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7 Download: 0

긍정적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정서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긍정적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정서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ositive social-emotional improvement program on emotional competency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uthors
김아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최근 5년 간 국내 전체 학생 수는 매년 20만 명씩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다문화 가정 초․중․고등학생들은 전체 학생 수의 1%를 넘어서게 되었다. 전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가정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또래와의 원만한 관계를 통해 자아정체감과 사회성을 형성하게 되는 중요한 시기를 거치게 됨으로써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이중 언어와 문화, 부모의 다른 국적, 또래와 다른 외모, 부모의 낮은 사회 경제적 지위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부정적이고 낮은 자아개념을 형성하기 쉬우며, 열등감이나 소외감 자신감 결여로 대인관계에서 불안 혹은 위축 되거나, 공격성, 분노 폭발 등의 정서․행동상의 문제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이슈가 제기됨에 따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언어, 학업 관련 지원 방안이 모색되고 있지만, 정서․행동 문제를 지닌 다문화 가정 아동들을 위한 학교 기반의 사회․정서적 지원을 실행한 경우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정서․행동 문제를 지닌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타인과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고,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며,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행동이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 가정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능력, 정서조절, 갈등 및 문제 해결 기술 을 증진하여 사회․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잠재되어 있는 공격성이나 반사회적 행동, 불안․위축 등의 정서․행동 문제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A 다문화 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으로,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교사용 검사에서 준임상범위 혹은 임상범위에 해당하는(표준점수 60점 이상) 12명이다. 정서인식 및 표현, 자기조절, 대인관계기술, 갈등해결기술의 5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긍정적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은 1회기에 80분씩 총 16회기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모든 회기는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정서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서지능 검사와 자기보고형 및 교사보고형 사회성 기술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중재 여부에 따른 사전-사후, 사후-유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표본 t 검정을 통한 평균 비교를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하위 영역별 사전-사후 검사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회기별 관찰 일지를 토대로 아동의 사회․정서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12명 중 11명의 정서능력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12명 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간 차이에 대한 종속표본 t 검정 결과,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종료 12주 후에 정서능력을 측정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이러한 변화는 유지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12명 중 10명의 자기보고형 사회성 기술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12명 중 9명의 교사보고형 사회성 기술 점수가 향상되었다. 12명 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간 차이에 대한 종속표본 t 검정 결과, 자기보고형 검사에서는 총점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보고형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자기보고형 사회성 기술 점수는 프로그램 종료 12주 후까지 유지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긍정적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정서능력과 사회성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성과가 추가의 지원 없이 유지되기는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 중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초등학생을 선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던 점, 기존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정서인식 및 표현 영역을 삽입한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을 시도하여 효과를 입증한 점, 효과성 입증을 위해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함께 분석하였던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For the last five years, the number of domestic students in South Korea has declined by 200,000 students annually. In the meanwhil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exceeded the one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in South Korea. As school-age period is critical for building which forms self-identity and social skills, and it is important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who need a special care and support not only inside of family but also school system. Unfortunately, they have a tendency to develop a negative and low-self concept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bilingual and bicultural adjustment, different nationalities of parents, low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different appearance from peers. These factors can affec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shown as anxiety, atrophy, aggression, burst of anger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ause of inferiority complex and alienation, lack of confidence. As social issues related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e to the fore, the plan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upport is found to increase their abilities to be used to in Korean society more easily and quickly. However, it is unusual to find school-wide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towar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us,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support program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to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peers, adapt to the social environment and let them learn socially acceptable behavior and how to properly interact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emotional awareness,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conflict or problem solving skill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twelve students who are in forth, fifth and sixth grade from ‘A’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ey were in borderline of clinical range or clinical range(T scores above 60) in Teacher’s Report Form of Achenbach System of Empirically Based Assessment. The positive social and emotional improvement program that include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interpersonal skills, responsible decision-ma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proceeded for sixteen sessions once a week and each session lasts eighty minutes. A researcher administrated all sess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self-report emotional intelligence test, Social Skills Rating Scales(SSRS) of self report form and teacher’s report form were used. Average comparison through dependent samples t-test is administra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protest and posttest-follow-up. And to see each child’s changes concretely, this study made a comparison of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looked into each child’s changes of social and emotional side based on the field no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ven of twelve students at risk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EB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t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mproved in emotional competency scores. After 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otal score and all of sub-domains. But emotional competency of the children were not maintained until twelve weeks. Seocond, ten of twelve students improved in self-report form of K-SSRS and nine of twelve students improved scores in teacher’s report form of K-SSRS. After 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otal score and all of sub-domains in self report form.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ll of sub-domains in teachers report form. Social skills score of self reported test was not maintained until twelve weeks after the end of this program. To sum up, positive social and emotional improvement program can influence a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y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at risk for EB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is outcome is difficult to maintain without giving extra suppor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the main program by scree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risk for EB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is study tried a new program to improve social and emotional improvement with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domain that was embedded in existing social enhancement program, it has established behavior changes of the children. Third, this study proved its effectiveness through analy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