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주도적 대처의 매개효과

Title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주도적 대처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Coping i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Focusing on Early Adulthood and Middle-aged Adults.
Authors
윤상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일화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하여 주도적 대처를 통해 발달단계에 따른 차별적 개입에의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기 성인기(20~40세, 203명)와 중년기(40~65세, 206명)에 해당하는 성인 남녀 409명을 대상으로 연령별 집단에 따라 정서인식명확성과 주도적 대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령 집단별로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후,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주도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검정, 상관분석, 3단계 매개 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라는 연령 집단에 따라 정서인식명확성, 주도적 대처, 심리적 안녕감과 각 하위요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중년기는 초기 성인기보다 주도적 대처 뿐 아니라 심리적 안녕감의 여러 하위요인 중 특히 환경지배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초기 성인기는 중년기보다 심리적 안녕감의 여러 하위요인 중 삶의 목적과 개인적 성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향을 보였다. 둘째,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로 나누어 정서인식명확성, 주도적 대처, 심리적 안녕감과 각 하위요인이 서로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 두 집단 모두 주도적 대처와 심리적 안녕감, 주도적 대처와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라는 연령 집단별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주도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에서 모두 주도적 대처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 모두 정서처리가 명확하고, 긍정적 정서를 유지시켜주거나 부정적 정서에 대처할 수 있는 주도적 대처와 같은 적응적 기제가 작용하였을 때 안정적인 심리적 상태가 유지될 수 있었다. 연령 집단에 따른 차별적 개입의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령 집단별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각 하위요인의 관계에서 주도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6가지 하위요인 중 환경지배력, 자아수용, 자율성은 초기 성인기, 중년기 모두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 중 개인적 성장이란 하위요인은 초기 성인기, 중년기 모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이란 하위요인은 초기 성인기는 완전 매개, 중년기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중년기는 부분 매개가 나타났으나, 초기 성인기에서는 유의미한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에게 주도적 대처가 정서인식명확성과 함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주도적 대처를 도입하면 초기성인기는 개인적 성장과 삶의 목적 향상, 중년기는 개인적 성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연령에 따라 주도적 대처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과 감정을 최대로 이끌어 내기 위한 심리적 안녕감 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주도적 대처의 매개적 역할을 증명하였다.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의 매개효과의 검증을 통해 정서인식명확성과 더불어 주도적 대처가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기 성인기와 중년기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주도적 대처 전략 프로그램 개발 및 후속 상담 지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proposes to confirm the implication of discriminative intervention by developmental stage through proactive coping for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203 people of early adulthood (age of 20~40) and 206 people of middle-aged adults (age of 40~65), total of 409 adults were surveyed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of emotional clarity, proactive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After identify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major factors of each age group,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coping i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tested.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implement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ifferences in emotional clarity, proactive cop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ach sub factors according to age groups of early adulthood and middle-aged adults were checked, and as a result, middle-aged adults had not only proactive coping but also many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cluding environmental mastery, self 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 and autonomy, tha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early adulthood. On the contrary, people in early adulthood posses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than those of middle-aged adults. Secondly,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o show the relationships of emotional clarity, proactive cop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ach sub factors of age groups early adulthood and middle-aged adults reveal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active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proactive coping and emotional clarity, and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examination of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ch age group proved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both early adulthood and middle-aged adults. Both age groups had clear emotion process and could maintain secure psychological state when adaptive mechanism like proactive coping that helps keep positive emotion or deal with negative emotion was applied. After investigation of each age group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coping in a relation of each sub factor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confirm the implication of discriminative intervention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among six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nvironmental mastery, self acceptance, and autonomy all demonstrated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both age groups. In addition, personal growth, a sub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d full mediating effect in both age groups, whereas purpose in life, also a sub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d full mediating effect in early adulthood group an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middle-aged adults group. On the other hand,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 a sub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middle-aged adults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early adulthood group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t is clear that proactive coping and emotional clarity together are crucial factors for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both early adulthood and middle-aged adults. Especially, since introduction of proactive coping helps enhance personal growth and purpose in life for early adulthood and personal growth for middle-aged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improvement program for deriving individual’s potential and emotion through proactive coping according to age. This study proved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in early adulthood and middle-aged adults proactive coping, along with emotional clarity, was determin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inc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result is expect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proactive coping strategy program and follow-up counseling support for enhanc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adulthood and middle-aged ad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