowledge attainment. These days, people seek lifelong learning for the purpose of self-actualization, building a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cademic literature in lifelong education should consider those benefits of lifelong learning more carefully and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mplic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meaning and value of learning for‘whole personal growth’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I conducted a case study to explore the divers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community-based reflexive learning. Given that the community-based learning offers reflexive thinking and learning about the everyday lif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o understand better the essence of reflexive learning in life. In this vein, this research raise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ommunity-based reflective learning about daily life? Second, what are the lifelong educational tasks to support the reflective learning of people today?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nducted a case study selecting JUNGTO as an object of study. I analyzed literatures related with JUNGTO and participated in one of the JUNGTO’s programs to observe participants, and also I analyzed data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email interviews with the learners participating JUNGTO’s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JUNGTO are as below. First, people could experience different point of views and compare their own views with others by participating in public lecture and this helps them to deal with worries on daily life. Second, people could observe carefully their mind, thoughts, behaviors by practicing observation of their mind in daily life. Through this, people observe their existential disorder or uneasiness and improve their behaviors. Participants, however, could experience inner conflicts while undergoing the process. Third, based on sympathetic and communicative environment of JUNGTO, participants show the tendency to share their own experiences with those of other participants. This community learning activity under the friendly atmosphere enables participants to share their daily life with other participants more easily and release them from stress in daily hectic life. Fourth, participants obtain the chances to focus and observe their mind with having some distance with their daily life by doing volunteer work. While this case study reveal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reflective learning about daily life, it also points out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self-reflective learning of people.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reflective learning include the following. First, programs for reflective learning targeting to resolve daily life problems could be designed. Second, community leaning activity such as‘mind sharing’could be applied to program curriculum. Third, programs could offe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nts to conduct diverse types of activities, and reflect their mind by having some distance with their daily life. Fourth, short-term and long-term programs could be combined to support people to participate more easily in the reflective learning. Long term tasks to support the reflective learning for the peopl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ncludes following. First, the role of the reflective learning guid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so research and discussion on concrete methodology should stand on human being’s growth through experience and human development through reflection. Second, reflective learning offered in both on and offline should be institutionally supported to improve people’s accessibility to the reflective learning. This research, however, has some limitations. First, JUNGTO is a Buddhist commu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community may cause the reflective learning. However, the characteristics as the Buddhist community has not been considered as a main focus on this study. Second, JUNGTO has many reflective learning programs, but this research covered one of their programs. Exploring other programs in JUNGTO will lead more interesting outcomes related to reflective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일상적 삶에 대한 성찰적 교육 및 학습의 필요성 4 A. 현대인들의 삶의 특징과 교육 4 1. 성찰적 주체가 강조되는 시대 4 2. 사색적 삶의 상실 6 3. 소비중심사회와 존재론적 나약함 8 B. 평생교육 및 학습의 시대적 흐름 11 1. 계몽적ㆍ해방적 성격의 평생교육 11 2. 근대 학교교육의 대안으로서의 평생교육 13 3. 실용적 직업역량강화 성격의 평생교육 15 4. 인문적 관점에서의 평생교육 16 가. UNESCO의 평생교육에 관한 논의 16 나. 인문적 관점에서의 평생교육의 두 가지 방향 17 C. 평생학습과 일상적 삶의 문제들에 대한 학습 24 Ⅲ. 연구결과 27 A. 연구대상 27 1. 정토회 소개 28 2. 프로그램의 구성 29 B. 연구절차 31 C. 정토회 프로그램의 특징 34 1. 관계적 맥락에서의 인간 이해 34 2. 이성적 앎과 실천적 적용의 연계 35 D. 정토회 프로그램 참여자의 성찰적 학습의 양상 36 1. 일상적 소재로부터의 출발,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기 36 2. 일상적 삶에서 자신의 마음 되돌아보기 39 3. 인정과 공감의 관계를 통한 성찰적 공간의 제공 42 4. 무목적적 활동을 통한 성찰의 기회 47 Ⅳ. 성찰적 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적 과제 49 A.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의 시사점 51 1. 일상적 삶의 문제들로부터 출발하는 프로그램 구성 51 2. 공동체적 학습 활동의 적용 52 3. 다양한 활동 경험의 제공 54 4. 단기적ㆍ장기적 프로그램의 융합 55 B. 성찰적 학습 문화 형성을 위한 장기적 과제 56 1. 성찰적 학습 안내자를 위한 구체적 방법론의 필요성 56 2. 온ㆍ오프라인에서의 성찰적 학습공동체 지원 57 Ⅴ. 결 론 59 A. 요약 59 B. 논의 및 연구의 한계 61 참고문헌 64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84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일상적 삶에 대한 성찰 학습의 평생교육적 의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토회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ifelong Educational Meaning of Reflective Learning about Daily Life : A Case Study on the Reflective Learning Aspects in JUNGTO-
dc.creator.othernameYoon, Hyo Jung-
dc.format.pagev, 70 p.-
dc.contributor.examiner황규호-
dc.contributor.examiner임현식-
dc.contributor.examiner김안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