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민-
dc.contributor.author정현민-
dc.creator정현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8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820-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fforts to utilize new media has lasted in the education field. and Learning with smart devices(smartphone, smartpad) has been noted. When learning with smart devices, price of the software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people can communicate with other by only easy operations, anytime anywhere. and also it is suitable for the classroom especially on the face-to-face learning. Because smart device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s. Based on these advantages, there is a growing need to use smart devices for learning. Actually many students which are attending a secondary school in South Korea are already using smart devices for learning at home. Following this current movement, an active discussion about the using smart devices is in progress. Korean MESC(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eep up with the trend, with announcing “Smart Education Strategy action plan" in June 2011. However, the rate of using smart devices for class at school was very low.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discuss what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eacher produce these results. and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factors' relationship systematically to promote using smart devices for teachers 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devices' behavioral intention, use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UTAUT has known to explain more then 70% the variance of behavioral intention. so many researchers studying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have published a number of studies using UTAUT model.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 active discussion about smart devices' acceptance is in progress. However not many research for teachers were done until now. With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oices of teachers on smart devices on the basis of UTAUT.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2. Is there direct/indirect effect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304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South Korea.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normality of the data by using SPSS. After tha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proposed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by using AMO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with acceptable model fits. Second, the 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are as in the followi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lso, facilitating condi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use behavior. Lastly, behavioral inten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use behavior, effort expectancy, and use behavior, also between social influence and use behavio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expectanc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requent and effective execution of teacher training or sharing well-designed cases of teaching demonstration. Moreover, given that social influence is a variable that depends on others, the positive belief of peers or the circles of teachers, surrounding circumstances toward using mobile devices in class is a key factor of increasing behavioral intention. And also, in order to improve facilitating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and applicable supports to teach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304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do, South Korea which implies it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group of teachers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Also, reconfirming adequacy of the research model needs to be followed through attaining more data. Secondly, in further studies, it is advisable to add factors affecting 'teachers' acceptance to fit the research context. Lastly, It is necessary to add the moderate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xperience and subjects. and It is worth to study differences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moderate variables.;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육이 주목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것은 별도로 기기를 보급해야 할 필요성이 적고, 소프트웨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쉬운 조작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언제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다. 특히 면대면 학습에서 활용할 때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교실 수업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교육에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다수의 초·중등 학생들은 이미 가정에서 학습을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교육에서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려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 6월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였으며, 2018년부터 확대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현재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떠한 교사들의 태도와 인식이 이와 같은 결과를 낳았는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며, 수업에서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활용 영향요인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의도와 활용행동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려 한다. UTAUT는 70% 이상의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에,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의 사용자 수용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UTAUT를 적용한 연구를 발표하고 있다. 교육적 맥락에서도 이를 적용한 연구가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대학생 및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UTAUT를 근거로 중등학교 교사 대상 수업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의도와 실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활용의도 및 활용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지에 대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상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활용의도, 활용행동 간에는 구조적 관계가 성립하는가? 연구문제 2.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활용의도, 활용행동 간에는 직·간접효과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 중·고등학교 교사 3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고안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활용의도, 활용행동의 구조모형은 보통수준의 적합도를 보여 수용할 수 있는 수준에서 구조적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의 직접효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은 활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촉진조건과 활용의도는 활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은 활용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과기대를 높이기 위해 수업에 도움이 되고,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사례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노력기대를 높이기 위해 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매뉴얼을 제시해야한다. 또한 사회적영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들끼리 활용사례와 콘텐츠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고충과 피드백을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촉진조건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 적용 가능한 교육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서울·경기지역 304명의 중·고등학교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모형에 대한 보다 많은 실증적 연구들을 통해 일반화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많은 수의 데이터 확보를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재확인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맥락에 맞도록 향후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의도와 활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추가하여 이들의 영향관계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기존 UTAUT 모델에서의 조절변수인 성별, 연령, 경험 뿐 아니라 교사의 담당교과목 등에 따라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1.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4 2. UTAUT 5 2.1. 성과기대 5 2.2. 노력기대 5 2.3. 사회적영향 6 2.4. 촉진조건 6 2.5. 활용의도 6 2.6. 활용행동 6 Ⅱ. 이론적 배경 7 A.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7 1.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7 2.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사례 8 B. UTAUT 10 C. UTAUT의 배경이론 12 1. 합리적 행동이론 12 2. 기술수용모형 13 3. 계획된 행동이론 15 4. TAM과 TPB의 통합모형 16 5. 동기모형 17 6. PC활용모형 18 7. 혁신확산이론 19 8. 사회인지이론 20 D. UTAUT의 주요변수 22 1. 성과기대 22 2. 노력기대 22 3. 사회적영향 23 4. 촉진조건 23 E. 관련선행연구 26 1. 성과기대와 활용의도 관련연구 26 2. 노력기대와 활용의도 관련연구 28 3. 사회적영향과 활용의도 관련연구 29 4. 촉진조건과 활용행동 관련연구 30 5. 활용의도와 활용행동 관련연구 31 F. 연구가설과 모형 32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34 B. 연구도구 37 1. 성과기대 37 2. 노력기대 37 3. 사회적영향 38 4. 촉진조건 38 5. 활용의도 39 6. 활용행동 39 C. 연구절차 40 D. 자료 분석방법 41 Ⅳ. 연구결과 42 A. 측정변수 간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결과 42 B. 측정모형의 검증 44 C. 구조모형의 검증 48 D. 매개효과의 검증 51 Ⅴ. 결론 및 제언 53 A. 결론 및 논의 53 B.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7 참고문헌 58 부록 66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82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등수업에서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과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UTAUT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Affecting Teachers’Smart Devices Acceptance in Secondary School-
dc.creator.othernameChung, Hyun Min-
dc.format.pageix, 73 p.-
dc.contributor.examiner조일현-
dc.contributor.examiner임규연-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