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만 5세 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개선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만 5세 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개선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a Class of Fully Five Year Olds
Authors
최서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d implement a plan for improving the operation in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a class of fully five year olds, and to examine about the influence of the improvement in operation upon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ive. 1. What is a problem about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a class of fully five year olds? 2. What is an improvement plan for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a class of fully five year olds? 3. Which influence does the operating improvement in play plans-practice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a class of fully five year olds have upon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Haengbokban class of fully five year olds at Sarang kindergarten, which is a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28 young children in Haengbokban class and 1 teacher who is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nd a researcher. The researcher observed the whole of operating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Haengbokban class, talked with young children, and grasped problems. After seeking a solution based on a discussion with young children and a relevant documentary consideration, the specific plan w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research period was progressed in order of recognizing a problem, seeking a solution, the primary practice & evaluation, and the secondary practice &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n the primary & secondary practice plan from August 18, 2014 to November 10. To know the research results, the analysis was made by collecting audio recording, video shooting, research journal, and field notes.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 problem about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a class of fully five year olds, the reflection of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 was being limited by restricting number of interest area that can be chosen given the play plans and by making it literally practice what was planned at first. Young children were suffering a great difficulty due to limiting number of personnel available for attendance in interest area given practicing a play and to using a play name tag, and were failing to participate in a play stably because the play time is short and irregular. An insignificant expression method in a large group in case of evaluating a play failed to offer an opportunity for young children to reflectively think and possibly expand a play. Second, to solve a problem about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Haengbokban class, the improvement plans were sought and implemented. The primary practice didn't limit number of interest area that can be chosen given the play plans, and made it available for reflecting the expansion and a change in a plan depending on an interest and a concern. Given the play practice, the regular play time for 1 hour every day was provided. The remaining time was notified when being left 30 minutes. Given the play evaluation, the debate activity in a small group was utilized. As a result of the primary practice, the play plans based on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 came to be available. Young children could participate in a play with having a sense of stability and came to be able to make the significant play evaluation through a reflective thought. However, it found the need to help plan a play specifically given the play plans and the need to solve a problem that happens in the block play area and sought a plan for the secondary practice. In the second practice, it helped think specifically a play of being desired given the play plans with literally maintaining the primary practice plan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of the primary practice, and proceeded with solving a problem about the block play area of having been created with removing the limit of personnel number,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As a result of the primary & secondary practices, the difficulties that young children in Haengbokban class had suffered given the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ere solved. Third,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improvement plans for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in Haengbokban class upon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the young children came to experience a truly free choice, proceeded with expanding and developing a play with a specific idea on a play, and were formed positive attitude toward solution. Also, the teacher was increased the positive attitude in solving a problem that occurs in a class, and newly recognized the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with escaping from the existing frame, thereby having come to carry out the significant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necessity was proposed for the reflection on operating the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hich are being carried out conventional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that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for problems about the play plans-practice-evaluation, which appear in the actual field.;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운영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 개선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2. 만 5세 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3. 만 5세 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운영 개선이 유아와 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인 사랑유치원 만 5세 행복반 학급에서 실시했으며, 연구 대상은 행복반 유아 28명과, 학급 담임이자 연구자인 교사 1명이다. 연구자는 행복반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 운영 전반을 관찰하고 유아들과 이야기 나누며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유아들과의 토의 및 관련 문헌 고찰 등을 토대로 해결 방안을 모색한 후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8월 18일부터 11월 10일까지로,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실행 및 평가, 1, 2차 실행 방안의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알아보고자 오디오 녹음, 동영상 촬영, 연구자 저널, 현장 노트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행복반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놀이 계획 시 선택 가능한 흥미영역 수를 제한하고 처음에 계획한 것을 그대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와 관심의 반영을 제한하고 있었다. 놀이 실행 시 흥미영역에 입장 가능한 인원수를 제한하고 놀이 이름표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유아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놀이 시간이 짧고 불규칙하여 유아들이 안정감 있게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놀이 평가 시 대집단의 단순한 수준의 발표하기 방식은 유아에게 반성적으로 사고하며 놀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둘째, 행복반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한 후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놀이 계획 시 선택 가능한 흥미영역의 수를 제한하지 않았고 흥미와 관심에 따라 계획의 확장 및 변경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놀이 실행 시 매일 1시간의 규칙적인 놀이 시간을 제공하였고 30분이 남았을 때 남은 시간을 알려주었다. 놀이 평가 시 소집단 토의 활동을 활용하였다. 1차 실행 결과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에 기반한 놀이 계획이 가능하게 되었고, 유아들은 안정감을 가지고 놀이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반성적인 사고를 통한 의미 있는 놀이 평가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놀이 계획 시 구체적으로 놀이를 계획하도록 도울 필요성과 쌓기 놀이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2차 실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의 평가를 반영하여 1차 실행 방안을 그대로 유지하되 놀이 계획 시 하고 싶은 놀이를 구체적으로 생각하도록 돕고, 인원수 제한을 없애면서 발생한 쌓기 놀이 영역의 문제점을 유아들과 함께 해결해 나갔다. 1, 2차 실행 결과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 시 행복반 유아들이 겪었던 어려움들이 해결되었다. 셋째, 행복반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개선을 위한 방안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아들은 진정한 자유선택을 경험하게 되었고, 놀이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놀이를 확장 · 발전시켜 나갔으며,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또한 교사는 학급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적극적인 태도가 신장되었으며, 놀이 계획-실행-평가에 대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유아들에게 의미 있는 놀이 계획-실행-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관행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운영에 대한 반성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실제 현장에서 나타나는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