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가 지체장애 중·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가 지체장애 중·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diary-keep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on writing ability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uthors
우규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쓰기는 학령기 동안 모든 영역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학업 기술이며, 미래 사회생활을 영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꼭 필요한 능력이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이 증가한 현대 사회에서 쓰기의 역할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운동기능에 장애가 있는 지체장애 학생들은 쓰기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운동능력의 문제는 글씨를 쓰는 것을 어렵게 하며, 이로 인한 쓰기 경험의 부족과 심리적인 요인들은 학생들의 철자 및 작문능력에도 영향을 끼친다. 이런 지체장애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글씨쓰기, 철자, 작문 세 가지 영역 모두를 지원하는 통합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공학의 활용으로 적절한 쓰기도구를 제공하는 것은 장애학생에게 장애로 인한 신체적, 인지적 요구들을 보상하여 개선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더불어 기능적인 쓰기 능력의 발전을 위해서는 일반 학생과 동일한 방식으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전략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체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쓰기 연구는 동작의 특성 및 기질적인 영향을 분석한 것이 대부분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작문능력을 위한 쓰기 연구는 대부분 학습장애 및 지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중․고등부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쓰기 중재를 적용하여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지체장애 특수학교 중․고등부에 재학 중인 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과정중심 쓰기지도 방법을 적용한 일기쓰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대상 학생들은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주 4회에 걸쳐 일기쓰기를 수행하였다. 1회기는 총 50분으로 여기에는 학생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주제를 선택하고 완성하는데 필요한 쓰기 과정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전략들이 포함된다. 학생이 작성한 일기를 수집하여 쓰기 능력(글의 길이, 글의 내용)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종료 3주 후에는 유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를 적용한 결과 세 명의 지체장애 중․고등학생 모두 글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둘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를 적용한 결과 세 명의 지체장애 중․고등학생 모두 글의 내용 점수가 향상되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 후 변화된 대상학생의 쓰기 능력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를 지체장애 중․고등학생에게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글의 길이와 글의 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중․고등부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대안적인 입력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공학적 접근을 제공하고 쓰기 과정을 도와줄 수 있는 쓰기 전략을 함께 제공하여 쓰기의 전 과정에 교수를 제공한 것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 하였으며, 스마트기기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쓰기 중재 과정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지체장애 학생에게 새로운 교수매체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효과와 접근성을 검증한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Writing is a vital learning skill affecting every aspect of learning during school-aged, and a necessary ability to lead a social life and improve life quality in the future. Also, in the modern society where communication increases due to advancement of IT technology, the role of writing is more expanding. Howeve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motor function disorder have difficulty in learning how to write. Their problem with motor function makes it hard for them to hand-write, and following this, their lack in writing experience and 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their ability of spelling and written expression.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 need an integrated guidance supporting all of the three aspects; hand-writing, spelling, and written expression. Provision of properly engineered writing tools offers improved learning environment by making up for their physical, cognitive demands coming from their disability, and besides, to develop their ability of functional writing, strategies improving their written expression need to be offered to them in the same way it is to normal students. Yet, among not many studies on written express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ost of them analyze motion features and dispositional influences, and most of studies on writing to improve their written expression are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with both learning disorder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it affects their writing ability to apply writ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to middle/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iculty in writing. For this, I conducted diary-keeping intervention to which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is applied using smart devices with students attending a special school for the physically disabilities located in Seoul.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nd the target students conducted diary-keeping 4 times a week using touch screen input type of smart devices. A 50-minute session included strategies supporting all the writing stages necessary for selection/completion of topics from their own experience. Their diaries were collected to measure their writing ability(length, content), and whether they continued it or not was measured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diary-keep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the length of their writing increased in all the three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diary-keep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scores of their writing contents increased in all the three students. Third, the students’ enhanced writing ability was kept even after the diary-keep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ended. To sum up the above results, the diary-keeping intervention applied to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ositively affected the length and contents of their writings.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at it provides teaching for all the stages of writing by presenting engineering approach enabling alternative input method for middle/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together with writing strategies helping their writing stages. This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efficacy and accessibility of smart devices recently getting attention from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using/connecting generally applied functions of smart devices to the writing intervention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