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5 Download: 0

장애대학생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도, 대학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애대학생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도, 대학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Smart Phone-based Mentoring Program on Campus Life Adjustment and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이수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1995, The university special admission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a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and higher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based on the enactment of related laws, rights and learning opportunities for university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further expanded. Accordingly, college-going ra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1998 was 5.2%, but 16.3% in 2010, that number has increased to more than three times during 12 years. Such a situation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focus th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iversities of handicapped students enrolled are required to provide a learning support, a life support, an assistive technology, improvement of a physical environment, and a variety of servic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able to adapt to college life. However, even though these support provisions, percenta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finished their studies in college very lows, more than 30%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ed a bachelor warning, and it was very frequent that make a decision of withdrawal and leave of absence.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many universities have implemented a mentoring program in order to solve many problems coming from the college life. Actually, 96.2% of the 445 university students requested a mentoring program. However, as a result of the inquiry by telephone to major universities in Seoul,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dn’t almost participate in mentoring program, and students support center of each university also never operated a long-term mentoring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looking at the existing mentoring program, because of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problems to learn and express the information due to challenges on exercise and sensory, and restriction of movement, existing mentoring programs may not be suitab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mentoring program that combines the smart phone-based mobile-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Using the smart phone can lead to a positive effect on the real world, such as ‘Improved convenience of everyday life’, ‘Shortening of information search time and learn of news’, ‘Increase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acquisition’, ‘Expansion of human relations’. In this study, I expected to form of emotional bonds, form of the human networks, share information actively, and communicate quickly of the benefits of smart phone utilization. And in consideration of busy schedule of the study participants, I want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intervention with minimal off-line meeti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mart phone-based mentoring program on campus life adjustment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vided the off-line mentoring program(once a week, for 1 hour and 30 minutes) and smart phone-based mentoring program to 10 students(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in grade 1-2 of A university, and confirmed intervention effects using pre-post control group design. After configuring additional mentoring programs to apply to interven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prior interview, I provided mentoring program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life, and to master the strategies and contents to be learned. After end of the intervention, I collected pre-post data using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Rosenberg Self-Esteem Scal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data by performing ANCOVA. In this study, I was able to confirm the research results, such a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life adjust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abov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a smart phone-based mentoring program on campus life adjustment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able to differentiate from existing programs by highlighting the presence of a mentor, building networks with peers in lack of natural support environ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utilizing smart phone application. Also, it was significant that researching effect of the mentoring program in a domestic environment that little or no mentoring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firming the high demand and request for a mentoring program that can be successful in an individualized support pla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1995년, 교육부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 및 관련 법의 제정을 기반으로 장애학생의 대학교육 기회와 학습 권리는 더욱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의 대학 진학률도 점차 증가하여 2010년에는 16.3%로 1998년의 수치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장애대학생을 위한 지원에 대해 다시 한 번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장애학생이 입학한 대학에서는 장애대학생들에게 다양한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 조항에도 불구하고 장애대학생들은 일반대학생들에 비해 학사경고를 받거나 휴학 및 자퇴 등의 결정을 내리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대학생들의 경우, 대학생활 적응에서 오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대학들이 멘토링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교 내 멘토링 프로그램이 비장애대학생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오히려 대학생활 적응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경험하는 장애대학생이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각 대학교 내 장애학생지원센터 역시 장애대학생을 위한 한 학기 이상의 장기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따로 운영하는 경우는 없었다. 또한 기존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시간 및 공간의 제약 때문에 대학생활 적응 및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충분히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장애대학생들에게는 감각 및 운동, 이동의 문제로 기존의 멘토링 프로그램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면서 공학의 급격한 발달로 형성된 스마트 시대에 발맞추는 데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러닝(m-learning)을 접목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활용의 장점을 정서적 유대감 형성, 타 전공 학생들과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활발한 정보 공유, 신속한 의사소통으로 기대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바쁜 일정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모임 시간을 최소화하되 멘토링 중재의 효과를 최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고려하여 구성한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 대학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 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추천 및 홍보를 통해 지원한 1~2학년에 재학 중인 시각, 청각, 지체장애 대학생 10명을 모집하였고, 실험집단 학생과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소개를 통해 모집한 학생들 중 성별, 장애유형, 연령, 학년, 전공, 기존에 제공받은 장애학생지원센터 서비스, 사전검사 점수 등을 고려하여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사전 검사 및 면담을 통해 각 대상학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개인적인 이해를 도모하였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중재에 적용할 멘토링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구성한 후, 중재 시기에는 장애대학생이 대학생활 적응 및 만족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대학생으로서 학습해야 할 내용 및 전략을 습득할 수 있도록 1주일에 1회, 1시간 30분씩의 오프라인 멘토링 프로그램과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원하였으며, 통제집단 학생들에게는 특별한 지원을 제공하지 않았다.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 종료 후에는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대학생활 적응도 검사, 대학생활 만족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자를 읽고 쓰기 어려운 시각장애학생에게는 각 설문지의 문항을 연구자가 읽어주고 구두로 답하게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대학생활 적응도 및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대학생활 적응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마트폰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들에게 적용되었을 때 대학생활 적응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을 위한 자연적 지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멘토의 존재와 또래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강조한 점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장애대학생을 위한 지원이나 멘토링 프로그램과 차별화 되었다. 또한 장애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미미한 국내 환경에서 장애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로 제공한 뒤, 그 효과를 살폈다는 점과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된 지원 요구가 높은 상황에서 그 지원 중 성공적인 방안이 될 수 있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요구와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